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 1930년대 후반 총력전체제(總力戰體制) 하에서는 적극적으로 군국주의에 가담했다. 불교계의 전쟁정당화는 전시교학(戰時敎學)을 통해서였다. 정토진종의 진속이제(眞俗二諦), 선종의 전쟁 ... justified the war through the wartime doctrine (戰時敎學). The establishment of Gungnipgyedan (國立戒壇 ... 선(戰爭禪), 일련종의 일련주의(日蓮主義)에 의거한 법국명합(法國冥合)은 이 교학의 핵심 논리다. 이는 불살생을 최고의 계율로 삼는 불교의 가르침과는 정면으로 위배되는 전쟁 참여
근대 일본불교는 소위 전시교학을 만들어 자신의 신도들이 전쟁에 참여하도록 독려하였다. 일본선종은 근대 초기 재가신도들의 일상의 지침인 「조동종수증의(曹洞宗修証儀)」를 통해 전시 ... 교학의 기반을 구축했다. 선종의 대외전쟁 참여의 정당성은 이처럼 교의의 사회화 과정을 통해 이루어졌다. 본 논문에서는 전시교학과 관계가 깊은 전쟁선(戰爭禪)에 대해 탐구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