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국내 미술 연구의 인용 패턴에 대한 융복합적 분석 (Convergence Analysis of Citation Patterns in Korean ‘Art’ Research)

1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9 최종저작일 2021.09
19P 미리보기
국내 미술 연구의 인용 패턴에 대한 융복합적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 39권 / 4호 / 367 ~ 385페이지
    · 저자명 : 이다니엘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의 ‘예술체육학’ 분류에 속하는 학문 중 ‘미술’학은 가장 활발히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학문 분야 중 하나임에도 전반적인 인용 패턴을 분석하는 사전 연구는 전무하다는학문적 필요성에서 시작되었다. 한 학문의 논문이 갖는 인용 패턴은 연구 결과물로써 해당 논문과 나아가해당 학문이 얼마나 가치를 인정받는지 나타내는 중요한 척도이다. 따라서 본 논문의 목적은 국내 ‘미술’ 연구의 전반적인 동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특히, 그 동향을 연구의 영향력을 나타내는 피인용 횟수를 중심으로살펴보고자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2004년부터 2014 년까지 ‘디자인’ 분야를 제외하고 KCI에 등재된 모든19개 ‘미술’ 관련 학술지와 그 학술지에 출간된 논문3,577편 그리고 그 논문을 참고문헌으로 인용한 8,148 편의 논문을 수집하고 다양한 계량서지학 분석 방법론(Bibliometric Analysis Methods)을 통해 그 인용 패턴의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같다. 첫째, 서로 다른 연도에 출간된 논문의 합리적인비교, 분석을 위해 인용 기간을 정해야 했고 그 인용기간인 피인용 반감기를 약 5년으로 도출되었다. 따라서 출간된 후 5년 동안의 인용 논문을 통해 인용 패턴을 분석한 결과 전체 분석 대상 논문 중 30%는 출간후 5년 동안 전혀 참고문헌으로 쓰이지 않았고, 16% 는 5번 이상 피인용 되었다. 둘째, 개별 논문의 인용분포를 분석한 결과 가장 많이 피인용 된 논문은 5년간 28번 참고문헌으로 쓰였고, 가장 많이 피인용 된논문 40편의 주제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국내 ‘미술’ 연구에서는 ‘미술교육’ 관련 연구의 학문적 영향력이지배적이란 점을 발견하였다. 또한 피인용 수의 총합을 기준으로 어떤 기관의 어떤 연구자가 ‘미술’ 연구에서 많은 영향력이 끼쳤는지도 살펴보았다. 또한 국내‘미술’ 관련 논문이 갖는 동일 학문 분야 내 영향력이타 학문 분야보다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19개분석 대상 ‘미술’ 관련 학술지의 인용 네트워크를 통해각 학술지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이런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는 국내‘미술’ 연구의 전반적인 동향을 인용 패턴 측면에 집중하여 분석한 최초의 연구이자, ‘KCI 등재지’를 기준으로 모든 ‘미술’ 관련 학술지를 포함하는 대규모의표본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 분석한다는 점에서 관련학계에 기여가 기대된다.

    영어초록

    This study was motivated by the scholarly necessity in the field of “Arts and Kinesiology”. Among eight fields belonging to "Art & Kinesiology" classification defined by the Korea Citation Index (‘KCI’, hereafter), "Art" is one of the most prolific academic fields.
    However, there was no prior study to analyze the overall citation pattern, whereas the citation patterns of articles in an academic discipline are important measures of how much the articles and, by extension, the field are valued as scholarly outcome.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conduct convengence analyses on the overall trend of Korean 'Art' research, especially from the perspective of citation counts representing the impact of Korean ‘Art’ research. 3,577 target articles published in 19 ‘Art’ related KCI accredited journals from 2004 to 2014 and 8,148 articles cited the target articles as references serve the context of this study. Using the data, the citation patterns were analyzed through various bibliometric analysis methods. As the results, first, a citation window had to be determined for a reasonable comparison of target articles, which were published in different years. Thus, as its citation window, the cited half-life was calculated and derived to be about five years. The analysis of citation patterns over the citation window showed that 30% of the target articles were not used as references at all for five years after being published and just 16% were cited more than five times for five years. A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citation distribution of individual papers, the most cited papers were used as references 28 times over five years since its publication. Analyzing topics of the 40 most cited papers yielded that the academic influence of research related to "art education" was dominant in Korean "Art" research. This study also examined top researchers in terms of their total citation counts. The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is one of the early endeavors focusing on the overall trend of Korean ‘Art’ research and analyzing large-scale sample containing all 'Art' related KCI accredited journal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