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성현 『부휴자담론』에 나타나는 ‘기질지성’의 일관성 문제 -이택후의 ‘積澱’ 개념과 연관하여- (The issue of the Consistency of the Temperamental Nature foundin Buhueja-damnon by Sung, Hyu -In the light of Li, Ze-hou(李澤厚)’s concept of ‘jidian(積澱)’-)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1 최종저작일 2021.11
29P 미리보기
성현 『부휴자담론』에 나타나는 ‘기질지성’의 일관성 문제 -이택후의 ‘積澱’ 개념과 연관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번역원
    · 수록지 정보 : 민족문화 / 59권 / 243 ~ 271페이지
    · 저자명 : 계영경

    초록

    이 글은 조선 전기 성현의 『부휴자담론』에 나타나는 주장의 일관성 문제, 특히 성리학에서 이야기하는 기질지성의 교화 가능성에 대한 모순적 언급을 확인하고, 이택후의 ‘적전’ 개념과 연관하여 그 이유를 고찰하기 위한 것이다. 『부휴자 담론』에서 성현은 기질지성의 교화 가능성에 대하여 때로는 가능하다고 주장하기도 하고, 때로는 불가능하다고 주장하기도 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사람의 타고난 자질, 사실상 생래적 신분에 따라 가능하기도 하고 불가능하기도 하다며 모순적 주장을 보인다. 이는 성현 당시의 국가 이념이었던 성리학과 부합하지 않는 것인데, 이런 모순을 단순히 성현 자신이 성리학을 제대로 몰랐기 때문이라 설명하는 것은 그의 이력과 저술 등을 고려할 때 그다지 설득력을 가지지 못한다. 이런 모순은 고려말부터의 ‘명문가’였다고 할 수 있는 그의 성장환경으로부터 개인적으로 적전된 문화심리구조와 성리학에서 도출된 문화심리구조의 차이가, 또 송나라와는 달랐던 성리학 도입기 우리나라 신분제도와 관련한 사회적 환경과 그로부터 (상대적으로 사회적 단위에서) 적전되었다고 할 수 있는, 인간의 보편적 동일성에 대한 당시 우리나라의 문화심리구조와 성리학적 문화심리구조의 차이가 갈등을 일으키며 나타났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issue of consistency found in Buhueja-damnon(浮休子談論) by Sung, Hyun(成俔) who lived in the early Joseon era, focusing on the contradictory reference to the possibility of edification of the temperamental nature in Neo-Confucianism. This article also explores the reason for that contradiction according to the concept of ‘jidian’(積澱) as conceptualized by Li, Ze-hou(李澤厚). In Buhueja-damnon, Sung, Hyun insists that the enlightenment of temperamental nature be sometimes possible, and other times impossible, depending on one's natural qualities, which is in fact determined by social status. This concept is not consistent with Neo-Confucianism, which was the national ideology of Sung, Hyun's time. The explanation that Sung, Hyun did not understand Neo-Confucianism properly is not persuasive, when considering his academic background and his writings. This contradiction came from the conflict between the cultural psychological structure[文化心理構造] that was personally piled up from his prestigious growth environment since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and the Neo-Confucianistic cultural psychological structure. Also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social environment related to the Korean social status system during the period when Neo-Confucianism was introduced, and conditions in the Song(宋) dynasty, and therefore this difference in the cultural psychological structure about universal human sameness, can be said to be the cause of the contradiction in Buhueja-damn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족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