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학계의 고유성은 존재하는가? 한국 사회학과 국제 사회학의 지식 담론 구조 비교를 중심으로 (Is Korean Academia Unique? A Comparison of Knowledge Discourses between Korean and International Sociology)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9 최종저작일 2020.11
40P 미리보기
한국 학계의 고유성은 존재하는가? 한국 사회학과 국제 사회학의 지식 담론 구조 비교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회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회학 / 54권 / 4호 / 1 ~ 40페이지
    · 저자명 : 김란우, 송수연

    초록

    이 연구는 한국 학계와 국제 학계의 지식 담론 구조의 차이를 조명하고 한국 학계의 현재를 진단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1년부터 2018년까지 KCI와 SSCI에 사회학 분야로 출판된 논문들을 대상으로 텍스트 분석을 활용하여 지식 생산 구조에 있어 두 학계 사이에 간극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실증적 분석을 통해 고찰하였다. SCI급 학술지로 대표되는 국제 저명 저널의 출판에 인센티브를 주는 현행 제도는 국제 학계에 대한 편향성을 강화한다는 점에서 비판을 받았지만, 한국 학계가 국제 학계와 비교하여 어떠한 학술적 차이를 지니는지에 대한 경험적 논의는 상대적으로 드물었다.
    연구의 결과는 크게 세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한국 학계와 국제 학계에서 사용되는 고유어와 공유되는 용어 비중을 살펴본 결과 두 학계 간의 유사성이 높지 않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둘째, 구조적 토픽 모형을 통해 국내 학계와 국제 학계에서 자주 언급되는 연구 주제의 차이를 살펴보았을 때, 한국 사회학계가 관심을 갖고 논의하는 주제의 종류가 국제 사회학계와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어 두 학계에서 중요하게 다루는 지식 담론에 본질적인 차이가 있음을 밝혔다. 셋째, 연결망 구조를 활용하여 한국 학계와 국제 학계의 지식 담론 구조를 비교분석한 결과, 연구 주제들 간의 관계 양상과 연결망 구조가 다르게 나타나며, 두 학계 간의 이질성은 2011년부터 2018년의 기간 동안 좁혀지지 않았다.
    이 연구는 한국 학계가 국제 학계와 차별화되는 지식 담론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는 점에서 토착화의 가능성을 제시하며, 국제 학계와 비교하여 어떠한 고유성 특성을 가지고 생성되고 발전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결론을 통해 한국 사회학의 발전을 위해 지식 공동체의 구성원으로서의 역할과 한국적 지식 담론을 통한 보편성 추구의 가능성에 대해 논의한다.

    영어초록

    Korean academia has sought to secure its own uniqueness differentiating it from global academia. Despite the constant debate over the academic dependency of non-Western scholars on Western academia, there has been little substantive evidence showing whether Korean academia is subordinate to global academia or whether it has developed its own distinctive knowledge discourses. Analysis of this topic is particularly important because the current university evaluation system often provides strong incentives for scholars to publish in journals indexed in the SSCI. If Korean academia features distinctive knowledge structures compared to international academia, then the emphasis on producing SSCI publications may actually be undermining the uniqueness of Korean academia by incentivizing Korean scholars to follow international trends. By analyzing all published research articles in the field of sociology collected from both KCI and SSCI-indexed journals between 2011 and 2018, we compar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 knowledge discourse structures of Korean and international sociology, focusing on three key points: shared terms, topic distribution, and networks of topics. Our results show that Korean and international academia share rather few academic terms, that there are distinct differences in the topics of interest between KCI and SSCI. Also, our results demonstrate that Korean sociology produces knowledge discourses in response to the changing needs of Korean society, and that Korean academia connects topics in different ways than international academia. In light of these findings, we discuss the role of scholars and scholarship with respect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academi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1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