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민요 음조직론과 음조직명에 대한 제언 (A Suggestion on the Theory of Tonal Systems of Korean Folk songs and on the Names of the Tonal Systems)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0 최종저작일 2018.08
42P 미리보기
민요 음조직론과 음조직명에 대한 제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민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요학 / 53권 / 2호 / 69 ~ 110페이지
    · 저자명 : 김정희

    초록

    1개의 종지음 또는 주음으로 판별되는 선법론은 우리민요의 특성에 맞지 않다. 민요는 동등한 비중과 역할을 가진 2개의 핵음을 가지며, 이 중 하나로 종지한다. 구성음의 기준은 ‘독자성’이며, 규칙성을 가지고 나타나는 유동음은 음조직 특성의 일부로 고찰할 필요가 있다. 선율진행에서 생략되는 경향을 가진 음이라도 독자성이 있다면 구성음이며, 상하행시의 현상이 다른 것은 음조직적 현상이 아닌 선율진행 속성상의 현상이다. 시김새는 민요 음조직의 필수 요소이다. 음조직 본래의 특성으로 인한 시김새는 변이로 인한 시김새 및 선율적 필요에 의해 나타나는 시김새와 구분되어야 하며, 창부타령조․수심가조․메나리조의 시김새에 대한 일부 학설은 재고가 요청된다. 지역명을 딴 용어는 학술적인 음조직명으로 부적합하며, 음조직 논의에서 지역성과 음조직명은 분리할 필요가 있다. 민요 음조직에 선법론을 적용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으나, 음조직명에 ‘조’를 쓰는 데는 문제가 없다. 민요 음조직의 특성을 구분하는 데는 선법론보다 토리론이 타당성이 있으나, 음조직명에 ‘토리’를 쓰는 데는 문제가 있다. 이에 음조직의 네 요소로 구성음․핵음․선율진행․시김새를, 정형화된 여덟 가지 음조직명으로 창부타령조․메나리조․수심가조․육자배기조․베틀가조․오돌또기조․난봉가조․서도개타령조를 제안한다. 그 외의 유형들에 대해서는 여덟 가지 음조직이 네 요소에서 상호영향을 주고받으며 생성된 변이 유형으로서 설명할 것을 제안한다.

    영어초록

    The modal theory defined with a single cadence tone or tonic isn’t proper to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native folk songs. Korean folk songs have two nuclear tones which have equal weight and role, and either of which makes cadence. Independence determines each natural tone. Flexible tones which appear regularly need to be examined as a characteristic element of the tonal system. Even if a tone has a tendency to be omitted in melodic progression, it’s a natural tone if it’s independent. The difference between up progression and down progression is a melodic phenomenon, not a tonal systemic phenomenon.
    The sigimsae is an essential element of tonal system of Korean folk songs. The sigimsae based on tonal system should be distinguished from those based on interaction or melodic necessity. Some theory on the sigimsae of Changbu Taryeong-jo, Susimga-jo and Menari-jo should be reconsidered.
    The terms named after the names of regions are incongruent as academic terms of tonal systems, and it needs to separate locality from the names of tonal systems in the discussion of tonal system of Korean folk songs. It’s incongruent to apply modal theory to the tonal systems of Korean folk songs, but it doesn’t matter to use jo as a name of it. Tori theory is more proper than modal theory to distinguish characteristics of tonal systems of Korean folk songs, but there are some problems in using tori as a name of tonal system.
    Thus I suggest four elements as tonal system of Korean folk songs; natural tone, nuclear tone, melodic progression, and sigimsae, and also eight names of standardized tonal systems: Changbutaryeong-jo, Menari-jo, Susimga-jo, Yukjaba egi-jo, Beteulga-jo, Odolttogi-jo, Nanbongga-jo, and Seodogaetaryeong-jo. And I suggest to explain the other types as variant types of the four elements and the eight tonal system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민요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