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낫질하는 자, 그의 이름은 죽음” - 『베를린 알렉산더광장』에 나타난 『소년의 마적』의 현대적 수용 (“Es ist ein Schnitter, der heißt Tod” – Des Knaben Wunderhorn und dessen moderne Rezeption in Berlin Alexanderplatz)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9 최종저작일 2018.03
22P 미리보기
“낫질하는 자, 그의 이름은 죽음” - 『베를린 알렉산더광장』에 나타난 『소년의 마적』의 현대적 수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독어독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독어독문학 / 59권 / 1호 / 29 ~ 50페이지
    · 저자명 : 신성엽

    초록

    『베를린 알렉산더광장』은 “프란츠 비버코프의 이야기”라는 부제를 달고 있다. 대도시의 운명적 인간 비버코프는 생각 없이 살다가 이다와 미체를 잃고 끊임없이 되풀이되는 대도시의 악마적 사건에 휘말린다. 그런 그에게 소설의 몽타주 형식의 일환인 민요는 비버코프를 자기 인식에 이르게 하여 표현주의 시대의 주인공을 새로운 인물로 재탄생시킨다. 비버코프의 이야기는 작자미상의 민요 「낫질하는 자, 그의 이름은 죽음」과 텍스트 서사가 유사하다. 이는 비버코프의 이야기를 진행하는데 민요가 주요한 미적 장치이자 모티브라는 것을 의미한다. 소설에는 서사의 동인으로서 시적 상상력이 배태된 민중의 노래가 다수 등장한다. 이 중에서 「라인강의 파수꾼 Die Wacht am Rhein」(1840), 「죽음과 소녀 Der Tod und das Mädchen」(1826), 「추수곡 Erntelied」(1806)은 비버코프의 인생역정을 설명하는데 주요한 노래이다. 특히 ‘낫질하는 자, 그의 이름은 죽음’은 민요집 『소년의 마적』에 수록됨으로써 독일 전역에 널리 전파되고 20세기 되블린의 주인공에게도 영향을 미친다. 비버코프는 민중문학 주인공의 계보에 위치한다.

    영어초록

    In der vorliegenden Arbeit wird veranschaulicht, wie sich die Volkslieder in Des Knaben Wunderhorn in Berlin Alexanderplatz zeigen und wie Franz Biberkopf, der mit ‘Schicksalhunger’(Benjamin) gesagt werden soll, endlich zur Selbstreflexion gekommen ist. Döblins Berlin Alexanderplatz hat den Untertitel Die Geschichte vom Franz Biberkopf. In dem Reflexionsprozess der Hauptfigur werden Volkslieder z.B. “Die Wacht am Rhein”, “Der Tod und das Mädchen” und das “Erntelied” mit seiner Geschichte in Verbindung gebracht. Das letzte Lied enthält den Vers, “Es ist ein Schnitter, der heißt Tod” und dieser Vers bildet im Roman ein wiederkehrendes Motiv.
    Bei den Übernahmen aus Des Knaben Wunderhorn werden die Volkslieder nicht unverändert zitiert, sondern “dem neuen Kontext inhaltlich”(Barth 2005, 112) angepasst. In diesem Sinne setzt sich die Geschichte von Biberkopf mit einem ähnlichen Inhalt wie "Der Schnitter, Tod" auseinander, dessen Verfasser aber unbekannt ist. Vor allem in Bezug auf Franz Biberkopf werden “Die Wacht am Rhein”(1840), Schuberts “Der Tod und das Mädchen”(1826) und das “Erntelied”(1806) analysiert, wobei die Lieder im Wunderhorn die ‘närrische Vernunft’(Heine) der deutschen Völker und auch der expressionistischen Hauptfigur Bieberkopf reflektiere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독어독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