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노인의 노노케어 사업 참여 경험에 대한 현상학 연구:코로나 19 시대의 노인 돌봄 제공은 어떻게 달라졌는가? (A Phenomenology Study on the Experience of Older Adults Participating in ‘Elder-to-Elder Care’ : How Has 'Elder-to-Elder Care' Changed During the COVID-19 Pandemic?)

5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9 최종저작일 2023.04
55P 미리보기
노인의 노노케어 사업 참여 경험에 대한 현상학 연구:코로나 19 시대의 노인 돌봄 제공은 어떻게 달라졌는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회복지실천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미래사회복지연구 / 14권 / 1호 / 73 ~ 127페이지
    · 저자명 : 김담이, 남보영

    초록

    본 연구는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 중 노노케어 사업에 참여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이들이 경험한 돌봄의 의미에 대해 심층적으로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를 위해 자발적으로 연구에 동의한 노인 8명을 대상으로 참여관찰과 심층인터뷰가 진행되었다. 수집된 질적 연구 자료는 van Manen(2016)이 제시한 4개의 실존체인 신체성, 공간성, 관계성, 시간성의 차원으로 나누어 분석되었으며, 그 결과 12개의 본질적 주제, 58개의 드러난 주제가 확인되었다. 결집된 본질적 주제는 “신체성: 노년기 무위(無爲)에서 벗어나 가볍게 활동하기, 가사노동으로 부산스럽게 움직이는 몸, 활동에 참여하기 위한 전제조건이 되는 건강한 신체, 상해와 코로나19 확진으로부터 회복하기”, “공간성: 수혜자 노인의 주거환경 개선, 수혜자 노인의 죽음을 체험한 집, 코로나19 시기에 경험한 공간의 상실과 회복”, “관계성: 가깝고도 먼 사이, 측은지심(惻隱之心)을 가지고 수혜자 노인 수용하기, 만남과 헤어짐의 반복”, “시간성: 활동이 움츠러든 코로나19의 시간, 시간이 지나도 해결되지 못한 과제들”로 명명하였다. 분석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건강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객관적인 기준 마련, 집합교육의 다양성과 질적 제고, 노노케어 담당 사회복지사의 고용안정성과 고용의 질 향상, 노노케어 수혜자를 위한 지역사회 내 다양한 기관 연계, 노노케어 참여 노인의 단계적 급여 상향을 제언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meaning of care experienced by older adults participating in elder-to-elder care in the Senior Employment and Social Activity Support Program.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ight older adults who voluntarily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This study presented 12 essential themes and 58 subthemes, divided into four fundamental existential themes by van Manen (2016): “lived body,” “lived space,” “lived human relation,” and “lived time.” An analysis of van Manen’s existential themes revealed the following: lived body: working lightly away from inactivity in old age, a body that is busy with housework, a healthy body that is the only prerequisite for participating in an activity, and recovering from COVID-19 and injuries; lived space: improvement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the house that experienced a death of an older adult beneficiary, and loss and recovery of space experienced during the COVID-19; lived human relation: close and far away, accommodating older adult beneficiaries with compassion, repeated meetings and breakups; lived time: the period of COVID-19 when activities decreased, and challenges that have not been resolved over time.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setting objective standards for identifying health conditions, enhancing the diversity and quality of collective education, improving the employment stability of social workers, linking various institutions in the community for beneficiaries, and phased increase in salar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9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