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치의 원리인 ‘그리스도인들의 신앙 감각(sensus fidelium)’, 그 가능성과 한계 (“Sensus Fidelium”, Principle of Christian Unity: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1 최종저작일 2016.12
41P 미리보기
일치의 원리인 ‘그리스도인들의 신앙 감각(sensus fidelium)’, 그 가능성과 한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가톨릭신학학회
    · 수록지 정보 : 가톨릭신학 / 29호 / 39 ~ 79페이지
    · 저자명 : 송용민

    초록

    종교개혁 500주년을 맞는 가톨릭교회와 개신교계는 교회일치운동을 지탱해줄 수 있는 공동의 신앙 원리를 필요로 한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그리스도께서 세워주신 하나인 교회의 일치를 회복하려는 가톨릭의 교회일치운동은 개신교가 사회 복음화를 포괄하는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를 에큐메니칼 운동의 중심으로 삼아 ‘하나 되기를’ 바라신 예수님의 복음적 대의를 지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교회일치운동의 원리는 ‘한 분이신 성령’이시다. 모든 그리스도인들은 종교적 회심을 통하여 예수 그리스도를 인격적으로 만나고, 교회 안에서 성령의 인도를 받아 하느님을 향한 초월에로의 감각을 표현한다. 이 감각은 ‘진리의 성령’으로부터 일깨워지고 지탱되는 초자연적 신앙 감각으로서 세례를 받은 모든 그리스도인들에게 신앙의 본능으로 선사되어 있다. 신앙 감각은 “신자들이 올바른 그리스도교 교리와 실천을 파악하고 그에 동의하며, 잘못된 것을 배척하도록 해주는, 복음의 진리에 대한 본능”으로서 오해와 편견으로 분열된 배타적 태도를 극복하고 같은 그리스도인으로서의 공동성을 확인할 수 있는 교회일치의 내적 원리이기도 하다.
    ‘신앙 감각’은 진리를 식별하고, 간직하며 선포할 수 있는 예언자적 은사로서 그리스도인의 공동본성이기에, 복음의 진리를 함께 고백할 수 있게 해주는 ‘공통감각(common sense)’이며, 신자들의 같은 감각으로 친교와 통교를 맺어 신앙의 ‘합의(consensus)’를 이룰 수 있는 소통과 공감능력으로 표현된다. 교회일치운동은 이러한 신앙 감각을 일치를 위한 신학적 대화에서 다음의 몇 가지 원리들을 필요로 한다.
    첫째로, 교회일치는 단일성과 보편성을 ‘다양성 속의 일치’ 안에서 찾는다. 다양성은 성령론에 입각한 ‘친교의 교회론’에서 모든 그리스도인들을 하느님 백성에 속하게 하고, 그리스도의 몸에 유기체적으로 결합시켜주는 원리이다. 다양성은 차이를 결코 단일성의 훼손으로 보지 않고, 풍요로움과 상호 보조성으로 받아들여, 상호 교류와 통교능력을 배양해주는 힘이 된다. 이 ‘다양성 속의 일치’가 서로 다른 교리해석에서 차이를 수용할 수 있는 원리는 모든 진리들에는 ‘위계’가 있음을 밝히는 것이다. 신앙 진리들은 효용성이 아닌, ‘구원의 가치’에 있어서 위계가 있으며, 이들 진리들은 완전한 신앙 이해를 돕기 위해 보완적인 기능을 하고, 결코 진리들의 위계가 근본적인 진리들의 중요성에 비해 하등의 진리는 부수적이거나 가치가 없다는 형태로 해석되지 않고, 기초적인 진리 이해를 돕는 보완적인 역할을 한다는 점이 중요하다.
    둘째로, 교파들의 신앙 이해의 차이는 신앙 전체의 원리를 이해할 수 있게 해주는 부분으로 해석되어, ‘조화로운 다양성’으로 받아들여지고, 이는 에큐메니칼 신학이 해석학적 신학의 원리를 통하여 차이와 다름을 ‘상보성의 원리’로 받아들일 수 있게 해준다. 이 점은 교파 간의 서로 다른 교리해석에도 불구하고, 그리스도 신앙의 근본적인 진리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지면, 서로 다르게 간직해온 전통적인 해석은 교회 전체의 충만함을 위해 인정되고 보존된다는 ‘차별화된 합의’가 가능하다. 이 점은 특히 ‘가톨릭교회와 루터교 간의 의화에 관한 공동 선언문(1999년)’에서 그 예를 찾을 수 있다.
    그리스도인의 신앙 감각은 오늘날 한국교회의 비약적인 발전과 사회 복음화로 시작하여 2000년대에 들어와 한국천주교주교회의(CBCK)와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 간의 위원회 차원의 일치운동으로 시작되어 ‘그리스도인 일치기도회’와 ‘에큐메니칼 성지순례’ 등의 영적 일치와 더불어 신학적 대화에서도 ‘그리스도인 일치포럼’을 통하여 학문적 대화의 성과를 이루어왔다. 그러나 최근 교회의 세속화 현상은 두 교회에도 큰 영향을 미쳐 에큐메니칼 운동에 큰 장애가 되고 있으며, 일치에 대한 의식을 평신도와 모든 교파들에게 전달하는 데에도 많은 장애를 일으키고 있다.
