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불)가능한 증언과 재현의 젠더 - 손소희 소설에 나타난 ‘죽음’의 초점화를 중심으로 ((Im)possible Testimony and Gender of Representation - Focusing on the Focalization of “Death” in Son, So-hee’s Novels)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0 최종저작일 2021.04
30P 미리보기
(불)가능한 증언과 재현의 젠더 - 손소희 소설에 나타난 ‘죽음’의 초점화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이화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이화어문논집 / 53호 / 197 ~ 226페이지
    · 저자명 : 이지연

    초록

    이 글은 손소희 소설이 ‘수동적인’ 여성상을 그리고 있어 페미니즘적 의미를 발견하기 어렵다는 종래의 비판에 반박하며, 손소희 문학에서 여성의 목소리가 재현되는 양상을 적극적으로 고찰해 보려는 목적에서 출발하였다. 이에 서발턴의 재현 불가능한 목소리에 주목하는 가야트리 스피박의 비평 이론을 토대로, 초점 인물과 서술자의 관계로부터 서사 텍스트의 담론 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제라르 즈네뜨의 초점화 이론을 분석틀로 삼아 두 편의 단편소설을 탐색하였다.
    먼저 창포 필 무렵 의 경우 초점 인물 ‘나’가 소년에서 가부장-남성 주체로 변모해 가는 고백의 서사에서 여성 인물의 죽음을 동원하고 있었다. 은폐된 여성의 목소리는 남성 초점 인물과 서술자의 담론에서 재현 불가능한 ‘공백’으로 남음과 동시에, 주체를 구성하는 실정적 조건으로 작용하며 남성-주체의 분열성을 암시한다. 한편 靜·動<對決Ⅱ> 은 ‘마리’라는여성을 초점 인물이자 사건의 ‘목격자’로 등장시켜 남성의 폭력적인 시선에 포획되지 않는 여성 욕망의 잔여를 포착하도록 한다. 이러한 목격자에의해 서사적 공백을 뚫고 솟아오르는 여성 목소리의 흔적은 증언의 (불)가능성을 열어젖히게 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fute the criticism that it is difficult to find feminist meaning from Son So-hee’s novels because they depict so-called passive woman, and to actively examine the representation of female voices in her literature. Based on Gayatri Spivak’s critical theory, which focuses on the impossibility of Subaltern’s voice and Gérard Genette’s concept of Focalizat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structure of the narrative text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calized character and the narrator, this research pays attention to two short stories written by Son, So-hee.
    First, When Iris Blooms uses the death of a female character in a confession epic in which the main character, I, was transformed from a boy to a patriarchal man. The hidden female voice remains as a blank of text that is impossible to be represented in the discourse of focalized male character and male narrator, and at the same time, implies the divisibility of the male-subject while being a practical condition that constitutes the subject. On the other hand, Confrontation II has a focalized female character being as the eyewitness to the incident, Marie, who catches the woman’s desire of an escape not to be captured by the violent eye of men. The traces of a woman’s voice that emerges through the blank finally open up the possibility of testimon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화어문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