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환멸의 시학과 ‘죽음의 공동체’ (Poetics of disillusion and ‘community of death’)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0 최종저작일 2015.06
31P 미리보기
환멸의 시학과 ‘죽음의 공동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겨레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겨레어문학 / 54호 / 201 ~ 231페이지
    · 저자명 : 정영진

    초록

    본 연구에서는 시민의 자유 권리에 대한 인식이 정립되어 갔던 1950년대 시에서 자유주의가 어떻게 전유되고 있었는지 고찰하고자 한다. 1950년대 모더니스트 시인들은 시민적/정치적 자유를 강조하고 있었다. 특히 이들은 환멸의식을 내면화하고 있었는데, 이 환멸의식을 바탕으로 정치적 자유에의 지향을 시에서 드러내었다. 본 연구에서 박인환과 송욱에 주목하는 까닭은 이들의 환멸의식이 1950년대 또 다른 시대정신인 부정정신과 결합되어 있기 때문이다. 송욱과 박인환은 죽음을 현상적이고 감각적인 것으로만 활용하는 것을 경계하고, 죽음을 역사현실을 인식하는 매개로 활용했다. 이들은 환멸의식을 바탕으로 ‘죽음의 공동체’라는 시민 표상을 시에 등장시켜, 억압된 한국 사회의 구조에서 자유주의에의 지향을 보여주었다.
    박인환은 외부로부터 간섭받지 않을 자유, 즉 자율적인 사고와 행위를 강조했다. 박인환 시에서의 ‘죽음의 공동체’는 ‘익명적 우리’로 나타난다. 박인환은 현대의 ‘익명적 우리’의 존엄함을 보여주고자 했다. 이는 국가재건과 탈후진을 수행할 국민만들기 프로젝트와 선을 긋는 것이자, 사회주의적 지향을 일정부분 함축하는 것이기도 했다. 송욱의 시에서는 타락한 시민 표상으로서 ‘죽음의 공동체’가 등장한다. 송욱은 시민들의 타락상을 대중의 한계로 보지 않고, 사회 체제의 한계로 재정위 한다. 송욱의 1950년대 시에서는 정치적 자유주의가 끊임없이 강조되고 있었다. 그는 자유가 억압된 현실에서의 시민들을 ‘죽음의 공동체’로 설정하고, 퇴행과 타락하는 모습을 적나라하게 드러냈다. 그러나 이것은 당대 자유주의를 개인주의적이고 부도덕한 것으로 낙인찍었던 도덕적 자유 관념론자들의 비판을 그대로 수용한 것이 아니라, 반대로 이들이 그럴 수밖에 없게 만들었던 부자유의 상태, 즉 자본주의 체제와 억압적 통치체제를 비판하기 위한 것이었다. 박인환과 송욱이 창출한 ‘우리’는 사회주의와 자유주의의 결합 가능성을 보여주기도 하고, 1950년대 사회통합과 계몽의 프로젝트에 내재한 도덕주의 및 합리주의에 대한 비판적 인식을 드러낸다. 이는 당대 정치적 자유주의의 한도를 표시하고, 경험주의적 관점에서 한국 현실에서의 정치적 자유주의의 가능성을 모색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영어초록

    The modernist poets in the 1950s emphasized civil and political freedom. In particular, these poets internalized disillusion, and thus, expressed the pursuit towards political freedom based on this sense of disillusion. The reason why this research focuses on Park In-hwan and Song Wook is that their sense of disillusion is combined with the negative spirit, which is another spirit of the period in the 1950s. Song Wook and Park In-hwan were vigilant in utilizing death as a phenomenal and sensible matter, and thus, utilized such as a medium for perceiving historical reality. They presented the symbol of citizens called as ‘community of death’ based on such sense of disillusion, showing the pursuit towards liberalism within the suppressed structure of the Korean society.
    Park In-hwan emphasized the freedom not to be interfered from the outside world, hence, autonomous thinking and acts. The ‘community of death’ in the poems of Park In-hwan appears as an ‘anonymous us.’ Park In-hwan sought to show the dignity of ‘anonymous us’ in the modern society. This was to draw a line from the project ‘Making the Nation’ related to national reconstruction and the spirit of escaping from backwardness, while implying a certain part of the pursuit towards socialism. ‘Community of death’ appears as a symbol of corrupt citizens in the poems of Song Wook. Song Wook does not regard the corrupted feature of citizens as the limits of the public, but re-positions it as a limit of the social system. Song Wook’s poems of the 1950s continuously emphasize political freedom. He established the feature of citizens within the reality where freedom was suppressed as the ‘community of death,’ and explicitly exposed the feature of corruption and degradation. However, this was not to wholly accept the criticism of the moral freedom idealists that branded the liberalism of the era as individualistic and unethical, but, on the other hand, was to criticize the non-liberalized condition that provided no other alternative. ,In other words, he criticized the capitalist system and suppressive governing system. ‘Us’ created by Park In-hwan and Song Wook shows the possibility of the combination of socialism and liberalism, and also reveals the critical perception over the moralism and rationalism inherent in the project of the enlightenment and social integration. This phenomenon can be seen as marking the limits of the political liberalism at the time and seeking the possibility of political liberalism within the reality of the Korean society from an empirical perspectiv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겨레어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