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가주택 장기보유특별공제율 인상의 타당성 분석 (An Analysis of the Validity of the Increase in Special Deduction on Long Term Holding of Highly Priced House)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9 최종저작일 2008.12
32P 미리보기
고가주택 장기보유특별공제율 인상의 타당성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회계학회
    · 수록지 정보 : 회계저널 / 17권 / 4호 / 97 ~ 128페이지
    · 저자명 : 박주성, 이만우, 이상희

    초록

    본 논문은 최근 소득세법 개정에서 고가주택 장기보유특별공제율을 상향조정한 것과 관련하여 개정세법이 조세의 수직적, 수평적 공평성에 어떠한 영향이 있었으며 또한 정부의 목적대로 개정세법이 거래의 활성화를 유도할 수 있는지를 보유기간의 경과에 따른 세부담감소율, 차익가치 및 다주택보유자와 관련된 동결효과측면에서 미시적으로 분석하였다. 소급적용한 개정세법에 의해서 고가주택보유자들은 실질적인 조세보조금혜택을 받았으며, 양도차익에 대한 평균세율의 미분계수는 감소하게 되어 역진적인 세법개정이 되었다. 무이자 및 비과세 레버리지인 전세보증금을 사용하여 주택을 과도하게 취득하게 되면 디플레이션 시기에 가계채무의 부실화를 양산할 수도 있는 상황에서, 상향조정된 장기보유특별공제가 정상적인 주택가격상승분이건 비정상적인 주택투기로 인한 가격상승분이건 일률적으로 적용되므로 주택투기를 조장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 장기보유특별공제율을 상향조정함으로써 보유기간의 경과에 따른 세부담감소율을 더욱 증가시킴으로써 시계열분석에서 장기보유유인을 제공하였다. 즉 실현주의과세 및 발생주의과세액의 차이인 차익가치가 보유기간의 경과에 따라 더욱 증가되고 있는 것을 보여 보유기간의 경과에 따라 동결효과가 더욱 강화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연구결과로써, 고가주택 장기보유특별공제율을 적용함에 있어서 일정 비정상적인 투기로 인한 가격상승분에 대해서는 적용배제, 과거 일정기간의 주택거래내역을 고려하여 투기여부를 검증한 후에 공제율을 적용하는 방안, 투기지역판별에 따른 차별적인 적용방안, 최고누진소득세율 구간에 대한 상향조정방안, 그리고 무이자 비과세 레버리지를 사용한 부분에 대한 장기보유특별공제의 일정비율에 대해서 적용을 배제하는 방안 등을 보완정책으로 제안하였다. 또한, 시계열별 동결효과 및 다주택보유자의 동결효과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보유기간의 경과에 따른 세부담감소율의 조정과, 다주택보유여부 및 다주택보유기간에 따른 차등적인 장기보유특별공제를 적용과 양도차손익을 상계하는 제도에 대한 재검토를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정교하지 못한 장기보유특별공제를 사용하는 것보다는 일정기간 및 표준금액기준의 공제를 적용하여 소득재분배의 효율성을 기하고 다주택보유자의 자산을 공급시장에 나올수 있게 하는 정책도 검토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investigates how the increase in special tax deduction on long term holding (SDLH) of highly priced house (HPH) that resulted as a recent revision of Individual Income Tax Act affect the vertical and horizontal equity of taxation. Likewise, the paper analyzes whether the revision will actually revitalize market transactions as intended by the Korean government as well as the effects on decrease rate of effective tax burden over time, the value difference between realization tax basis and accrual tax basis arising from capital gain, and lock-in effect of response by households owning more than two houses.
    In accordance with the retroactively applied Act, owners of HPH are awarded substantial tax subsidy. Moreover, the differential coefficient of the average tax rate with respect to taxable capital gain decreases as the revised Act becomes less progressive. Especially when households suffer from deflation, houses which are indiscreetly acquired with interest-free and tax-free leverages are able to affect insolvency of debt in family finances. Therefore the increased SDLH may aggravate speculations in houses, because it applies to increase in house prices not only during normal transactions but also at times of abnormal speculations in the housing market. On the other hand, the revised Act may influence taxpayers to extend holding period by dramatically raising the decrease rate of effective tax burden over time, which means that the lock-in effect can be substantially increased by the increasing the difference between realization tax basis and accrual tax basis over time.
    Therefore, following complementary measures need to be considered: SDLH should not be applicable to increase in house prices during abnormal speculation as such situations should be excluded; Applying should follow a verification period that looks into past business dealings to determine whether it is speculation or not; Applications should be discriminated according to speculation area; Adjustment of the upper bracket of tax rate; and Exclusion of applying to interest free and tax- free leverage.
    To reduce the lock-in effect over time and resolve the incentive of households owning more than two houses, following measures need to be considered: Adjusting the decrease rate of effective tax burden over time; Utilizing a verification period and granting the SDLH only after determining whether or not owners have more than two houses; and Reexamining an off-set system of capital loss. Rather than relying on an indelicately designed SDLH to solve the lock-in effect problem, employing standard exemption of a fixed amount can mitigate the problem over time through redistribution of concentrated wealth and inducing households owning more than two houses not to postpone sales of appreciated asse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회계저널”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