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Big4 감사품질의 우수성은 모든 규모의 기업에 적용되는가? (Does Outstanding Audit Quality of Big 4 Audit Firms Apply to Corporations at All Sizes?)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9 최종저작일 2009.02
34P 미리보기
Big4 감사품질의 우수성은 모든 규모의 기업에 적용되는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경영학회
    · 수록지 정보 : 경영학연구 / 38권 / 1호 / 1 ~ 34페이지
    · 저자명 : 황인태, 정도진, 강선민

    초록

    본 연구에서는 회계감사시장에서 감사품질은 감사인의 규모 등에 따라 일방적으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감사서비스 공급자인 감사인과 서비스 수요자인 기업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결정된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DeAngelo(1981) 이후 감사인의 규모 등이 회계감사품질의 대용변수로 많이 사용되어 왔으며, 이러한 대용변수가 실제 회계감사품질의 차이를 적절히 반영하고 있는 지에 대한 많은 연구가 있어 왔다. 우리나라에서도 감사인의 명성과 규모에 따른 감사품질의차이가 존재하는가에 대해 직․간접적인 많은 연구가 있었으나 결과는 만족스럽지 못하였다. 즉, 미국 등 다른 나라에서는 대부분의 연구에서 Big4의 감사품질이 다른 감사인에 비하여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감사품질의 차이가 일관되게 나타나지 않았을 뿐 아니라 때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이제까지의 연구는 대형회계법인의 감사품질이 피감사기업의 규모 등에 관계없이 일관되게 우수하다는 가설을 입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으나, 이와 같이 대형회계법인의 감사품질이 모든 규모의 피감사기업에 대한 회계감사에서 기타 감사인에 비하여 우수하다는 가정은 너무 강한 가정이라고 생각된다. 감사품질에 관한 대부분의 선행연구들은 감사인을 Big4 와 Non-Big4로 이원화하여 대형회계법인의 감사품질이 피감사기업의 규모 등에 관계없이 일관되게 우수하다는 가설을 입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방법은 국내 감사시장의 현실을 고려하지 않고 해외 선행연구에서 사용한연구방법을 그대로 사용한 것으로, 이러한 연구방법의 한계로 인하여 국내 회계감사시장에서 감사인간 감사품질의 차이가제대로 규명되지 못하였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의 경우 감사서비스의 수요자인 상장기업에서 중소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65%에 달할 정도로 다양한 규모의 기업이 존재하며, 이러한 시장상황 등으로 인하여 Big4의 시장점유율이 57%로 미국등에 비하여 낮은 실정이다. 더욱이, 감사인의 경우 다양한 법적 형태가 존재하고 있으며, 법적형태 및 규모에 따라 피감사기업의 규모에 대한 법적인 제한이 있었기 때문에 각 감사인은 차별화된 주력감사시장에서 전문성을 형성하여 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국내 감사시장의 상황이 감사품질에 대한 선행연구가 일관되게 증명되지 않은 원인인지에 대해 살펴보고, 회계감사시장에서 감사서비스 공급자인 감사인과 감사서비스 수요자인 기업간의 상호관계에 따라 회계감사품질이 영향을 받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기업을 자산 규모별로 5단계로 구분하고, 기업규모에 따라 높은 품질의감사서비스를 제공하는 감사인에 변화가 있는가를 실증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감사수입비중이 제한적이고, 조직형태에 한계가 있는 감사반의 경우 회계법인에 비하여 피감사기업의 재량적 발생액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나, 감사반의 감사품질이 회계법인에 비하여 낮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500억 미만의 중소 상장기업의 경우 Local-Big 과 Local-Small이 감사한 기업의 재량적 발생액이 Big4가 감사한 기업의 재량적 발생액보다 적어, Local-Big과Local-Small의 주력감사시장인 중소기업에 대해서는 Local Big과 Local Small의 감사품질이 Big4보다 높다는 것을 알수 있었다. 셋째, Big4가 다른 회계법인보다 질 높은 감사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피감사기업은 5,000억 이상 대기업을대상으로 한 그들의 주력감사시장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각 감사인마다 차별화된 주력감사시장이 존재하는 우리나라의 감사환경에서 기업규모에 따라 최적의 감사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감사인이 다르다는 것을 시사하며, 국내 선행연구에서 모든 기업규모에 대하여 Big4 감사품질의 우월성이 일관되게 증명되지 않은 이유를 설명한다.

