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죽음현저성과 자기규제초점이 윤리적 소비태도와 기부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Mortality Salience and Regulatory Focus on the Ethical Consumption Attitude and Donation Behavior)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0 최종저작일 2021.08
12P 미리보기
죽음현저성과 자기규제초점이 윤리적 소비태도와 기부의도에 미치는 영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경영컨설팅학회
    · 수록지 정보 : 경영컨설팅연구 / 21권 / 3호 / 181 ~ 192페이지
    · 저자명 : 하환호, 변충규

    초록

    COVID-19가 유행하고 있다. 이후 매일 같이 들려오는 사망소식으로 인해 사람들은 무의식적으로 죽음을 떠올리고 있다. COVID-19가 지속되는 지금은 그 어느 때보다 죽음현저성이 높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람들이 생활하면서 경험하고 느끼는 죽음에 대한 생각(죽음현저성)이 윤리적 소비태도와 기부의도와 같은 친사회적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영향이 사람들이 지닌 자기규제초점 성향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도 함께 알아보았다. 죽음현저성은 죽음에 대한 두려움과 공포의 점화효과를 발생시킨다. 죽음에 대한 두려움과 공포를 극복하기 위해 죽음을 부인하는 과정에서 사람들의 자기존중감은 낮아진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사람들이 낮은 자기존중감을 회복할 목적으로 윤리적 소비태도와 기부의도를 높이는 친사회적 행동을 할 것으로 예상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의 가설과 같이 죽음현저성이 높을수록 윤리적 소비태도와 기부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죽음현저성으로 인해 생긴 두려움과 공포의 점화효과는 부정적인 것으로 당사자에게는 손실이다. 이 때문에 죽음현저성이 친사회적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사람들이 지닌 규제조절초점의 정도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즉, 죽음현저성으로 인한 두려움과 공포의 점화효과는 향상초점을 가진 사람들보다는 예방초점을 가진 사람들의 동기적 성향과 부합하므로, 향상초점자들보다는 예방초점자들의 친사회적 행동의도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 연구결과, 예상한대로 죽음현저성이 윤리적 소비태도와 기부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자기규제초점에 따라 달리 나타났다. 그러나 죽음현저성이 낮고 높은 집단으로 구분하여 추가분석을 실시한 결과, 죽음현저성이 낮은 집단에서는 예방초점자와 향상초점자들 간의 윤리적 소비태도와 기부의도의 차이는 없거나 적었다. 반면에 죽음현저성이 높은 집단은 향상초점자들의 윤리적 소비태도와 기부의도가 예방초점자들의 윤리적 소비태도와 기부의도에 비해 훨씬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영어초록

    Due to the COVID-19 pandemic, people unconsciously think of death. As COVID-19 continues, people's death salience is higher than ever.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examine the effect of thoughts about death (Mortality salience) experienced and felt in real life on consumers' pro-social behavioral intentions such as ethical consumption attitudes and donation intentions. We also investigated how these influences change according to people's tendency to focus on self-regulation. Mortality salience causes fear of death and the priming effect of fear. Self-esteem is lowered in the process of denying death to overcome the terror and fear of death. Accordingly, in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people will choose to increase their ethical consumption attitudes and donation intentions to recover their low self-esteem. In the study results, as in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the higher the death salience, the higher the ethical consumption attitude and donation intention. The fear of death is negative and a loss to the person concerned. Therefore, death salience will have different effects on pro-social behavior according to the degree of self-regulation focus. In other words, it was expected to have a mor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pro-social behavioral intentions of prevention-focused people than promotion-focused people because it coincided with the motivational tendencies of those with prevention focus rather than those with promotion focus. As expected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effects of mortality salience on ethical consumption attitudes and donation intentions differed according to the focus of self-regulation.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ethical consumption attitude and donation intention between prevention focus and promotion focus in low death salience. On the other hand, when the mortality salience was high, the ethical consumption attitudes and donation intentions were much higher in promotion focus groups than the ethical consumption attitudes and donation intentions in prevention focus groups. Finally,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presen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경영컨설팅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