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함흥본 <바리데기>의 죽음의 이해 (Understanding "Death" in , a Shaman Narrative of the Hamheung Region)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0 최종저작일 2018.03
36P 미리보기
함흥본 &lt;바리데기&gt;의 죽음의 이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구비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구비문학연구 / 48호 / 149 ~ 184페이지
    · 저자명 : 신연우

    초록

    함경도 함흥 지경에서 연행되는 사령굿인 망묵굿에 서사무가 <바리데기>가 있다. 그런데 함흥의 바리데기는 우리나라 다른 지역의 바리데기와 결말이 너무도 달라서 해명이 필요하다, 여섯 언니와 바리, 심지어 그 어머니까지 모두 죽는 것이다. 본고는 이 특이한 결말을 문학적, 굿 의례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시도이다.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서사적 이해이다. 상식적으로 이해하기 어려운 함흥본 <바리데기> 서사는 다음과 같이 이해하였다. 아버지조차도 남성적이지 않은 모습은 이 <바리데기>의 특징인데 이는 여성성의 확대의 결과이다. 과도한 여성성으로 인한 문제 발생을 다루었다고 보인다. 이 문제를 막내딸인 바리를 외부로 보내어 해결책을 찾아오게 하였다. 바리는 서천으로 가는 여정에서 다른 사람들을 만나고 위험에서 지혜를 얻어 내면이 비약적으로 성장하였다. 이 점은 지옥을 여행하는 다른 지역과 차이를 보인다. 또한 남편과 아들 열둘을 낳아도 남편 몰래 꽃을 훔쳐오는 것은 남편과 하나가 아닌 여성의 모습을 보여주며 이는 어머니가 남편과의 관계에서 독립성을 잃어버린 것과 대조적인 모습으로 주목된다. 과도한 여성성을 부정한 바리는 돌아와서 어머니를 살리게 되는 것이다.
    둘째, 이상에서 설명한 전반부와, 등장한 모든 여성이 죽고 마는 결말의 서사는 결이 다르다. 옥황에까지 가서 구해온 환생초로 살려낸 어머니조차도 어이없이 죽어버리는 결말 부분은 효를 강조하는 바리공주의 일반적 이해에서 벗어나 있다. 특히 서울 경기의 바리공주가 보여준 효 이데올로기를 부정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효의 결과는 부질없어서 기껏 살아난 어머니도 곧 죽고 만다. 모든 여성이 죽고 마는 것은 효 이데올로기의 전면적 부정으로 보인다. 처음부터 보이던 골계와 무질서가 삼년 묵은 보리 그루터기에 엎어져 죽었다는 허망함으로 이어져서 효 자체를 희화화하고 있다.
    셋째, 서사작품으로의 틀을 넘어서, 함흥본 <바리데기>가 굿이라는 목적 지향성이 강한 의례라는 점을 주목하면 이 무가의 기능이 다른 지역의 바리데기와 달리 일차적으로 망자를 저승으로 인도하는 것이 아니라 망자의 전생탈, 이승탈을 벗기는 것이고, 탈에서 벗어나는 궁극적인 방법은 죽음이기에 등장인물이 모두 죽는 것으로 설정된다는 점을 지적했다. 벗어나야 할 육신의 탈이기에 몸과 죽음에 대한 희화가 가능했다고도 보인다. 또한 바리가 망자를 인도하는 역할을 하지 않기에 그것은 청정각시 또는 저승사자와 동갑들의 몫이 되었다고 이해할 수 있다. 바리가 신이 되지 않고 죽어버리기에 그것은 옥황에서 낳은 열두 아들의 몫으로 이전되었다고 이해된다.
    아울러 이고분 본의 함흥본 <바리데기>는 수용자에 의한 역사적 재해석을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흥미롭다는 점도 지적했다.

    영어초록

    We have a shaman narrative known as <Baridegi> in the Hamheung, Hamkyeong province, northern part of Korea, which is performed in Mangmook-Gut, a shaman ritual for the dead to be lead to the other world. It has a funny ending compared to other versions in other parts of the Korean peninsula. All the characters die including the hero Bari and her mother who was resurrected from death. It is so curious that an explanation should be rendered and this explanation is offered in the light of literary and ritualistic meaning.
    To wrap it up, we have three points. First, I took the note of narrative feature.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Hamheung <Baridegi> is the elimination of masculinity. Even the father of Bari was somewhat comic and showed no sign of the patriarchy of the Joseon Dynasty. It is the result of the expansion of femininity in <Bari> narrative. It shows us the problem of excessive femininity in a society. They sent Bari, the 7th daughter, out of the nation to find the solution. She met other people and learned lessons from the dangers in the way of the other world. She grew and gained wisdom. She stole the flower of life from her husband which shows her independence, unlike her mother who did not lead her own life. Bari who denied excessive femininity returned and revived her dead mother back into life.
    Second, Hamheung <Baridegi> is very different from other versions of the rest region in the way that everybody died. What is the point of her and her mother's deaths? Bari was to be the ancestor of shamans and her mother was to live again as the other versions of <Bari>. They are proof of filial loyalty in traditional society. In Hamheung <Bari> we feel the denial of the tradition. The filial loyalty was so useless that her mother died after all. The epic made a caricature of filial loyalty in the scene of the death of the mother; she fell over a 3-year-old barley stubble and died, finding a temple which did not exist.
    Third, <Baridegi> is not part of literature itself, but for shaman ritual, 'gut' in Korean. Usually Bari becomes a god who is to lead the dead to the other world, but the function of Hamheung <Bari> is different from other versions. The purpose of Hamheung Bari's gut is not to lead the dead but to take away the disorder(탈) of life of the participants of the gut. The disorder of life is related to the past and present life and the only way to get out of it is to die and be reborn, so that all the characters of Hamheung <Bari> are to die.
    I also note that it is interesting that we can recognize the reinterpretation of the traditional society and history of the Joseon dynasty by the gut performers of Hamheung <Baridegi>.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구비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