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인(仁)의 개념에 대한 인권법적 접근 - 논어를 중심으로 - (Human Rights Law Approach to the Concept of Benevolence - Focusing on the Analects of Confucius -)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1 최종저작일 2022.04
24P 미리보기
인(仁)의 개념에 대한 인권법적 접근 - 논어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북대학교 법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법학논고 / 77호 / 1 ~ 24페이지
    · 저자명 : 채형복

    초록

    인(仁)은 유학 혹은 유교를 이해하는 기본이념이자 핵심 개념이다. 논어에서 공자는 사람이 살아가면서 지켜야 할 도리로 인륜(人倫)을 내세우며, 인(仁)을 그 궁극적인 지향점으로 삼고 있다. 한마디로 仁은 논어 전편을 관통하는 핵심주제이며, 그 실천 주체는 군자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논어에는 정작 仁의 개념이 명료하게 드러나 있지 않으며, 공자도 仁에 대해 한 번도 직접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다.
    현대사회에 접어들면서 유교는 전근대적 사상으로 간주되고 있다. 특히 기본적 인권의 부재는 유교를 비판하는 주된 근거로 원용되고 있다. 인권은 근대 유럽의 정치사상의 산물이다. 공자는 춘추전국시대에 태어나 활동하였으므로 유교가 현대적 의미의 인권사상을 포함하고 있지 않은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이 입장은 유교에 대한 비판을 대변하기에는 궁색하기 그지없다. 오히려 이 비판을 적극 수용하여 인권의 관점에서 유교가 가진 한계를 검토하고, 대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현대 인권법적 관점에서 仁을 개념 정의하고, 인권유학의 성립가능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仁의 인권법적 실천 주체인 군자와 소인이 가지는 의미를 검토하고, 효제(孝悌), 극기복례(克己復禮)·선난후득(先難後得), 충서(忠恕)를 仁의 인권법적 실천방법으로 제시한다.

    영어초록

    Benevolence(仁) is the basic ideology and core concept for understanding Confucianism. In the Analects, Confucius puts forth the principle of humanity (人倫) as a principle to be followed in life, and takes benevolence as its ultimate goal. In a word, Benevolence is a core theme that runs through the entire Analects, and the noble man(君子) is the subject of its practice. However, the concept of benevolence is not clearly revealed in the Analects, and Confucius never directly mentioned benevolence.
    In modern society, Confucianism is regarded as a pre-modern ideology. In particular, the lack of basic human rights is cited as the main basis for criticizing Confucianism. Human rights are a product of modern European political thought. Since Confucius was born and worked during the Warring States period, it is also true that Confucianism does not contain human rights ideology in the modern sense. However, this position is too difficult to represent criticism of Confucianism. Rather, it is necessary to actively accept this criticism in order to examine the limitations of Confucianism from the point of view of human rights.
    In this paper, this paper, the concept of benevolence is defined from the perspective of modern human rights law, and the possibility of studying Human Rights-Confucianism is proposed. To this end, we examine the meaning of the noble man and the inferior man, who are the subjects of human rights law practice of benevolence. And we consider the four practical methods of human rights; filial piety and brotherly love(孝悌), overcome selfishness and return to the rituals(克己復禮), do the hard work first, then take care of your own profit later(先難後得), and loyalty and forgiveness(忠恕).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학논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