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내 이름은 김삼순>에 대한 수용자의 현실적 공감과 즐거움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Audience’s Realistic Sympathy and Pleasure in the Television Drama)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9 최종저작일 2007.08
39P 미리보기
&lt;내 이름은 김삼순&gt;에 대한 수용자의 현실적 공감과 즐거움에 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언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언론학보 / 51권 / 4호 / 32 ~ 70페이지
    · 저자명 : 정영희

    초록

    이 연구는 <내 이름은 김삼순>의 즐거움을 수용자 관점에서 분석한 것이다. 즐거움의 요소를 수용자 분석을 통해 규명함으로써, 상품으로서의 텔레비전 드라마가 수용자에게 소구하는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지점을 발견하고자 했다. 남녀 대학생 25명의 시청 감상문을 분석 자료로 활용했다. 분석 결과, 수용자의 즐거움은 드라마의 현실감, 맥락화된 일상용어, 텍스트가 전달하는 감성과 이념의 탈경계성, 상호텍스트적 패러디에 많은 부분 의존했다. 현실감은 대부분 정서적 리얼리즘을 통해 구현되었지만, 남학생들은 에피소드 중심의 경험적 리얼리즘을 통해 인식하는 경향이 강했다. 수용자들이 이 드라마에서 일종의 저항적 즐거움도 느꼈지만, 그것은 텍스트 자체에 대한 비판적 해독보다는 ‘저항적 텍스트에 대한 공감’을 통한 것이어서 능동적 수용자론에서 말하는 것과는 달랐다. 흥미로운 것은 드라마 소구점이 여주인공 캐릭터의 저항성이라고 생각해 온 일반적 인식과 달리 수용자들은 여주인공에게서 ‘저항성’보다 ‘현실감’을 더 강하게 느낀다는 점이다. 이러한 결과는 캐릭터의 반가부장적 특성이 실제 수용자보다는 드라마 평론가나 연구자, 제작자의 인식 속에서 더 강하게 의미 발현하였다는 것을 보여준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essential elements of the audience’s pleasure, which results from watching the popular television drama <My Name Is Kim Sam-soon>. With 53% of an audience rating at the end of the series, <My Name Is...> recorded one of the most successful television drama series in 2005. The researcher was basically interested in the elements that enabled this drama to be successful commercially. In order to find the answers to the question, the researcher analyzed college students’ reaction papers on the drama, which summarized their impressions based on their watching experience. The most effective element of the audience’s pleasure was the television drama reality. The audiences got the realism on the main female character ‘Sam-Soon,’ the story flow and the various realistic episodes. It was very interesting that, contrast to the general judgement, the audiences tended to feel ‘realism’ more strongly than ‘resistance against the patriarchal ideology’ in ‘Sam-soon’ character. Conclusively, the researcher found that those who were impressed with ‘resistance’ in Sam-soon’s character were not the real audiences, but the drama producers and the mass culture schola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언론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6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