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젠더갈등은 어떻게 우리 사회의 주요 담론이 되었는가?: 보수언론의 젠더갈등 기사 분석을 중심으로 (How Gender-Conflict Becomes the Main Discourse in Our Society?: Focused on Gender-Conflict Articles From Conservative Media)

5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9 최종저작일 2022.06
57P 미리보기
젠더갈등은 어떻게 우리 사회의 주요 담론이 되었는가?: 보수언론의 젠더갈등 기사 분석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 수록지 정보 : 미디어, 젠더 & 문화 / 37권 / 2호 / 99 ~ 155페이지
    · 저자명 : 홍지아

    초록

    이 연구는 2021년 보궐선거 이후, ‘역차별 받는 20대 남성’이 대선을 준비하는 정치권의 주요 캐스팅보트로 소환되는 현상을 배경으로, 2021년 한국의 대표적인 보수언론(조선, 중아, 동아일보)이 생산하는 젠더갈등 담론을 분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젠더갈등의 주체와 원인으로 어느 개인이나 집단을 특정하는지, 젠더갈등에 대해 설명하고 비판하며 담론을 주도하는 이른바 담론 엘리트로 누구의 목소리를 소개하는지, 젠더 갈등에 대한 보도에서 적시되는 젠더 갈등의 내용은 무엇인지, 젠더갈등을 생산하는 책임은 누구에게로 집중되는지, 젠더 갈등에 대한 보도는 갈등의 중계와 대안제시, 어느 쪽에 비중을 두어 이루어지는지 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2021년 젠더갈등이 발화되거나 논의되는 공간의 대부분이 정치권과 온라인이었으며 젠더갈등 이슈에 대한 주요 발화자는 이준석, 하태경 등 정치인들과 온라인 남초 커뮤니티, 진중권 등 소수의 담론 엘리트임이 밝혀졌다. 정치적 이유에 의한 ‘역차별 받는 이대남’의 전략적 소환은 ‘여성에 대한 구조적 성차별은 존재하지 않음’을 전제로 여성 우대정책을 펴는 여가부를 젠더갈등의 유발자로 비판한다. 또한 온라인 남성 커뮤니티의 게시판과 댓글을 기사화함으로 ‘역차별 받는 남성’과 ‘남성을 혐오하는 여성’의 대립구도를 통해 젠더갈등 담론을 구체화한다. 온라인 커뮤니티의 혐오 발화를 이대남/이대녀를 대표하는 목소리로 과잉재현하는 보도는 현실을 사는 이십대 여성과 남성들의 목소리를 삭제한 채 여혐과 남혐의 선정적 대립구도를 재생산한다. 또한 이러한 대립구도는 젠더갈등 담론을 특정 세대만의 문제로 축소하며 젠더갈등을 ‘그들만의 문제’로 고립시킨다. 이 연구는 현재의 젠더갈등 담론이 한국사회가 당면한 사회적 재생산의 위기 해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위험성을 지목하며 생산적인 젠더갈등 담론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20대 남성의 역차별에 집중하며 정치인과 온라인 커뮤니티에 의해 주도되는 젠더갈등 담론은 노동 현장에서의 성차별, 돌봄노동의 젠더화로 인한 기혼 여성의 경력단절, 성폭력에 대한 여성의 일상화된 공포 등, 20대 남성의 시각에서는 보이지 않는 젠더갈등의 이슈들을 외면하거나 축소한다. 결국, 남녀가 동등한 기회를 누리는 교육을 제외한 노동, 돌봄, 젠더화된 범죄의 영역에서 이루어지는 구조적 성차별에 대한 논의를 배제하는 기형적 젠더갈등 담론이 생산되는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methods used by Korea’s major conservative media to create discourse regarding gender conflict in 2021, when the theme of ‘Men in their 20s undergoing reverse discrimination’ rose as a main deciding factor in the election.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s the following: which individual or organization is specified to be the reason and agent of conflict when discussing gender conflict, whose voice is represented as the elites of discord who explain and criticize gender conflict while leading the discourse, the context of gender conflict shown in reports about gender conflict, who is pointed out as responsible of generating gender conflict, and whether reports of gender conflict focus on relaying the conflict or suggesting an alternative. To do this, this study examined and analyzed news from Chosun Ilbo, Donga Ilbo, and Joongang Ilbo in 2021. As a result, this study reveals that discussion of gender conflict in 2021 took place mostly in political circles and online, and the main speakers of gender conflict issues are a small number of elites of discord such as politicians, online male- dominated communities, Jin JoonGwan etc. Also, those who assume systematic sexual discrimination (such as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feminism or feminists) and promote policies preferential to women, which is the premise for reverse male discrimination, are targeted as the main contributor of gender conflict. Those excluded from the discourse of gender conflict are the history of sexual discrimination, discussion of existing sexual discrimination, and the voice of men and women of the real world in their 20s. This study points out the risk of the current gender conflict discourse having a negative effect on solving the social reconstruction crisis that Korea’s society is currently facing, and proposes the necessity of a constructive gender conflict discour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