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지분법 회계기준이 피투자회사의 지분율 선택과 이익조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quity accounting standard on the choice of ownership interest and earnings management)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9 최종저작일 2008.12
29P 미리보기
지분법 회계기준이 피투자회사의 지분율 선택과 이익조정에 미치는 영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회계학회
    · 수록지 정보 : 회계저널 / 17권 / 4호 / 129 ~ 157페이지
    · 저자명 : 김진회, 윤재원, 최현돌

    초록

    현행 지분법 회계기준은 20% 이상의 지분을 소유한 경우에는 명백한 반증이 없는 한 지분법 적용을 강제하고, 20% 미만의 지분율을 소유한 경우에는 실질 영향력 기준을 적용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20% 미만 지분율 주식에 대해 실질 영향력 기준을 도입한 것은 20% 규정의 자의성을 보완하고 이익조정유인에 따라 지분법 적용여부를 선택하기 위해 지분율을 인위적으로 20% 이상 또는 미만으로 왜곡하여 선택하는 문제를 완화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20% 지분율을 기준으로 한 실질 영향력 원칙적용의 비대칭성은 여전히 경영자로 하여금 20% 미만의 지분율을 선택하도록 하는 유인을 제공한다. 피투자회사의 영업성과를 예측하기 어렵거나 손실보고가 예상되는 경우, 지분법 적용여부에 대한 재량권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20% 미만 지분율의 선택이 유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행 지분법 회계기준은 20%에 조금 못 미치는 지분율의 선택을 선호하도록 할 유인을 제공하며, 여전히 경제적 의사결정의 왜곡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지분법 회계기준의 재량권 비대칭성이 피투자회사의 지분율 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피투자회사의 지분율 분포에 특이점이 있는지를 검증한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19%구간에서는 타구간에서 발견되지 않는 높은 빈도수가 관찰되며, Comiskey and Mulford(1986)의 연구결과와 달리 21% 이상 구간에서는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20% 미만의 지분율 구간(19%구간)에서 경영자가 이익조정의 유인에 따라 실질 영향력 기준에 대한 재량을 행사하는지를 검증하였다. 단일변량분석결과에서는 피투자회사가 당기순손실을 보고할 경우 지분법을 적용하지 않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피투자회사의 당기순이익이 클수록 지분법 적용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변량 로짓회귀분석에서는 피투자회사의 손실보고여부만이 지분법 적용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고, 당기순이익의 크기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분법 적용여부에 관한 재량을 행사함에 있어 투자회사의 영업성과를 상향조정하려는 유인보다는 피투자회사의 손실보고로 인한 투자회사 영업성과의 감소를 회피하고자 하는 유인이 크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회계기준제정기구와 감독기구에게 일정한 기준에 따라 경영자 재량의 정도를 달리 규정하는 회계기준이 기업의 경제적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는 점에서 실무적인 공헌점이 있다. 또한 실질 영향력 기준과 같은 재량적 판단기준은 경영자에 의해 기회주의적으로 이용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재차 확인하였다. 원칙중심의 국제회계기준 도입을 앞두고 있는 시점에서 본 연구의 결과는 재량적 판단기준이 원칙에 맞게 적용되도록 감독당국의 관심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그간 자료수집의 어려움으로 검증하지 못한 이익조정유인과 지분율 선택의 관계에 대한 실증적 증거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기여점이 있다.

    영어초록

    Under the equity method, if an investor holds 20% or more of the voting power of the investee, it is presumed that the investor has significant influence and should adopt the equity method unless it can be clearly demonstrated that this is not the case. Conversely, if the investor holds less than 20% of the voting power, it is generally presumed that the investor does not have significant influence and can use the cost method. However, if the investor has the power to participate in the financial and operating policy decisions of the investee, the investor should apply the equity method. The introduction of significant influence principle could complement the problem of arbitrary 20% rule and also reduce the possibility of undesirable ownership choice, either marginally avoiding or qualifying for the equity method. However, the asymmetric management discretion on adapting the equity method based on 20% interest rule still provides the incentive to choose slightly less than 20% interest, especially when the investor expects loss on the investee or such an expectation is difficult at the point of investment decision. We empirically test this hypothesis and have supporting results showing the unusually high frequencies in interest areas slightly less than 20% (19 to 19.99%).
    Also our study tests whether managers use their discretion on the judgement of significant influence to meet their earnings management incentives on sample firms holding interest of 19 to 19.99%. The uni-variate tests show that the exclusion rate of the equity method is higher for the investees who reported losses, while the adoption rate of the equity method is higher as the profits are larger. However, multi-variate test shows that the adoption of the equity method is only influenced by whether the loss is reported, not by the size of the profit. This can be interpreted that managers have more incentives to avoid adding losses by excluding the equity method rather than to increase earnings by adopting the equity method.
    Our finding implies that an accounting standard providing the asymmetric management discretion based on certain criteria or rules has economic consequences. It also shows that managers could opportunistically use their discretion inherent in a principle based on accounting standard. These results suggest that accounting standards setters and supervisory authorities, as well as accounting scholars will be interested in applying managerial discretion included in accounting standar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회계저널”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19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