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질병의 낭만과 공포 -은유로서의 질병- (Romance and Fear of Illness : Illness as Metaphor)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9 최종저작일 2020.01
30P 미리보기
질병의 낭만과 공포 -은유로서의 질병-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치료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학치료연구 / 54권 / 315 ~ 344페이지
    · 저자명 : 최성민

    초록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수전 손택의 『은유로서의 질병』을 통하여 한국 사회와 한국 문학을 되짚어보는 것이다. 그것을 통해 우리가 ‘질병의 은유’를 벗어날 수 있는가의 문제를 검토하게 될 것이다.
    수전 손택은 ‘질병의 은유’가 질병의 본질을 가리고 치료를 방해하며, 환자들을 오히려 외롭게 만든다고 보았다. 그녀가 특별히 주목한 것은 결핵과 암, 에이즈였다. 수전 손택에 따르면, 결핵은 낭만으로, 암과 에이즈는 공포의 은유가 덧씌워졌었다.
    한국 문학에서도 결핵은 낭만으로 인식되곤 하였다. 암이나 전염병은 ‘공포’의 대상이 되곤 하였다. 질병이 질병 그 자체가 아니라 은유적으로 활용되는 것, 혹은 과장된 공포심의 유발로 연결되는 것은 질병에 대한 원인을 제대로 모르거나, 그것을 쉽게 극복할 수 없을 때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현상이다. 사실 질병은 기본적으로 낯선 것이다.
    최근 유행했던 ‘메르스’의 경우를 생각해보자. 메르스는 질병 그 자체의 전염성이 높아서, 공포와 두려움이 컸던 것도 사실이다. 메르스 유행의 과정에서, 메르스는 국가 시스템의 붕괴를 드러냈고, 유행이 지나간 뒤에 남녀 성별간 혐오 담론을 확산시키는 촉매가 되기도 했다.
    기본적으로, 질병의 은유를 극복해야 질병 자체에 다가갈 수 있다는 수전 손택의 입장에 동의한다. 그러나 더욱 복잡해진 현대 사회에서 질병은 여전히 은유의 대상일 수밖에 없는 측면이 있다. 사회의 질병, 혹은 사회가 질병을 바라보는 인식 자체를 비판적으로 고찰하기 위해, 우리는 다시 '질병의 은유'를 활용하게 된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at exploring the Korean society and literature using Illness as Metaphor and AIDS and Its Metaphor by Susan Sontag. In addition, it examines whether we can overcome the limitation of ‘metaphor of illness’ or not.
    According to Sontag, the metaphor of illness hides the essence of illness, interferes with the remedy and isolates the patients. She writes about notice at tuberculosis, cancer, and AIDS, saying that romance pertains to tuberculosis and fear pertains to cancer and AIDS as metaphors.
    In the Korean literature, tuberculosis is also portrayed through romance, whereas cancer and AIDS scare the public. Generally, when people do not know the cause of illness or cannot overcome, they utilize it as a metaphor or exaggerate it fearfully. In fact, illness is always unknown and frightening.
    Let us consider the case of MERS, is highly infectious disease that scares people greatly. During the infective stage, MERS led to a collapse of the national system. After the epidemic, MERS catalyzed the hate discourse between genders. However, illness should still be the object of metaphor in these more complicated times. We can utilize the ‘metaphor of illness’ again to critically consider the social perception of illnes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학치료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1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