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국의 평화스러운 부상(浮上)은 가능한가? (Is it Possible for China to Rise Peacefull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9 최종저작일 2024.09
36P 미리보기
중국의 평화스러운 부상(浮上)은 가능한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제정치연구 / 27권 / 3호 / 287 ~ 322페이지
    · 저자명 : 현명호

    초록

    2023년 중국은 미국에 이어 국내 총생산(GDP)과 국방비에서 세계 2위를 차지했고 또한 인구도 인도에 이어 세계 2위를 기록했다. 진정한 세계 강국으로 부상한 중국에 대한 국제 사회의 반응은 엇갈린다. 미국과 호주와 같은 서방 국가에서는 중국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매우 강한 반면, 일부 개발도상국에서는 중국에 대한 긍정적인 시각이 여전히 남아 있다. 소위 ‘중국 위협론’은 서방 세계에 널리 퍼져 있고, 미어샤이머(John Mearsheimer)와 월트(Stephen Walt)를 포함한 많은 서구의 학자들은 ‘중국 위협론'을 믿는다. 앨리슨(Graham Allison)도 중국이 미국에 대한 실질적인 위협이라는 데 동의하며 미-중 전략적 경쟁을 투키디데스 함정에 비유했다. 반면 전 미국 국무장관 키신저(Henry Kissinger)와 전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브레진스키(Zbigniew Brzeziński)는 ‘중국 위협론’을 지지하지 않으며 중국의 평화적 부상을 믿는다.
    따라서 중국의 부상이 중국의 패권 추구로 이어지고 미국이 수립해 온 현 국제 질서의 파괴 또는 근본적 변경으로 이어질지 살펴보는 것은 의미가 있다. 많은 서구학자들이 ‘중국 위협론’을 조사, 분석했고 한국에서도 이에 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그러나 미국 학자들과 달리 한국 학자들은 ‘중국 위협론’에 대한 충분한 실증적 연구(Empirical Research)를 수행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양한 경제 및 군사의 경성권력(hard power)지표를 사용하여 중국의 부상에 대한 낙관적 견해와 비관적 견해 중 어느 주장이 더 타당한지 실증적으로 검증하려 한다.
    로이 연구원(Lowy Institute), 글로벌 파이어파워(Global Fire Power), 세계은행의 경제 및 군사 지표를 사용한 본 연구에 따르면 미국과 중국의 국력 격차는 여전히 크다. 따라서 중국이 가까운 미래에 미국을 추월할 가능성은 낮다. 특히 중국은 군사력 면에서 미국에 크게 뒤처져 있다. 그러나 중국은 현재의 국제 질서에 불만을 품고 있어, 세력전이이론에 따르면 중국은 미국에 도전할 강력한 후보가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힘의 우위로 중국이 지금 또는 가까운 미래에 미국에 도전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미국과 중국 간 힘의 차이가 크기 때문에 소위 ‘중국 위협론’은 시기상조라고 주장하는 프리드먼(Friedman)과 길 & 오핸런(Gill & O’Hanlon)과 같은 현실주의 학자(Realists)의 주장이 설득력이 있다.
    더욱이, 세계은행이나 스위스 경제연구소의 지표를 통해 살펴볼 때, 중국의 무역과 투자, 그리고 중국의 세계화 수준은 지난 30년 동안 중국의 높은 경제 성장과 함께 상당히 증가했고, 중국은 미국이 수립한 현 국제 질서에서 상당한 이익을 누렸다. 따라서 자유주의(Liberalism) 학자들이 주장하듯이, 중국이 현재의 국제 질서를 바꾸기 위해 도전하려는 인센티브는 매우 약해 보인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프리드먼과 길 & 오핸런의 현실주의와 전통적 자유주의 입장에 근거하여 미어샤이머와 월트, 앨리슨이 주장하는 ‘중국 위협론’은 시기상조이며 과장된 것이라 주장한다.

    영어초록

    The so-called ‘China threat theory’ is prevalent in the Western academic circles. Many scholars, including John Mearsheimer advocate the ‘China threat theory,’ while other scholars, including Henry Kissinger do not support the 'China threat theory' and believe in China’s peaceful rise.
    Therefore, it is meaningful to examine whether China’s rise will lead to China’s pursuit of hegemony and the fundamental transformation of the current international order. This study empirically tests the ‘China threat theory’ to see which argument is more valid.
    This study shows that the gap in national power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is great. It is unlikely that China will overtake the United States in the near future.
    Moreover, China’s trade and investments, as well as the level of globalization in China, have significantly increased over the past 30 years. China has significantly benefited from the current international economic order. Therefore, the incentive of China to overturn or challenge the current international economic order is very weak. Accordingly, the ‘China threat theory’ seems premature and oversta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제정치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