    따라서 오늘날 한국교회는 종교개혁 500주년을 새로운 일치운동의 원년으로 삼아, 한 분이신 성령의 인도에 따라 그리스도인의 공동본성인 신앙 감각을 함께 성장시키고, 신앙 감각이 지닌 공동체 원리를 재발견하여 교회 간에 친교와 소통, 연대와 협력을 지속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Commemorating the 500th anniversary of Reform Movement, the Roman Catholic and the Protestant Churches recognize the need for a common principle of faith to susta in the ecumenical movement. Since the 2nd Vatican Council, Catholic Church has pursued to reestablish One Church of Unity instituted by Christ through cooperation with Orthodox and Protestant Churches, which include but not limited to joint projects for common good, spiritual unity, and theological dialogue as well. Meanwhile, Protestant Church has also been committed to the ecumenical movement of ‘Missio Dei’, as apart of evangelization of society, in order to the unity within and with Catholic Church.
    ‘One Holy Spirit’ is a fundamental principle of ecumenical movement. Christians have been experienced religious conversions through personal encounter with Jesus Christ, expressing their sensus toward God in their faith with the guidance of Holy Spirit. The sensus toward transcendence, which is granted to the faithful as an instinct, is realized through ‘Holy Spirit of Truth’ and has been sustained with ‘Sensus Fidei.’ Sensus Fidei refers to “an instinct of faith or a nature of Gospel, which guides the faithful to recognize the right Christian doctrine and actions while avoid and exclude the wrong.” It is an inherent principle of Church’s unity, with which the faithful can overcome an exclusive perspective ridden with misunderstanding and prejudice and can affirm connaturality of Christians.
    As ‘Sensus Fidei’ (a prophetic gift to discern, cherish, and pronounce Truth) is a connaturality of Christians, it can be said that it is a ‘common sense’ which can help the faithful to confess the truth of Gospel together; and a ‘principle of ecclesiology of communion’ which can help the faithful to reach consensus through communion and communication regardless of differences in denominations. For the ecumenical movement and the theological dialogue for the Church’s unity, the following principles are required to discover the said common sense of Sensus Fidei.
    First, ‘Unity in Diversity.’ From the perspective of ‘ecclesiology of communion’ founded on pneumatology, ‘diversity’ expresses various stratums of Christians belonging to People of God, and organically links them with one Church, ‘Body of Christ.’ Diversity regards differences not as impairment of unity, but as richness of Christian traditions and faith. It is therefore a principle of ‘mutual learning’, or a principle of ‘mutual complementarity’, which nurtures and develops exchanges and communications among Christians. As a principle of ‘Unity in Diversity’ discloses ‘hierarchy’ of all truths, different interpretations can be respected to reach a common understanding and agreement. According to a principle of ‘Hierarchy of Truths’, the hierarchy of truths is determined not by usefulness but by ‘value of salvation.’ In this regard, it also serves as a complementarity principle for more complete understanding of faith. However,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ruths(doctrines) located in the lower part of the hierarchy shall not be interpreted as secondary or invalid compared to basic truths of the top part, as they serve a crucial role in understanding the basic truths.
    Second, ‘Harmonious Diversity.’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harmonious diversity’, differences in understanding faith among various denominations can interpreted as contexts to understand the faith of others as a whole picture. This principle helps the ecumenical theology (through hermeneutical theology) to accept differences, serving as a principle of complementarity as well. Given that consensus is made on the fundamental truth of Christian faith, different interpretations of faith and religious traditions among various denominations can be recognized and retained as fullness of One Church. Such harmonious diversity can lead to ‘Differentiated Consensus.’ This can be observed in ‘Joint Declaration on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between the Roman Catholic Church and the Lutheran Churches(1999)’, where it articulates that the interpretations in their respective churches shall be respected despite a common understanding of our justification by God’s grace through Christ.
    Ecumenical movement based on ‘Sensus Fidei’ has been applied to Korean churches in various aspects. Radical development in churches and evangelization of Korean society have not been witnessed without the hard works of CBCK and NCCK as attested to ‘Annual Prayer Service for Christian Unity’, ‘Ecumenical Pilgrimage’, ‘Forum for Christian Unity.’ A series of such efforts have contributed to not only spiritual unity but also significant academic developments as well. However, churches are no exception for the secularization of today’s society, which has been hindering the progress of ecumenical movements to a great extent, not to mention troubles to communicating the spirit of unity to people in churches.
    Therefore, I look forward to see that this year, commemorating the 500th anniversary of Reform Movement, be the first year for new ecumenical movement, where all Christians grow together with connaturality of sensus fidei in the guidance of Holy Spirit, and rediscover a principle of community (sensus fidei fidelium) in order to sustain communion, communication, solidarity and cooperation among church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가톨릭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