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서영은 소설에 나타난 ‘사랑’과 여성주체 (Aspects of Love and Female Subjects in Seo Yeong-eun's Novels - With a focus on “narcissism” in her biographic novels -)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9 최종저작일 2011.12
23P 미리보기
서영은 소설에 나타난 ‘사랑’과 여성주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중인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중인문학연구 / 34호 / 103 ~ 125페이지
    · 저자명 : 임은희

    초록

    서영은 소설에 나타난 ‘사랑’은 이탈적 사랑을 추구한다. 그런데 그의 소설에 형상화된 동성애, 간통, 근친상간을 행하는 이탈적 사랑의 여성주체는 ‘이탈된 비윤리적인 면’보다는 ‘윤리적인 면’에 갇혀있는 자기 자신의 모습을 고통스러워한다. 이러한 행동이나 태도의 원인을 밝히는 작업은 서영은의 소설세계 전반을 이해하고 의미화하는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그들을 묶고 있는 단단한 내적 논리를 ‘사랑’이라는 주제적 고리를 통해 의미화함으로써, 서영은 소설의 저류를 관통하는 나르시시즘의 의미구조에는 여성이 주체화되는 과정을 담고 있다.
    서영은 소설에서 여성인물은 사랑을 통해 끊임없이 세계와의 소통을 꾀한다. 그런데 그녀의 작품에 나타난 사랑은 낭만성이 철저히 배제되어 있으며 고통스럽다. 오히려 제도권을 벗어난 간통, 동성애. 근친상간을 통해 사랑의 고통은 가중된다. 그런데 이러한 고통 지점이 이탈적 사랑을 했다는 점에 있지 않다는 점에서 변별점을 찾을 수 있다. 더구나 사랑을 통해실존의 물음을 내재하고 있다는 점에서 사랑을 통한 고통이 자신의 모습을 치열하게 찾으려는 신화적 인물인 나르시스와 닮아있다.
    본고에서는 <살과 뼈의 축제>, <먼 그대>, ≪그녀의 여자≫를 중심으로 ‘나르시시즘’의방식을 통한 진정한 자기 인식을 향한 노력을 투영한 여성의 주체화 과정을 시기적으로 고찰하였다. ‘나르시시즘’의 양태는 자학, 가면쓰기, 자기투사로서의 동성애로 현현되었고, 그것은자아분열, 자아 확립, 자아확장으로 주체화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나르시시즘의 의미구조가여성주체의 존재의 심연을 부각하기 위한 장치로서 사용되었으며, 여기에 실존의 물음을 담아주체화되는 방식이 시기적으로 변이된 과정을 담아 여성의 존재 방식에 대한 치열한 진통과정을 나타낸다. 그 과정에는 근대 자본주의와 가부장적인 논리로 관철되는 지배현실의 이념과제도를 전복하고자 의지를 드러낸다. 이는 1970〜80년대 다른 여성작가와는 변별된 서영은만의 존재구축 방식이라는 점에서 의의를 둘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plored the process of women becoming subjects through the method of “narcissism” projected in love in Seo Yeong-eun's biographic novels.
    In Festival of Flesh and Bones, the focus should be on love between Su-jin,an old maid aged 29, and Yeong-min because their love contains her rebels through deviation by repeating the act of wearing a mask with her as the subject of love. She makes it sure that she takes up a challenge in the era of irrationality by demonstrating her love containing the secular desire in the eyes of Yeong-min and her challenging desire to rebel against it in such disruptive ways.
    In Distant You, which talks about love between Mun-ja and a married man called Han-su, Mun-ja, who is the subject of love, endures Han-su's mistreating love, keeps her self-respect, and seeks out self-completion. She proves that she finds a way to deal with anxiety coming from irrational reality in self-torture in the token of love, which suggests that it can be interpreted as a way of expressing her self-love.
    Finally Her Women depicts two homosexual loves; one of the women loves the ex-wife of her husband, and the other loves So-yeon, her son's girlfriend.
    Their loves show that the two ladies love themselves in complete love with their objects of love where narcissism is reflected as self-projection. Homosexuality seems to be used as a device to highlight the depth of the existence of female subjects rather than the meaning of homosexuality itself.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중인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1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