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교우膠宇 윤주하尹冑夏의 한주학寒洲學 계승 (Gyowoo Yun Ju-Ha’s Succession of the Hanju Studie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8 최종저작일 2017.03
27P 미리보기
교우膠宇 윤주하尹冑夏의 한주학寒洲學 계승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학논집 / 66호 / 115 ~ 141페이지
    · 저자명 : 이세동

    초록

    교우膠宇 윤주하尹冑夏(1846~1906)는 조선의 마지막 자락에서 유교적 신념을 실천으로 옮긴 조선의 선비였다. 그는 오늘의 나를 있게 한 임금과 스승과 부모를 한결같이 섬기는 도리를 다하며, 격동의 시기에 오롯이 유가의 전통을 지키고자 하였다. 그는 동문의 곽종석이 제자들에게 시무時務를 힘쓰게 하고 외국책과 외국어를 익히며 개화문자를 공부하도록 권유하는 것을 비판하였으며, 관인官人은 나라를 위해 선비는 오도吾道를 위해 목숨을 바칠 것을 주장했다. 그의 이러한 생각들이 우활해 보일수도 있으나 조선의 선비된 책무를 다하고자 하는 그 순결성은 높이 평가되어야 할 것이다.
    그는 사미헌四未軒 장복추張福樞(1815~1900)에게 위기지학爲己之學을 배우고 성재性齋 허전許傳(1797~1886)에게 예학禮學을 배웠으며 한주寒洲 이진상李震相(1818~1886)에게 이학理學을 배웠다. 세 스승의 장점을 모두 섭취하였을 터이지만, 특히 한주에게서 오도吾道를 보았다. 그러므로 오도를 위해 목숨을 바칠 것을 주장한 그는 스승의 학설을 수호하고 발명하기 위해 일생을 바쳤다. 그의 수다한 저술들이 모두 그러한 결과물일 것이지만 많이 사라지고 20권 11책의 문집과 일부 문건들만 남아있다.
    「산거한화山居閑話」는 그 사라진 문건들 가운데 하나이다. 원본이 없어졌으나 하겸진河謙鎭이 쓴 교우의 행장에 일부가 실려 있어 내용을 짐작할 수 있다. 객과의 대화형식으로 기술되어 있는데, 대체로 한주의 심즉리설心卽理說을 발명하기 위해 집필한 것으로 보인다. 교우는 여기에서 한주의 본연지성本然之性과 기질지성氣質之性에 대한 관점을 깊이 천착하고, 인물성동이론人物性同異論을 언급한 뒤, 심즉리설을 간명하게 설파하였다. 한주는 성의 본체는 순수지선純粹至善한 리理 뿐이며 이것이 발할 때 기질이 용사用事하여 기질지성이 생긴다고 하였고, 그러므로 마음의 본체는 리일 뿐이라는 심즉리설을 주장하였다. 교우는 「산거한화」에서 일관되게 이러한 견지에서 객의 질문에 대답하고 있다. 주문팔현洲門八賢 가운데 한 사람인 교우 윤주하는 한주학寒洲學의 성실한 계승자였던 것이다.

    영어초록

    Gyowoo, Yun Ju-Ha(1846~1906) was a scholar acting up to the Confucian belief in the latter part of Chosun dynasty. He did what’s right by being obedient to his king, teachers and parents and tried keeping Confucian tradition through an age of turbulence. He criticized that Gwak Jong-Suk encouraged his pupils to do current affairs, acquaint with foreign language and books and study the civilized letters. He also insisted that an official should devote to his nation and a scholar pursue the attainment of supreme wisdom. Though his thinking seemed ignorant of the world, his sincerity and purity should be well appreciated to perform his duty as a Chosun scholar.
    He learned how to cultivate his mind from Samihun, Jang Bok-Chu, the old learning about manners from SeongJae, Heo Jeon and the principles of human and universe from Hanju, Lee Jin-Sang. He accepted all the merits of three teachers. Particularly he found enlightenment from Hanju. He dedicated his life to protect and illuminate his teacher’s theory. Though his many writings were the outcome of his lifelong studies, many vanished. 11 books, 20 volumes of his collection and small amount of documents are only left.
    A leisurely talk in a mountain is one of the lost book. The original was missing but the contents are reckonable as a part remains in the biography of Gyowoo by Ha Gyeom-Jin. It is a kind of dialogue with guests and its aim seems to illuminate Hanju’s theory, ‘Mind Is Principle.’ Gyowoo inquired into the viewpoints of original natural tendency and physical natural tendency. He mentioned dispute on the nature of man and animal. After that, he compendiously confuted the theory, Mind Is Principle. Hanju asserted that the main part of mind is only Li(理), the purest thing. When it is expressed, tendency is quoted and emerged as physical natural tendency. Thus he insisted his theory, ‘Mind Is Principle.’ in which the main part of mind is only Li. Gyowoo consistently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of guest on the basis of this viewpoint. Gyowoo Yun Ju-Ha, one of Hanju’s excellent 8 disciples, was a faithful successor to the Hanju studies.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8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