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현대의 과학 시대에서도 신앙은 과연 의미가 있는가?: 과학주의에 관한 비판적 고찰을 통한 신앙의 의미 탐색 (Is Belief Still Meaningful Even in a Contemporary Scientific Era?: An Inquiry into the Meaning of Belief through Critical Consideration on Scientism)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9 최종저작일 2019.03
41P 미리보기
현대의 과학 시대에서도 신앙은 과연 의미가 있는가?: 과학주의에 관한 비판적 고찰을 통한 신앙의 의미 탐색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신학전망 / 204호 / 130 ~ 170페이지
    · 저자명 : 김도현

    초록

    오늘날 자연 과학은 우리의 삶과 사상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더 나아가 과학의 범주 바깥에 있는 것들, 심지어 신앙과 종교의 영역에 속하는 현상들까지도 머지않아 과학이 명확하게 설명해 줄 것이라고 주장하는 소위 ‘과학주의’의 신봉자들이 힘을 얻고 있다.
    그렇다면 이들의 주장대로 과연 과학은 이 세상의 모든 것들을 다 설명해 줄 수 있는가? 그리고 현대의 과학 시대에 신앙이라는 것은 과연 의미가 는 것일까? 필자는 바로 이 문제에 대한 나름의 답을 제시하기 위해 과학주의에 관해 4가지 방식으로 비판적 고찰을 한 이후 결론적으로 신앙의 의미와 가치에 관해 다음의 결론을 얻게 되었다.
    우선 과학에서 가장 근원적인 두 이론인 우주론과 진화론이 갖고 있는 한계인 ‘확률적 우연성’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과학주의자들과 유신론자들은 동일한 과학 연구 안에서도 신앙/종교의 두 가지 상반된 입장에 기대는 일이 발생하고 있다. 둘째, 과학은 그들에게 속한 과학 법칙들이 ‘왜 그러한지에’ 대해서 설명하지 못하는 한계를 노출하고 있다. 셋째로, 과학은 법칙들을 이끌어 내는 논리인 귀납법 자체가 지닌 근본적인 한계를 피할 수 없다. 넷째, 과학 이론/법칙들이 영원한 진리가 아니라 현 상황에서 유용한 도구 정도에 불과할 수도 있다는 반실재론적 주장이 이론 물리학자들과 과학 철학자들을 중심으로 설득력을 얻어감에 따라, 과학이 현재 지니고 있는 보편타당한 진리를 추구하는 학문으로서의 입지는 궁극적으로 흔들리게 된다. 이러한 경우 과학이 과학의 영역 바깥의 신앙/종교를 설명하려고 시도하는 것은 어불성설이 될 것이다.
    신앙은 분명히 과학의 영역 바깥에 존재하는 질문들에 대한 응답 능력을 갖고 있다. 종교를 완강하게 배척하는 과학주의자들도 그들 자신에게 개별적인 종교적 성향이 있으며, 이 세상의 어떠한 사람도 종교성을 탈피하는 것은 근원적으로 불가능하다. 그래서 현대의 과학 시대에도 신앙은 여전히 의미가 있는 것이다.

    영어초록

    Nowadays, natural sciences has crucial influences on our lives and thoughts. Furthermore, the followers of so-called “scientism” insist powerfully that science will explain clearly every thing outside the category of sciences, including faith and religion.
    Then, can science explain everything in our world as it insists? And, is belief still meaningful even in a contemporary scientific era? In order to give my own answers to these questions, I considered scientism critically using four ways and I obtained some conclusions on the meaning and value of faith as follows: Firstly, when ‘probabilistic chance’ is accepted and explained by both physical cosmology and biological evolution -the most fundamental theories in natural science- as their scientific bases, followers of scientism and theists lean on two extreme opinions about faith and, religion, respectively. These is clear evidence that the foundations of science are not so firm and depend on faith/religion as its most fundamental parts. Secondly, science cannot explain “why their scientific laws are as such”, which show their limitations. The nonexistence of ‘causa finalis’ in science has become a driving force for the birth and growth of modern science, whereas, at the same time, questions and answers on ‘causa finalis’ of scientific laws still depend on the categories of metaphysics and faith/religion. Thirdly, science cannot avoid the crucial limitation of induction itself by which they obtain their laws. Therefore, they may face some challenges of such questions like “is it really proper for science with such weak logical bases to attempt to explain several phenomena of faith/religion?”. Fourthly, as many theoretical physicists and philosophers of science agree with anti-realistic arguments that scientific theories/laws are not eternal truths but useful instruments in the present situation, the present position of science as studies pursuing universal truths shall be finally shaken. In this case, science in itself will show its academic limits and it will be regarded as useless to try to explain faith/religion outside the spectrum of sciences.
    When we meet such a question as “is belief still meaningful even in a contemporary scientific era?”, we can answer still positively. Because belief has an ability to answer questions on categories outside the range of science. The followers of scientism who exclude belief/religion strongly have their own religious tendencies and it is entirely impossible for anyone to escape from his/her religious tendency. Therefore, belief is still meaningful even in a contemporary scientific er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