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기본소득은 사회보장을 위한 최선의 대안인가?: 사회정책의 필요(needs) 개념에 입각한 비판적 검토 (Is Unconditional Basic Income the Optimal Solution for Social Security?: A Critical Review Based on the Concept of ‘Needs’ in Social Policy)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9 최종저작일 2016.12
29P 미리보기
기본소득은 사회보장을 위한 최선의 대안인가?: 사회정책의 필요(needs) 개념에 입각한 비판적 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 수록지 정보 : 사회복지정책 / 43권 / 4호 / 79 ~ 107페이지
    · 저자명 : 김병인

    초록

    이 연구는 사회정책의 ‘필요’(needs) 개념에 입각하여 기본소득에 대해 검토하였다. 인간의 필요(need) 는 사회정책의 심장이며, 복지국가의 중추인 소득보장제도는 필요충족을 위한 사회권을 통해 제도화되었기 때문이다. 이 연구는 이점에 근거하여 소득보장제도와 비교를 통해 접근하였으며, 기본소득이 사회정책의 ‘필요’ 개념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이와 같은 비판은 기본소득이 필요에 따른 재분배체계가 아니며, 반(反)집합적이며 개인주의적 정책에 가깝다는 점에 기초했다. 기본소득은 필요충족의원칙에 위배된다. 전통적 의미에서 사회정책과 무관하며, 조세정책이나 부의 재분배 정책에 가까운 것이다. 또한 필요충족을 위한 사회권과 무관한 기본소득은 복지국가의 재상품화 경향과 조응할 수 있다. 소득보장제도의 탈상품화 기능을 철폐함으로써 한계노동인구의 노동공급을 촉진하여 노동시장의 분절구조를더욱 공고히 할 공산이 크다. 기본소득은 근로유인에 친화적이며 임금보조정책의 성격을 가졌기 때문이다. 또한 개인화된 접근의 특성상 기본소득은 표준적인 필요에 기초하여 집합적으로 조직된 소득보장 시스템을 해체하고 사회서비스 시장화에 조응할 가능성이 충분하다. 기본소득이 복지국가를 보완하거나, 대안이 되기엔 위험한 도구인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기본소득이 아닌 소득보장제도의 확충에 대한 논의에 집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불안정한 노동시장을 주어진 숙명으로 받아드리면서 복지국가가 이에 적응하는 데 초점을 맞추는 접근에서 벗어나야할 필요성도 언급했다. 그리고 인간의 필요와 사회권의 관점에서 노동시장 개혁과 소득보장제도의 확충을 함께 모색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reviewed Unconditional Basic Income(UBI) based on the concept of ‘needs ‘ in social policy, because needs is at the heart of social policy and Income Maintenance Institutions became institutionalized in order to ensure social right to satisfaction needs.
    Therefore, this article examined UBI by comparing it with income maintenance institutions, and pointed out that it does not support the concept of ‘needs’ in social policy. The criticism was based on the grounds that (i) UBI is not redistribution according to needs, and (ii) it is closer to individualised measure than to collectivist one.
    UBI violates the principle of needs satisfaction. It is irrelevant to social policy in the traditional sense, and, rather, similar to tax policy or redistribution one of wealth in its nature. Also, UBI, which is irrelevant to social right to need satisfaction, may correspond to the re-commodification tendency in welfare states. It is likely to reinforce the labour market segmentation by eliminate de-commodification enabled by income maintenance institutions and, thereby, accelerating the supply of labour powers. UBI supports work incentives and supplements wage. Also, considering its individualized approach, UBI entails considerable probability to dismantle income maintenance systems and support marketisation of social services. It is because UBI is a risk instrument for supplementing or providing an alternative to welfare state. Therefore, this article suggested the relevant discussions focus on expanding income maintenance institutions rather than adoption UBI, and discussed the need to accept instability of the labor market as well as to change the current approach to and focus on adaptation to it. Furthermore, the article proposed examination of the labour market reform and expansion of income maintenance institutions from the viewpoints of human need and social righ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회복지정책”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