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인칭 관찰자 시점의 창작효과 - 「모든 영광은」, 「벌레 이야기」의 지연 효과를 중심으로(1) (Effects of First-Person Observation in Novels - Centered on the Delay Effects of “All Glory” and “The Story of the Worm”(1))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9 최종저작일 2021.12
24P 미리보기
일인칭 관찰자 시점의 창작효과 - 「모든 영광은」, 「벌레 이야기」의 지연 효과를 중심으로(1)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 리터러시 학회
    · 수록지 정보 : 리터러시 연구 / 12권 / 6호 / 631 ~ 654페이지
    · 저자명 : 박덕규

    초록

    근대소설에서 서술자의 시점은 서술에 질서를 부여해 플롯을 정당화하는 근거로작동되고 있다. 이 논문은 일인칭 시점 소설에서 특히 주인물의 특별한 경험을 그 주변인인 ‘나’가 독자에게 의미 있게 각인될 수 있게 서술함으로써 일정한 효과를 거둔소설을 주목한다. 이는 시점 연구에서 분석 단계를 넘어 창작적으로 유효한 방법론을얻으려는 시도다. 황순원의 「모든 영광은」과 이청준의 「벌레 이야기」는 일인칭 관찰자 시점을 전략적으로 채택해 문학적 성취를 이룬 예로 창작적 방법론이라는 측면에서도 좋은 길잡이가 된다.
    「모든 영광은」은 전란 중에 피해자이자 가해자가 된 한 사내가 자신이 처한 극심한모순을 사랑의 힘으로 극복해 가는 과정을 ‘나’가 관찰자로서 수렴하고 있다. 소설 전반부에서 ‘나’는 사내의 접근을 불쾌하게 여기며 거부감을 드러낸다. 그러나 점차 사내의 얘기에 빠져들면서 끝내 사내가 취할 행동에 대해 지지하게 된다. 여기서 ‘거부감’에서 ‘연대감’으로 전이되는 ‘나’의 심리적 전이과정은 곧 일인칭 관찰자로 채택된‘나’의 ‘체험적 지연’에 의해 기대효과를 발휘함으로써 독자의 공감을 유도한다.
    「벌레 이야기」은 자식이 유괴되고 결국 살해된 시체로 발견된 것에 대한 아내의 행동 변화를 ‘나’를 통해 수렴하고 있다. 그 내용은 자식의 비극적인 죽음에 대한 어머니의 정신파탄이 어떤 것인가를 보여주는 데 그치지 않는다. ‘나’는 아내의 행동이 의미하는 바를 제대로 전하기 위해 ‘서술자아’로서 여러 차례 사건 자체를 되짚어 설명하는 과정을 드러낸다. 이러한 ‘되짚어 설명하기’는 아내의 행동이 통상적인 용서와 화해가 은폐시키는 진정한 의미를 제대로 부각하려는 ‘나’의 ‘서술적 지연’에 해당한다.
    이는 독자에게 이 사건에 대한 정당한 평가를 넘어 진정한 가치평가를 유도하는 데기여한다.
    일인칭 관찰자 시점은 창작적 관점에서 복잡한 상황, 중층적인 이해를 필요로 하는 사건, 미세한 내면 심리를 지닌 인물 등을 효과적으로 드러내는 방법론으로 설명된다. 「모든 영광은」과 「벌레 이야기」는 이를 성공적으로 적용한 작품으로 특히 ‘나’ 의 주인물에 대한 태도를 각각 체험과 서술이라는 면에서 ‘지연’이라는 방법론을 적용해 성취를 얻었다. 이는 시점 선택의 창작효과를 밝히는 좋은 예로 이해된다. 이 글은 「모든 영광은」과 「벌레 이야기」 두 편에 관한 연이은 논문 중 제1편에 해당하는 소논문이다. 이어지는 논문은 「벌레 이야기」에 관한 것으로 다음 지면에 발표할 예정이다.

    영어초록

    In novels, the narrator’s point of view functions as a basisto justify the plot and give order to the narrative.The present thesis focuses on novels that achieve certain effectsthrough first-person narration, describing the main character’s experiences in such a way that the ‘I’, who is witnessing the event, can be meaningfully imprint ed on the reader. It attemptsto derive a creatively valid methodology beyond the analysisstage of ‘point-of-view research’. Hwang Sun-weon’s “All Glory” andYi Cheongchun’s “The Story of theWorm” are as examples of literary achievement that in terms of creative methodology are also good guides for writers in their strategic adoption of a first-person perspective.
    “All Glory” describes one man’s process of becoming both victim and perpetra tor during the war, then his experience as an observer facing and overcoming the extreme contradiction through the power of love. In the first half of the novel, ‘I’ is put off by a man’s approach but gradually, as he becomes absorbed in the man’s story, eventually becomessupportive of what the man’sfuture course of action.
    Here, the psychological transition process of ‘I’from ‘rejection’to ‘solidarity’is rooted in the ‘experiential delay’ he adopts as a first-person observer.
    “The Story of the Worm” similarly describes through the ‘I’ perspective of the husband the changesin his wife’s behavior after her child is kidnapped and eventually found murdered.The narrative does notstop atshowinga mother’s mental breakdown over the tragic death of her child through ‘I’’s perspective. ‘I’’s reflective process of revisiting and re-explaining the event several times as ‘narrator’ in order to properly convey the meaning of his wife’s actions, correspondsto a ‘descriptive delay’ as he tries to highlight the true meaning hidden in his ordinary reconciliation with and forgiveness of the wife’s actions.
    The first-person observer’s point of view is described from the point of view of creative writing, as an effective methodology for revealing complex situations, portraying events that require multiple layers of understanding, and describing people with subtle inner psychologies. “All Glory” and “The Story of the Worm” are works that successfully apply this technique, using ‘delay’ as a methodology for portraying the attitude of the ‘I’ towards the main character both in terms of ex perience and description. The works are understood as good examples showing the creative effect of viewpoint selection. This paper is the first of a series of papers on “All Glory” and “The Story of the Worm”. The second paper is about “The Story of the Worm” and will appear. This paper is the first of a series of papers on “All Glory” and “The Story of the Worm”. The second paper is about “The Story of the Worm” and will appear in the following magazin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리터러시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6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