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인의 행복과 좋은 죽음에 대한 표상과 인식의 특징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s Representation and Understanding on Happiness and Good Death)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0 최종저작일 2012.03
46P 미리보기
한국인의 행복과 좋은 죽음에 대한 표상과 인식의 특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인문학연구 / 39권 / 1호 / 307 ~ 352페이지
    · 저자명 : 김명숙

    초록

    ‘행복’은 개인이 삶에서 행동하여 얻고자 하는 성취의 궁극적 목적으로, 시대를 막론하고 모든 사람의 관심의 대상이다. 그러나 막상 ‘행복이 무엇인지’에 대한 물음에 접했을 때, 행복에 대해 쉽게 설명할 수 있는 사람은 많지 않다. 삶의 목적이 행복이라면, “행복은 무엇인가? 어떻게 살아야 행복할까?”에 대해 고민하고 이를 좀 더 분명하게 알아야 할 필요가 있다. 경제적 발전에 온 관심이 집중되었던 지난 세기에, 행복은 흔히 물질적 풍요에 따라오는 것이라 생각되었다. 그러나 최근의 여러 연구들은 돈이 많고 물질적으로 풍요롭다고 해서 행복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반대의 인과관계가 성립한다고 보고한다.
    본고에서 필자는 한국 성인들을 대상으로 수집한 질적 자료에 근거하여, 한국인이 지닌 ‘행복’과 삶의 마무리로서의 ‘잘 죽기’에 대한 표상과 인식의 특징을 밝히고 그에 대한 철학적 논의를 펼쳐 보고자 하였다. 자료의 분석을 통해서 한국인들이 암묵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행복의 8가지 범주-① 신체적 안녕, ② 정서적 안녕, ③ 심리적 안녕, ④ 사회적 안녕, ⑤ 영적 안녕, ⑥ 윤리적 충만, ⑦ 미래세대의 안녕, ⑧ 경제적 안정-와, ‘잘 죽기’ 위해 사람들은 후회와 미련 없이 최선을 다해 살고(심리적 안녕), 건강을 잘 관리하며(신체적 안녕), 긍정적인 마음으로 살아야 한다(정서적 안녕)고 인지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를 종합하면서 몇 가지 주목할 점을 발견하였다. 첫째, 암묵적으로 사람들은 ‘사회적 안녕’이 자신들의 행복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고 인지하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적 안녕 상태를 유지, 발전시켜 나가기 위해 행동하겠다고 한 사람은 전체의 1%에 불과했다. 둘째, 사람들이 암묵적으로 가장 바라는 상태의 행복은 심리적 안녕임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행복의 조건으로 정서적 안녕을 더 높이 들고 있었다. 셋째, 최근 한국인들이 ‘물질 = 행복’이라고 여겨 불행한 사회가 되어 간다고 많은 대중매체들에서 우려하고 있는데, 행복의 조건이 경제적 안정이라고 한 응답은 전체의 12%에 지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행복 개념의 8가지 범주는 인류(혹은 생태계) 전체의 행복이라는 시스템을 위해 작동하고 있는 자기조절(self-regulation) 체계의 하위 요소들의 건강으로 이해할 수 있다. 각 부분들이 통합되고 위계적인 전체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상호작용하기 위해서는, 체계의 각 부분들은 저마다의 역할을 제대로 하고 긴밀하게 상호 연결되어야 한다. 균형 잡히고 지속가능한 ‘행복’은 이를 구성하는 각 요소들이 하나로 통합되어서 ‘행복’이라는 전체적인 체계를 구성할 때 비로소 출현하는 속성에 해당한다고 하겠다. 행복해지고자 한다면, 행복의 본질에 대해 시간을 들여 숙고하고, 구체적 계획과 실천 방안을 마련하여 이를 실천하고 점검하는 행동으로 옮겨야 한다.

    영어초록

    'Happiness' is the ultimate purpose for every individuals behavior for achievement. Regardless of all era 'Happiness' has been a interest for everybody. However, There is not much people who can answer when confronted by the question "What is happiness?". Considering that purpose of life is happiness needs for consideration of the questions such as "What is happiness? How can we achieve happiness?". During the past century happiness was considered normally accomplished by material affluence. Though recent researches shows that happiness is not only fulfilled by fortune and material affluence also there is a inverse proportion between those two.
    This paper, based on qualitative data, were examined representation and understanding on happiness and good death of Korean adults and discussed results in terms of philosophical thoughts. 10 Korean adults were deeply interviewed about happiness and good death by trained interviewers. 8 categories of happiness were found by grounded theoretical analysis:① physical well-being; ② emotional well-being; ③ psychological well-being; ④ social well-being; ⑤ spiritual well-being; ⑥ ethical fulfillment; ⑦ future generational well-being; ⑧ financial security. Koreans are implicitly recognized that, in order to live happy and well-dying, people should do his/her best to live without regret and remorse (psychological well-being), to manage the physical health (physical well-being), and to live with a positive mind (emotional well-being).
    Some notabl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First, Koreans implicitly aware that 'social well-being' is the most influential to their own happiness. Nevertheless, only 1% of the sample engaged in that activities in order to promote and sustain their own social well-being; Second, Koreans implicitly underst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most desired state, albeit as a condition of happiness, emotional well-being they listened to; Third, although 'material prosperity = happiness' is considered a going concern in nowadays Korea, financial security condition of happiness is nothing more than one response was 12%.
    Happiness is a system that works for the entire system of self regulation of human beings. 8 categories of happiness can be understood as sub-components’ health of the whole happiness system. In system theory, in order to regulate harmoniously whole happiness system, sub-components should play their own roles and are connected each other closely, and integrated as a unified system. Balanced and sustainable happiness is emerging when 8 categories of happiness make a integrated whole system. If you want to be happy, you should take the time to ponder about the nature of happiness, and make specific action plan and monitor it's trajector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