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함경도 서사무가 <짐가제굿>에 나타난 죽음에 대한 인식과 제의적 의미 (A Study on the Cognition of the Death and its Ritual Meaning in the Shamanistic Myth of Hamgyeong-do Province “Jimgaje-gut”)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0 최종저작일 2023.02
34P 미리보기
함경도 서사무가 &lt;짐가제굿&gt;에 나타난 죽음에 대한 인식과 제의적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무속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무속학 / 46호 / 143 ~ 176페이지
    · 저자명 : 신호림

    초록

    본고는 함경도 망묵굿의 서사무가 <짐가제굿>을 연구 대상으로 삼는다. <짐가제굿>에 나타난 죽음의 전염과 이를 해결하기 위한 희생양 만들기의 과정을 구명함으로써 살(煞)을 막기 위한 제의적 기능이 <짐가제굿>에서 어떻게 서사화되어 있는지 파악하고자 했다.
    <짐가제굿>은 악인(惡人)인 짐가제를 서사의 전면에 내세운다. 짐가제는 자신의 욕심 때문에 김‧이‧박 삼정승의 아들들을 살해한다. 이 최초의 살해는 삼정승의 아들들이 원한을 갖게 만들고 <짐가제굿>을 복수(復讎)의 서사로 이끌어나간다. 복수를 매개로 삼정승 아들들의 죽음은 짐가제 세 아들의 죽음으로, 짐가제 세 아들의 죽음은 다시 짐가제 부부의 죽음으로 이어진다. 죽음의 연쇄는 모종의 인과관계를 만들며 강한 전염성을 띠게 된다. <짐가제굿>은 이를 ‘살’이라고 표현한다.
    살을 차단하기 위한 방법으로 <짐가제굿>은 희생양을 내세운다. 희생양으로 지목된 존재는 손사령(짐패재, 충신) 부부이다. 손사령(짐패재, 충신)은 자신의 의지와 관계없이 혼은 저승으로 가서 심부름꾼이 되고 육신은 이승에 남아 장승이 되어 살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손사령의 아내는 남편의 죽음으로 인한 원한을 자기 스스로에게 돌리며 자결의 형태로 죽음의 전염성을 끊어낸다. <짐가제굿>에 등장하는 희생양은 죽음이 발생시킨 살의 문제를 해결하지만, 손사령(짐패재, 충신) 부부의 납득되기 힘든 죽음은 살의 차단이 가지고 있는 불완전성을 보여준다.
    <짐가제굿>에서는 짐가제 부부를 통해 죽음이 어떻게 살을 발생시키는지 설명하고, 손사령(짐패재, 충신) 부부를 통해 그런 살을 차단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그러나 희생양을 통한 살의 차단은 불완전하기에 이후 <오기풀이>에서 ‘탈’이라는 이름으로 다시 죽음의 부정적 영향에 대해 다루기도 한다. 그렇지만 <짐가제굿>은 ‘죽음’이라는 문제를 전면에서 다루었다는 점에서 그 신화적 위상을 확보하고 있다. 함경도 망묵굿에서 <도랑선비‧청정각시>가 ‘저승’이라는 공간의 문제를 다루었다면, 뒤이어서 <짐가제굿>은 죽음과 죽음의 전염성, 그리고 그런 전염을 끊기 위한 제의적 방법을 신화로 풀어내고 있는 것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the cognition of the death and its ritual meaning in “Jimgaje-gut” performed at Mangmuk-gut of Hamgyeong-do. “Jimgaje-gut” presents Jimgaje, a evil man, at the front of the narrative. Jimgaje kills the three sons of Kim, Lee, and Park because of his greed. This first murder makes three sons have a grudge and leads “Jimgaje-gut” to a narrative of revenge. The death of the three sons leads to the death of the Jimgaje’s three sons, and the death of the three sons of Jimgaje leads to the death of Jimgaje couple again. The chain of death creates some kind of causal relationship and becomes highly contagious. “Jimgaje-gut” describes this as ‘sal(evil influence)’.
    As a way to block the sal, “Jimgaje-gut” creates a scapegoat. Son saryong(Jim Paejae, loyalist) and his wife were identified as victims. Regardless of his will, Son saryong(Jim Paejae, loyalist) plays a role in blocking the ‘sal’ by going to the underworld of his soul and becoming an Jangseung, while his body remains in this world. Son saryong’s wife attributes the resentment caused by her husband’s death to herself and cuts off the contagiousness of death in the form of suicide. The scapegoat in “Jimgaje-gut” solves the problem of the ‘sal’ in which the death occurred, but the unconvincing death of Son saryong(Jim Paejae, loyalist) couple shows the imperfections of blocking the ‘sal’.
    “Jimgaje-gut” explains how death causes evil influence through Jimgaje couple, and suggests ways to block such ‘sal’ through Son saryong(Jimpaejae, Loyalist) couple. However, since the blocking of ‘sal’ through scapegoats is incomplete, the negative effects of death are dealt with again in the name of ‘Tal’ in “Ogi-puri”. However, “Jimgaje-gut” secures its mythical status in that it dealt with the problem of death at the forefront. If “Dorang-seonbi and Cheongjeong-gaksi” dealt with the problem of a space called ‘the underworld’ at Mangmuk-gut in Hamgyeong-do, “Jimgaje-gut” is unraveling the substance of death, contagion of death and how to stop such transmission with myth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