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顧齋 李炳殷의 漢詩 文學論 -20세기 西學(新學)에 대한 儒學(舊學)의 對應과 恢復의 관점에서- (The Literary Thoughts of Gojae Lee Byeong~eun -With Focus on Chinese Poetry Literary Theory to Take Confucian Action to Cope with the 20th Century Western Learning-)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9 최종저작일 2013.02
29P 미리보기
顧齋 李炳殷의 漢詩 文學論 -20세기 西學(新學)에 대한 儒學(舊學)의 對應과 恢復의 관점에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간재학회
    · 수록지 정보 : 간재학논총 / 15권 / 261 ~ 289페이지
    · 저자명 : 장병한

    초록

    顧齋李炳殷(1877~1960)은 우리나라 구한말에서 현대로 이어지는 대변혁의전환기적 시대에 살면서, 당시의 상황을 桑田碧海와 같은 급변의 시대로 진단하였다. 당시 한국 사회는 전반적으로 서양문화의 신학과 자유주의에 침염되어 가는 수렁에 빠져있었다. 서양의 자유주의와 개인주의 및 營利一邊倒의 사상 체계는 開明, 新文明, 또 新學이란 허울 좋은 미명아래, 이전 유학의 전통과 문화를 舊學으로 罵倒또는 破棄하는데 혈안이 되고 있었다. 그렇지만 고재는 미래의 언젠가는 다시 우리나라가 小中華의 나라로서 세상 만방에 명성을 떨치게 될 것임을 예단하였다.
    고재는 위와 같은 시대 인식과 진단에 근거하여, 당시 20세기 西學(新學)에대한 儒學(舊學)의 對應과 恢復의 관점에서, 선사 간재의 심본성설에 근거한道本文末論을 일생의 指南으로 삼아, ‘道는 根이고 源이며, 文은 그 枝流이다.’고 주장하였다.
    西學에 대한 儒學의 對應과 恢復의 詩的展開에 있어, 그는 당시 참담한 농민의 삶을 그려낸 다수의 農民詩를 남기고 있는데, 이들 漢詩작품들은 자신의 耕讀兼行의 실천적 전개과정에서 産生된 것으로, 여타 기존의 타자화된 士大夫들의 農民詩와는 달리, 過重한 勞動과 租稅, 그리고 飢餓에 시달리고 있는 농민들의 삶을 생동감 있게 사실적으로 고발하고 있다. 그리고 그는 西洋新學의 沈惑性에 대한 悲歎과 자기 省察의 情緖를 深度있게 그려낸 많은 漢詩도 남기고 있다. <舊鐵鼎>에서는, 유교적 전통에서의 모든 질서와 학문체계인 舊鐵鼎(舊學의 상징)이 그 간의 큰 공헌은 아랑곳없이 賤視되고, 그 대신서양의 실용적이고 가벼운 솥(新學)이 貴重視되는 현실을 아이러니한 필치로그려내고 있으며, <탕자가>에서는 ‘이제 自由의 權柄이 어디에 있는가?’라는詩人의 외침은 당시의 西洋新學問의 沈惑性이 얼마나 酷毒했는 지를 잘 말해 주는 동시에, 자기 성찰의 기회 또한 제공하고 있다. 그리고 明道와 警戒의 詩學을 통한 유학의 恢復이란 정서를 표출하는 다량의 한시 작품을 남기고 있는데, <贈諸生>에서, 당시 서양의 自由字와 私心및 私利의 유입으로 인하여 전통 유가의 孝정신이 抹殺되는 것을 목도하고, 그 聖賢의 책을 읽어보기를 간곡하게 요청함을 통해, 유교의 복원을 기획했다. <新學>에서는, 서양의 邪敎(新學)를 물리치는 데는 우리 유학의 도를 밝히는 것이 최선책임을제안함을 통해, 西學(新學)에 대한 儒學의 恢復의지를 드러내었다.
    위와 같은 고재의 한시 문학론은 기본적으로 주자와 간재의 도본문말론의시학론 체계에 근간을 두는 가운데서도, 그의 시적 형상화의 전개에 있어서는그 문학성과 사실성 및 사회성이 투철하게 반영되어 나타나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농민 삶의 사실적 묘사의 시 정신, 서학 즉 신학의 침혹성에 대한 작가의 비탄정서와 고발정신, 구학 즉 유학의 恢復을 위한 傳道와 明道의 적극적인 시학 전개는 전통 유학의 끝 지점에 서있는 儒者로서, 또 士로서의 투철한책임의식과 국가와 국민에 대한 救濟的召命意識과 자기 성찰의 투영적 산물임을 명시하기에 충분하다.

    영어초록

    Gojae Lee Byeong~eun (1877~960) who was a disciple of Ganjae Jeon Woo (1841~922)in the Jeonju region and one of the three Jaes diagnosed the revolutionary epoch~making age from the late period of Joseon to modern times as rapidly changing critical circumstances like ‘mulberry plantations changed into a sea.’ Korean society at that time was generally buried in new sciences and liberalism of Western culture and the enlightenment and thoughts of previous traditional Confucianism was converted into Western consciousness system and the words of Confucian sages were regarded as being not worth the emulation, and their manners were also regarded as not being worth the practice. But Gojae firmly believed that before the sky disappears, the enlightenment of Confucianism and scriptures of the sages would not disappear and predicted that someday in the future our country would become the little ‘Flowery Kingdom’ and achieve worldwide fame.
    In an effort to cope with new sciences of the West and to overcome it, he developed the literary theory of Chinese poetry. In connection with enlightenment and science theory, he set enlightenment~ first~ and~science~last theory based on his teacher Ganjae’s mind essentiality theory as his lifetime guidance and asserted that ‘enlightenment is the root and source and science is its tributary,’and left many peasant poems that described the miserable life of farmers at that time and many Chinese poems that described profoundly the emotions of lamentation about declining Confucianism. Particularly, in his Gucheoljeong he ironically described the reality at that time in which Gucheoljeong(symbol of the old learning) which was all the order and literary system in Confucian tradition was disparaged without recognizing its past contribution and instead practical and frivolous caldron (new science) was highly regarded. And in Jeungjaesaeng, he witnessed that the traditional Confucian spirit of filial duty was annihilated due to the inflow of free letters,selfish motives and selfishness of the West and attempted to restore Confucianism through sincerely requesting to read the books of Confucian sages, and in Shinhak, he suggested that it was the wisest policy to enunciate our Confucian enlightenment, i.e. the old learning, to repel the false religion (new science) of the Wes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8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