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설화의 남성성은 어디에서 탄생했는가, 남성성(男性性) 연구사의 마이너러티와 젠더적 남성성의 시작점 문제 - <최진후 설화>에 나타난 여신살해와 남성성 탄생의 이니시에이션을 중심으로- (Where did the Birth of the Masculinity of Korean Folktale, Minority of the Masculinity’s Research History and Starting Point of the Masculinity of Gender - Initiation of Killing Goddess and Masculinit)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9 최종저작일 2014.12
38P 미리보기
한국설화의 남성성은 어디에서 탄생했는가, 남성성(男性性) 연구사의 마이너러티와 젠더적 남성성의 시작점 문제 - &lt;최진후 설화&gt;에 나타난 여신살해와 남성성 탄생의 이니시에이션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민족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68호 / 505 ~ 542페이지
    · 저자명 : 권도경

    초록

    본 연구는 한국설화의 젠더적(gender) 남성성 탄생과정을 규명해 보고자 했다. 남성성이 지배적 관념의 위상을 차지하게 된 부계제가 모계제를 대체하여 구축되었다는 점에서젠더적 남성성의 탄생을 여성성과의 상대적 관계성 속에서 규명하고자 하였다. 즉, 여성성이 지배적 관념성의 주체성과 등치되던 모계제 시대에도 존재했었던 생물학적 남성성이 어떻게 여성성을 종속화 시켜서 군림하는 사회적 지배관념으로 거듭날 수 있었는가의문제가 된다. 일단, 생물학적․젠더적 여성성에 대응되는 생물학적․젠더적 남성성의 층위는 생물학적 남성성으로 부성과 육체성․호전성, 젠더적 남성성으로 지배성․주체성을 정리해 볼 수 있다. 특히, 후자의 젠더적 남성성은 젠더화 된 결과가 남성중심적사회이념 체계의 종속적인 객체성으로 나타나는 여성성과는 정반대의 경우에 위치한다.
    주로 여성을 대상으로 발휘되는 것으로, 육체적․정신적으로 여성을 지배하고 폭력을행사하며, 역설적으로 생물학적 여성성을 젠더 속에서 발현시켜서 젠더적 여성성으로만들어주는 남성적 상관물이 된다.
    젠더적 남성성의 탄생기제를 규명하기 위해서는 생물학적 여성성이 젠더적 남성성과의 관계 속에서 젠더화 되는 특정한 대상 자료가 요구된다. 본 연구가 모성․생산성의생물학적 여성성의 대명사인 주인공인 마고여신을 살해하고 젠더적 남성성을 획득한강원도의 실존인물 최진후(崔鎭厚)에 관한 설화를 연구대상으로 삼은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마고는 여신의 고유명사이자 전국적으로 산재한 여성신의 일반명사이기도 하다.
    지역에 따라서 다양한 이름으로 변주되기도 하지만 이들은 천지를 창조하고 자연지물을탄생시키며 생명과 풍요를 주관하는 마고여신이 각 지역마다 특수하게 변주된 지역적변이형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강원도의 마고여신을 살해하고 지배적 남성성을관념적으로 보편화 시킨 유교적 교화를 강원도 지역에 구축한 최진후는 전국에서 마고여신을 살해하고 젠더적 남성성을 획득한 남성신으로 보편화 시켜서 치환할 수 있는 인물이 된다고 할 수 있다. 대상 텍스트들 속에서 최진후는 남성성이 특별히 부각되지 않는 인물에서 젠더적 남성성을 폭발적으로 과시하는 남성으로 재탄생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최진후의젠더적 남성으로의 재탄생은 모계제 사회의 대모신인 마고여신의 생물학적 살해와 젠더적 재배치를 통해 이루어진다. 즉, 마고여신 살해를 통한 여신의 생물학적 여성성을 젠더적으로 재배치하는 과정은 최진후란 남성이 젠더적 남성으로 확고히 재탄생되는 통과제의가 된다고 할 수 있다. 최진후를 젠더적 남성으로 탄생시키는 사회문화적 기제는 오늘날의 17세기 전후 시기 강릉․삼척 일대에 구축되어 가던 사족세력의 유교적 교화를확장이란 지배관념의 역사적 지평과도 맥락이 닿는다. 유교란 이데올로기가 17세기 이후의 조선사회를 지배한 관념이라고 할 때, 유교적 관념체계 구축에 앞장 선 최진후의 젠더적 남성성 획득은 곧 전 지역을 아우르는 지배적 관념성으로서의 남성성 구축에 해당된다고 할 수 있다. 강원도 지역설화인 <최진후설화>를 통해서 확인해본 여신살해와 젠더적 남성성의 탄생기제의 각 지역별 확인은 다음의 후속 과제가 된다.

    영어초록

    This paper was willing to investigate the birth of the Masculinity in Korean Folktale. It is to inquire into the Birth of the gendered Masculinity in relativity with womanhood in the point that a patrilineal system was replaced Matrilimy.
    there are paternity and physicality․bellicosity as biological masculinity and masculinity․subjectivity as gendered masculinity in masculinity corre sponding to biological․gendered womanhood. Especially the latter gendered masculinity is that dominates and uses violence against woman. Paradoxically it is masculine correlative that fetches out biological womanhood in gender and makes it gendered womanhood.
    To investigate the mechanism of the Birth of the Masculinity, materials that biological womanhood comes to be gender in the relationship with gendered masculinity is necessary. This is the reason that this study makes folktale about a historical real person at Gangwondo Choi jin hoo to kill godmother Mago goddess and to accept gendered masculinity research object.
    In target texts, Choi jin hoo is being reborned from the person who masculinity is not highlighted specifically to character make a show of gendered masculinity explosively. This Choi jin hoo’s rebirth to gendered masculinity gets accomplished through killing Margo biologically and gendered replacement. That is to say, the process that replace goddess’s biological womanhood a sort of gender through killing Margo is initiation that Choi jin hoo is reborn gendered man.
    Sociocultural mechanism that is reborn Choi jin hoo as gendered man reaches the context to historical prospect of ruling conception that local noble family spreaded confucian indoctrination in Gangneung․Samcheok around the 17th century. It is conform to building of masculinity as dominant ideality to cover all areas that Choi jin hoo acquired gendered masculinity, as the notion that confucian ideology ruled Chosun society around the 17th centu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