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도덕적 정체성 이론은 탈 콜버그주의인가? (Is Moral Identity theory a post-kohlbergian? - The function of the reflective reasoning in the moral identity theory and it's implication)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9 최종저작일 2011.09
38P 미리보기
도덕적 정체성 이론은 탈 콜버그주의인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철학사연구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철학논집 / 32호 / 395 ~ 432페이지
    · 저자명 : 손경원

    초록

    본 연구는 탈 콜버그주의 논쟁이 도덕적 정체성 이론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여 도덕적 추론을 통합한 도덕적 정체성 이론의 의의와 한계를 밝히고, 간 학문적 연구들에 기반 한 도덕 심리학적 연구 수행과 이에 근거한 도덕교육의 필요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2008년 Journal of moral education 특집호에 실린 탈 콜버그주의 논문에 대해 튜리엘과 깁스는 문화상대주의를 극복하고 도덕 판단의 규범성을 확립하기 위해서 도덕의 작용에서 도덕적 추론은 반드시 요청된다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비판은 도덕적 정체성 이론의 전개에 상당한 영향을 주었다. 도덕적 정체성이론은 인지발달이론의 도덕적 동기화 문제를 해결하는 대안 패러다임으로 탈 콜버그주의 특징을 보였다. 하지만 특집호 이후에 블라시는 관습이후 수준의 도덕추론 능력을, 탈 콜버그주의를 주도하던 나바에즈는 직관과 추론의 동등모델에 근거한 도덕 전문가를 성숙한 도덕인의 특징으로서 설명하였다.
    본 연구는 도덕적 추론을 통합한 도덕적 정체성 모델의 의의와 한계를 분석하여 도덕철학과 도덕 심리학의 관계에 대해 후행적으로 상보적일 수 있음을 인정하였다. 이는 도덕의 작용에 대한 뇌 과학, 생물학, 문화 인류학 등 간 학문적 연구의 가능성을 인정하지만 도덕 심리학의 규범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도덕철학적 분석과 이론화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도덕의 작용은 합리적 의식적 추론과정은 물론 자동적 무의식적 암묵적 과정에 근거한다. 도덕적 추론만큼이나 직관도 도덕의 작용에서 중요하기 때문에 간 학문적 연구가 필요하며 도덕교육의 연구에 학제적 연구결과를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 to explore arguments of post-kohlbergian approach in moral psychology and; (ii) to analyze Blasi's and Lapsley's positions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oral philosophy and psychology in terms of reflective reasoning and; (ⅲ) to suggest their's implication concerning the future development of moral identity theory.
    Moral identity theory has emerged as an alternative approach of the Kohlberg's moral development theory. Theorists of moral identity theory commonly criticize Kohlberg's theory as a philosophical psychology and insist the autonomy of moral psychology. However, one can find different positions within this trend, especially concerning he meaning and role of the reflection in moral functioning. Blasi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the reflective reasoning of moral agent, while Lapsley supports moral automacy contrary to Kohlberg's phenomenalism.
    Although Blasi had been negative about building moral psychology based on the moral philosophy, he has articulated the moral identity theory based on the concept of free will by Frankfurt. However, recently he criticizes intuitionist theory of Haidit and suggests the notion of the moral agent with the skill of reflective reasoning, or post-conventional thinking in Kohlberg's terms. Blasi's perspective of moral identity has two version. The one emphasizes the moral understanding which means strong evaluation, while the other refers to reasoning with weak evaluation. This leads to an inevitable inner contradiction within his theory of moral identity.
    Lapsley considers moral identity as a heuristic idea and suggests moral chronic as a new model of moral identity. This model is based on the social cognitive theory. His social cognitive model of moral personality provides the account for implicit, tacit, and automatic of moral functioning, while reflecting the core of moral identity. Lapsley suggests that moral function involves conscious and unconscious processes. The former occurs in normal situations of life, while the latter in rare and unusual situations. He does not highlight reasoning in moral functioning as Blasi do.
    In consequence, I will argue the notion of the moral agent with the skill of reflective reasoning, or post conventional thinking in Kohlberg's terms in the moral functioning like Gibbs and Turiel positions in the Journal of Moral Education' s 2008 special issue. Moral philosophy and psychology should be in complementary relations. It means we explore not only more interdisciplinary researches on the moral functioning, but also researches based on the moral philosoph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철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