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증장애인직업재활지원사업 훈련지원인의 현장중심 직업훈련 지원경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Job Training Support Experience of Job Coach for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Support Project for the People with a Significant Disability)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1 최종저작일 2024.02
29P 미리보기
중증장애인직업재활지원사업 훈련지원인의 현장중심 직업훈련 지원경험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K교육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사회과학리뷰 / 9권 / 1호 / 47 ~ 75페이지
    · 저자명 : 김민식, 김영란

    초록

    본 연구는 중증장애인직업재활지원사업에 고용된 훈련지원인이 현장에서 실제로 어떠한 역할과업무를 수행하고 있는지를 탐색하여, 훈련지원인이 중증장애인의 맞춤형 현장훈련에 보다 나은 지원을 제공할 수 있도록 실천적‧정책적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훈련지원인 대상 심층 인터뷰를 통한 질적 사례연구방법을 사용했으며, 수집된 자료는 지속적 비교분석법을 사용하여 분석했다. 연구 결과, 훈련생들이 취업할 사업체에서 진행되는 훈련은 훈련지원인이 훈련생 옆에서 함께 작업하면서 반복과 칭찬으로 이루어졌으며, 훈련지원인은 직업훈련보다는사회성을 더 중요시했고, 출근부터 퇴근까지 총 4시간 동안 대화를 유도하거나 예절, 위생, 태도, 성교육 등 상세한 부분에서 교육적 대화를 나누었다. 훈련지원인은 지원과정에서 다양한 이해관계에놓여 있었는데, 훈련생들과는 신뢰 관계를, 사업체와는 협력관계를, 보호자와는 상호필요 관계를 맺고 있었지만, 수행기관과는 애매한 고용 관계를 드러내 제도‧행정적 보완이 필요해 보였다. 마지막으로 훈련지원인은 과중한 업무, 낮은 처우, 불명확한 업무 경계, 어려운 훈련생모집, 비현실적인 실적 달성 목표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초록

    This study focuses on experience of Job Coach in Occupational Rehabilitation Support Projects that is offered by the field at the Field-Centric Occupational Rehabilitation Center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esent better support to field training customized for people with severe disabilities.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s employed qualitative case methodology, conducted an in-depth interview with 6 Job Coaches to collect data, and analyzed collected data through constant comparison and analysi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training assistants began their work with no previous experiences with the vocational training of people with severe disabilities, but they witnessed changes to trainees and felt rewarded through their experiences of supporting the trainees. During the training sessions implemented at the establishment where trainees would be employed, the Job Coach worked together with them by their side and supported them through repetitions and praises. The Job Coach put greater importance on sociality than vocational training and spent four hours from the start to the end of their daily work on inducing the trainees to engage in conversations or having educational talks on detailed topics such as manners, hygiene, attitude, and sexuality. They had a relationship of trust with trainees, a relation of cooperation with the participant workplaces, and a relation of mutual need with trainees’ caregivers, but their employment relationship with the employed agency was ambiguous, which raises a need for institutional and administrative supplementation. Finally, Job Coach had difficulties with excessive workload, poor benefits, unclear work boundaries, difficult recruitment of trainees, and unrealistic performance goals. These difficulties can be resolved by supporting the greater professionalism of training assistants, improving their benefits, and rearranging their identity and job assign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회과학리뷰”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