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80년대 해체시의 웃음시학 - 박남철 시에 나타난 웃음의 부정성(Negativity)을 중심으로 (Poetics of Humor in Deconstructive Poetry in the 1980s : Focused on the Negativity of Laughing in Poems by Park Namcheol)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0 최종저작일 2013.08
29P 미리보기
1980년대 해체시의 웃음시학 - 박남철 시에 나타난 웃음의 부정성(Negativity)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제비교한국학회
    · 수록지 정보 :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21권 / 2호 / 203 ~ 231페이지
    · 저자명 : 김난희

    초록

    본고는 1980년대 해체시의 대표적 시인으로 거론되는 박남철 시의 웃음에 대한 시학적 고찰이다. 일명 ‘유희적 해체’로 불리우는 박남철 시에나타난 웃음의 양상과 의미작용을 시적 언어의 부정성 차원에서 살펴보고자 기획된 것이다. 본고에서 필자가 박남철의 웃음에 주목하였던 것은언어적 파괴와 형태 파괴를 통한 해체적 실험시보다는 웃음을 유발하는유희적 해체시가 ‘가장 박남철다운’ 특성을 지녔다는 판단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문제는 이 웃음이 지니는 의미화를 해체시와 관련하여 어떻게 규명할 것인가가 핵심이었다고 할 수 있는데, 본고에서는 웃음이 지니는해체적 특성과 시적 언어가 지니는 부정성이라는 특성을 접목시킴으로써 웃음의 생성기제가 시적 언어의 부정성으로 기능하고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시적 언어의 부정성 차원에서 살펴본 박남철 시 텍스트에 나타난 웃음의 양상과 기능은 <통사 규칙의 위반과 의미 생성의 다중화>, <언어유희와 파라그람(paragram)적 의미실천>, <범주화의 오류와 타자 드러내기>의 세 항목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먼저, <통사 규칙의 위반과의미생성의 다중화> 같은 경우는 통사규칙의 위반을 통해 유발한 웃음이 의미의 다중성과 불확정성, 유동성을 낳는다는 차원에서 시적 언어의부정성이 생성하는 의미의 무한성과 맥락을 같이 한다고 볼 수 있으며,<언어유희와 파라그람(paragram)적 의미실천>에서는 언어유희를 통한파라그람적 글쓰기가 선(線)적이고 일의적인 의미망을 해체하고 중층적이고 역동적인 의미생산을 가능케 하는 시적 언어의 기제가 되고 있음을살펴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범주화의 오류와 타자 드러내기>에서는 단어의 범주화가 갖는 개념 설정의 경계를 의도적으로 무시함으로써일상적인 단어의 범주가 은폐시키고 있는 의미 영역을 노출시켜 언어의타자성을 드러내는 의미실천이 바로 웃음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is paper poetically looks into the poems of humor written by Park Namcheol who was considered as the representative poet of deconstructive poems in the 1980s. It has been planned in order to look into a ludicrous aspect and meaning on the negativity of poetic language seen in the poems written by Park who is called ‘playful deconstruction’. The author of this paper paid attention to the humor of Park Namcheol because of the decision that,rather than deconstructive experimental poems, playful deconstructive poems leading to laughing have ‘the most Park Namcheol-ful’ features. The problem,however, was how to make clear what meaning the humor has in relation with deconstructive poems. With an aim to make clear that the mechanism of creating laughing works as the negativity of the poetic language, this paper ludicrousness combines deconstructive features with the negativity of a poetic languag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negativity of the poetic language, humourous aspects and functions seen in Park Namcheol's poems could b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the violation of syntactic rules and the collapse of a dichotomous composition; a wordplay and putting paragrammatic meaning into practice; and the errors in categorization and bringing others out. First of all, the violation of syntactic rules and the collapse of a dichotomous composition were in tune with the infinity of the meaning the poetic language has, as the humor brought about by the violation of syntactic rules gave rise to the multiplicity, inaccuracy and flexibility of meaning. Second of all, the wordplay and putting paragrammatic meaning into practice showed that paragrammatic writing through the wordplay worked as a mechanism which was capable of destroying a linear and unidimensional meaning network, but of creating a multi-dimensional and dynamic meaning. Last but not least, the errors in categorization and bringing others out could make sure that, by exposing meaning ranges which usual word categories cover up through the errors in categorization, putting into practice the meaning of bringing others out caused by the errors in categorization is laugh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