    영어초록

    In general, audit firm size has widely been used as a substitute measure for audit quality.
    A number of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evaluate if such measure were appropriately reflected upon the true face of audit quality. According to precedent studies on audit quality of other countries, those scholars assert that highly reputable and large scale audit corporations like Big 4 provide their clients with a higher-quality audit than other smaller audit firms. Unlike those foreign countries, outstanding audit quality of Big 4 in Korea has not consistently been exhibited according to prior studies on the differences in audit quality with respect to the size of audit corporation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isplay that Big 4 audit firms do not provide corporations at all sizes with higher audit quality than other auditors. Instead, we will positively analyze how audit firm size with high audit quality changes directly proportional to the size of audited corporations.
    There have been many direct or indirect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n auditor's reputation or size and the audit quality, but they have not yielded any satisfactory results.
    That is, most studies from other countries including the US have exhibited that audit quality of Big 4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others. Such differences in audit quality, however, have been not only inconsistent, but also negligible sometimes according to the domestic research.
    In most precedent studies on audit quality, researchers dichotomized audit corporations as Big 4 in cooperation with internationally reputable audit firms and non-Big 4, and conducted their analysis to prove their hypothesis that audit quality of large audit firms was consistently better than that of non-Big 4 regardless of the size of audited corporations. However, the above research method took the prior studies of other countries for granted without considering the reality of audit market in Korea. For this constraint in the research method, differences in audit quality among audit firms were not fairly determined. In Korea, the government has given various benefits to large audit firms by enacting laws and regulations to cultivate them. On the other hand, other audit firms without receiving such benefits have provided with their unique service, that’s not possessed by the large corporations, in specialized audit service market and satisfied the market demand for their pursuit of survival and development.
    In Korea, the size of audited corporations has been constrained by an auditor's size and structure. Various sizes of companies exist even among the listed corporations, the users of audit service. For instance, 46.78% of those companies have the total asset of less than 50 billion won. Thus, various audit organizations have provided their clients with their specialized service. Moreover, it is thought to be an extremely strong assumption to classify the audit corporations into Big 4 and non-Big 4 and assert that audit quality of the former was proven to be higher than that of the latter for corporations at all levels without considering such aforementioned heterogeneous audit service market.
    Therefore, this research is to find reasons why the audit quality of large audit firms in cooperation with internationally reputable audit corporations is not proven to be consistent.
    Moreover, we will attempt to figure out if audit quality is affected by the correlation between an audit firm as the auditor in the audit service market and an audited corporation as a user. Upon specifically categorizing the audit corporations into Big 4, Local Big, Local Small and audit team and dividing corporations into five categories based on their total asset, we examined if selective audit quality according to audit firm size changed depending on the size of an audited corporation. In other words, the aim of this paper is to positively analyze that audit firm size should change directly proportional to the size of an audited corporation to offer the most optimal service. In order to investigate this matter, we performed analysis using discretionary accruals. We utilized discretionary accruals as the measure to indicate audit quality in this research to examine if such quality improved with respect to the increase in audit firm size.
    We yielded results that corresponded to our hypothesis. First, audit team’s audit quality is low for corporations at all levels since discretionary accruals of the audited corporations were significantly greater than other audit corporations. Second, client corporations in the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market with the asset of 50 billion won or less of Local Big and Local Small generate significantly less discretionary accruals than those of Big 4. Thus, Local Big and Local Small provide the clients in this category with higher quality audit than Big 4. Third, audit quality of Big 4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other audit corporations for those corporations with the total asset of 500 billion to 1 trillion won and large corporations with more than 1 trillion won in the total asset.
    Therefore,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mplies that the most optimal audit firm changes based on the size of audited corporations. Moreover, such result may explain why the precedent studies could not yield consistent results while dichotomizing the audited corporations into Big 4 and non-Big 4 at the same time. Namely, the reason for insignificant or contradicting results from those studies is that the dichotomized classification did not reflect on the reality of our audit service market well. In addition, they did not consider how those corporations as the users of audit service might have influenced the audit qua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경영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