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적대적 매체지각: 메시지인가 메신저인가 (Hostile Media Perception in Korea : Message or Messenger?)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1 최종저작일 2005.04
32P 미리보기
적대적 매체지각: 메시지인가 메신저인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언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언론학보 / 49권 / 2호 / 135 ~ 166페이지
    · 저자명 : 오택섭, 박성희

    초록

    갈등적 이슈에 관한 미디어의 보도가 자신과 반대되는 입장을 옹호하는 것으로 인식한다는 적대적 매체효과(hostile media effect)를 한국의 언론 상황에서 실험연구를 통해 검증했다. 이를 위해 서울과 지방 소재 10개 대학 대학생(N=905)을 피험자로 선정하여 지방 인재 할당제에 관한 찬반양론을 균형 있게 다룬 중립적인 기사를 실험자극물로 이용, 3(할당제에 대한 의견: 찬성, 중립, 반대) x 4(정보원: 조선, 한겨레, 미디어다음, 학생의 글)의 실험설계로 연구를 수행했다. 연구결과, 예상과는 달리 전체적으로 실험참가자들은 자신의 당파적(partisan)입장에 유리하게 기사를 보는 동화편견(assimilation bias)을 나타냈으나 개별 정보원에 대해서는 불리하게 편향돼 있다고 보았고, 이러한 기사가 기사의 편향된 방향으로 중립적인 타인에게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보았다. 이 결과는 적대적 매체지각 효과를 미디어 전반에 일반화한 기존 연구 결과의 외적타당도에 의문을 제기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지각적 편견이 모든 미디어에 대해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 아니라 결국 ‘누가’ 메시지를 전하느냐가 관건임을 규명했다는 점에서 ‘메신저가 곧 메시지’라는 새로운 명제를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 결과는 특히 진보-보수, 친정부-반정부 등 양자대립구조로 인식되는 한국의 언론 상황에서 언론의 공정성과 신뢰도를 둘러싼 다양한 비판과 논쟁의 본질을 이해하는 유용한 단서를 제공한다.

    영어초록

    Built upon the hostile media perception model by Gunther & Christen, this study explores the effects of personal opinion and perceived media slant on individuals’ assessments of public opinion. The purpose of study is to delineate the locus of hostile media perception; Is it the media contents or the messenger who carries them? Three hypotheses, based on theories of hostile media perception, projection of personal opinion and persuasive press inference, predict that the assimilation bias will exert different influence on neutral others depending on congenial or disagreeable messengers. Experimental studies were conducted with a 3(existing attitudes) by 4(source variables) design to test hypotheses simultaneously, with a news article on Affirmative Action as stimulus material,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905 participants nationwide. The results indicated people displayed their hostile perception not toward media contents, but toward the messenger who carries them. For them, the messenger was the message. The hostile media effect thus should not hold true across the media but should be redefined as the one that is valid only when the preexisting attitude toward the messenger is taken into account. Partisan audience, when met by partisan media, provide contrasting evidences shifting the locus of hostility from message to messenger, and for that, the results not only build on but also expand the scope of the existing stud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언론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