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안전한 가로환경조성을 위한 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 태안읍 골목길을 중심으로 - (Study of Space Planning for Safe Street Environment - Focusing on Alleyways in Tae’an - eup -)

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0 최종저작일 2016.10
9P 미리보기
안전한 가로환경조성을 위한 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 태안읍 골목길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1권 / 5호 / 175 ~ 183페이지
    · 저자명 : 안진근, 김지현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골목길은 주민들의 다양한 생활문화 속에서 형성된 장소로 기능적, 사회적, 문화적으로 가치 있는 곳이나 노후화 된 환경에 의해 범죄취약공간과 같은 안전상의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최근 안전한 환경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게 되면서 범죄예방대책으로 여러 가지 방안들이 고려되고 있으며, 특히 환경디자인을 통한 범죄예방활동을 하는 범죄예방디자인(CPTED: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이로 인해 각 지방자치단체들은 제도적으로 범죄예방디자인을 적용하고 있으나 장기적으로 유지관리 부실이나 획일적인 디자인 적용에 의한 문제점이 드러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본 연구는 안전한 가로환경조성을 위한 디자인 역할과 원리를 고찰하고 이에 따른 디자인 전략과 적용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문헌연구의 단계로써 가로환경의 역할과 특성, 디자인 구성요소를 고찰하였다. 또한 범죄예방디자인의 개념과 원리를 바탕으로 실제 가로환경 사례를 분석하여 가로환경디자인에서의 범죄예방디자인 전략 특성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태안읍에 위치한 마을길을 선정하여 현황파악, 계획수립, 전략실행, 운영 및 유지관리의 프로세스로 안전한 가로환경조성을 위한 공간계획을 제시하였다. (결과) 대상지의 특성을 반영하여 사회적 약자를 위한 여성친화정책으로 새로운 가로환경 이미지를 창출하고자 여성친화 골목길 조성을 콘셉트로 안전한 가로환경을 위한 공간계획을 제시하였다. 공간구성은 통행공간, 커뮤니티공간, 출입전이공간, 범죄취약공간으로 구분하여 영역적으로 차별화시켜 제안하였다. 그 내용을 살펴보면, 통행공간은 방치된 유휴공간을 휴게공간으로 개선하고 훼손된 담장을 여성친화 골목길의 이미지를 반영하여 지역이미지를 개선시키고자 하였다. 또한 커뮤니티공간은 기존 문화시설을 거점으로 문화시설 앞 유휴공간을 활용하여 활동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환경으로 제안하였다. 출입전이공간은 디자인을 통해 마을 진입부의 영역성을 강화시켜 주민들에 의해서 관리되고 있는 지역임을 인식시키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범죄취약공간은 야간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환경으로 구축하고자 하였다. (결론) 가로환경에서의 범죄예방디자인은 기능적 측면에서 쾌적하고 안전한 가로환경을 향유할 평등한 기회의 제공, 사회적 측면에서 공적공간을 통한 지역주민 교류 기회의 증대, 문화적 측면에서 지역 공동체 의식 함양을 기대할 수 있다. 즉, 안전한 가로환경 구축은 이용자의 자유로운 보행을 보장하고 교류에 의한 공간 활성화를 통한 자연감시의 강화, 지역정체성을 반영한 디자인 요소를 통한 공동체 의식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Pathways have been formed within the population’s various lives and culture, and retain functional, social, and cultural values. However, safety has become an issue in an aging environment. Many measures are being implemented to prevent crimes with the recent social interest in creating safe environments, and especially through CPTED, or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Local government groups are systematically applying crime prevention designs, but many problems exist with their long-term maintenance and consistent design application. This study aimed to contemplate the role and principle of designs for safe street environments, and to propose corresponding design strategies and application methods. (Method) The role, characteristics, and design elements of street environments were contemplat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Further, actual street environments were analyzed, and strategic characteristics for crime prevention in street environment designs were deduced based on the concept and principle of crime prevention design. An alleyway in Tae’an-eup was selected based on these results, and space planning was proposed for a safe street environment by studying the current situation, establishing plans, and implementing the strategy and operating and maintenance processes. (Results) A space plan for a safe street environment was proposed to create a new female-friendly street environment image by reflecting the selected street’s characteristics. The space was divided into walking, community, entry transition, and crime-vulnerable spaces. Specifically, regarding walking space, idle space was improved by converting this to resting space, and ruined walls were used to improve the region’s image by reflecting an image of a female-friendly alley. A community space environment was proposed, in which activities were increased by utilizing the idle space adjacent to existing cultural facilities. Regarding the entry transition space, the territoriality of the village’s entry was reinforced through design to convey that the residents managed this area. Finally, a crime-vulnerable space was fortified to ensure safety at night. (Conclusions) Crime prevention designs in street environments provide an equal opportunity to enjoy pleasant, safe, and functional street environments; increase opportunity for social exchanges among the residents through public spaces; and enhance the cultural sense of community. A safe street environment, in other words, ensures an unrestricted traverse and strengthens natural surveillance through space utilization by exchange. Moreover, a street environment is formed by the sense of community through design elements that reflect the region’s ident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