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근대 일본불교와 전쟁: - 전쟁은 어떻게 정당화되었는가 (Modern Japanese Buddhism and the War: How was the War Justified?)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9 최종저작일 2022.02
28P 미리보기
근대 일본불교와 전쟁: - 전쟁은 어떻게 정당화되었는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 수록지 정보 : 韓國宗敎 / 51권 / 102 ~ 129페이지
    · 저자명 : 원영상

    초록

    전쟁만큼 불가해한 영역은 없을 것이다. 인간 무지(無知)의 정점이 바로 전쟁이다. 그리고 종교가 가세하게 되면 그 불길은 점점 무섭게 타오른다. 근대 일본불교계의 전쟁 지원은 이러한 역사를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메이지유신(明治維新, 1868)을 계기로 일본이 제정일치 국가를 확립한 후, 대외적인 전쟁과 식민지화의 과정에 불교는 적극적인 참여를 했다. 본 연구는 전자의 역사적인 과정과 원인, 그리고 해법을 다루고 있다.
    일본불교는 근세 에도막부(江戸幕府)가 시행한 본말사(本末寺)제도와 단가(檀家)제도를 통한 국가불교화, 근대의 폐불훼석(廢佛毁釋)을 통한 불교의 국가 하부구조화를 거치면서 국가주의의 길을 걸어왔다. 특히 국가신도화 이후 신도가 국가의 종교가 된 상황에서 불교는 더욱 국가주의에 경도되어 갔다. 1930년대 후반 총력전체제(總力戰體制) 하에서는 적극적으로 군국주의에 가담했다. 불교계의 전쟁정당화는 전시교학(戰時敎學)을 통해서였다. 정토진종의 진속이제(眞俗二諦), 선종의 전쟁선(戰爭禪), 일련종의 일련주의(日蓮主義)에 의거한 법국명합(法國冥合)은 이 교학의 핵심 논리다. 이는 불살생을 최고의 계율로 삼는 불교의 가르침과는 정면으로 위배되는 전쟁 참여의 논리임을 잘 알 수 있다.
    반면에 일반 민중들의 반전(反戰)사상과 행동 또한 일어났다. 종교인들, 특히 불교인들의 저항과 수난도 지속적으로 일어났다. 대표적인 인물들로는 조동종 승려인 우치야마 구도(内山愚童)와 세노오 기로(妹尾義郞)를 들 수 있다. 전자는 1911년 대역죄(大逆罪)로 사형되었다. 그는 사회주의를 지지하며, 반정부, 반천황, 전쟁반대 등을 주장했다. 후자는 신흥불교청년동맹을 조직하여 불교의 사회화를 이끌었다. 농촌계몽, 전쟁반대, 반자본주의, 국가 및 군국주의 반대에 앞장섰다.
    불교는 석가모니불 이래 업과 윤회의 관점에서 전쟁을 반대했다. 그럼에도 정당전쟁론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살생을 최소화하는 것이 조건이기도 하다. 근대 일본불교의 전쟁참여는 결국 상상의 공동체인 국가와 전쟁을 뒷받침한 자본주의에 대해 저항하지 못한 결과다. 그 원인은 교학의 관념성과 초월성에 있다. 이를 탈피하기 위해서는 중생의 고통을 해결하고자 하는 불법의 가르침을 현실화하기 위한 불교윤리학의 정립이 요구된다. 근대 일본불교의 전쟁참여는 그 당위성을 잘 보여준다.

    영어초록

    There would not be the area which is as incomprehensible as the war. The peak of human ignorance (無知) is the very war. And when religion joins in it, the fire furiously burns. The modern Japanese Buddhists' support of the war frankly shows this history. After Japan established a theocracy after the Meiji Restoration (明治維新), Buddhism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process of its foreign war and colonialization. This study deals with these historical process, the causes, and the solutions.
    Japanese Buddhism has walked the path of nationalism going through the buddhicization of the nation through the Bonmalsa (本末寺) system and the Danga (檀家) system enforced by the early modern Tokugawa shogunate (江戸幕府) and the process to make Buddhism its substructure through the modern Haibutsukisyaku (廢佛毁釋). Especially, in the situation that Shinto (神道) became the national religion after making the nation Shinto, Buddhism more devoted itself to nationalism. Buddhism actively participated in militarism under the total war system (總力戰體制) in the late 1930s. Buddhists justified the war through the wartime doctrine (戰時敎學). The establishment of Gungnipgyedan (國立戒壇) based on the truths of the truth and conventional truth (眞俗二諦) of Jodoshin Sect, Sentō-zen (戰爭禪) of the Zen sect, and Nichirenism (日蓮主義) of Nichiren is the key logic of this doctrinal study. People can know well that this is the logic of participation in the war which runs squarely counter to Buddhist teachings to make ahimsa the highest religious precepts.
    On the contrary, there were also the antiwar (反戰) ideology and antiwar behaviors among the people. There also continued to be resistance and ordeals of religious persons, especially, Buddhists. The representative men were Uchiyama Gudo (内山愚童) and Senoo Giro (妹尾義郞) who were monks of the Soto Sect. The former was sentenced to death for high treason (大逆罪) and was executed in 1911. He supported socialism and argued being against the government, the Japanese emperor, and the war. The latter led socialization of Buddhism by organizing a new Buddhism youth union. He took the lead in rural enlightenment and being against the war, capitalism, nationalism, and militarism.
    Buddhism was against the war from the viewpoint of karma and reincarnation since Shakyamuni Buddha. Nevertheless, there was the just war theory. The minimization of killing was also the condition. Modern Japanese Buddhism's participation in the war was the result to be unable to resist capitalism which supported the nation and the war, the win-win communities. The causes are ideality and transcendence of the doctrinal study. In order to escape from this, the establishment of Buddhist ethics is required to realize Buddhism's teachings to solve the people's pain. Modern Japanese Buddhism's participation in the war well shows the necess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韓國宗敎”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