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잠재계층모형을 활용한 육아지원제도 이용 여부의 유형 분류: 어머니와 아버지의 영유아보육ㆍ교육의 필요성 차이 (Classification of the Participation Types of Parenting Support Systems using the Latent Class Model: Differences in the Necessity of Young Children's Care and Education between Mothers and Fathers)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8 최종저작일 2025.03
18P 미리보기
잠재계층모형을 활용한 육아지원제도 이용 여부의 유형 분류: 어머니와 아버지의 영유아보육ㆍ교육의 필요성 차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가정과삶의질학회
    · 수록지 정보 : 가정과삶의질연구 / 43권 / 1호 / 37 ~ 54페이지
    · 저자명 : 정혜린, 장경환, 문민권

    초록

    이 연구에서는 출산경험이 있는 어머니와 아버지의 육아지원제도 이용 여부에 따라 향후 실효성 있는 수요자 중심의 영유아교육보육비용지원정책을 제공할 수 있도록 연구모델을 설계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영유아교육보육패널 1차년도 본조사 데이터에서 어머니 및아버지의 육아지원제도 이용 여부 및 영아교육보육 비용지원정책에 대한 필요성 요인을 추출하여 잠재계층분석과 독립표본 t-검정,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잠재계층모형분석을 통해 어머니의 육아지원제도 이용 여부는 육아지원제도 근로시간 분리 참여형(집단1)과 육아지원제도 참여여부 혼재형(집단 2)으로 구분되었다. 아버지의 경우 기간 중심 육아지원제도 참여형(집단 1), 육아지원제도 저참여형(집단 2), 시간 중심 육아지원제도 참여형(집단 3)으로 세분화되었다. 또한 어머니의 경우 두 집단에 따라 유치원 방과후 과정 및어린이집 연장반 지원, 초등 돌봄 지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육아지원제도 근로시간 분리 참여형(집단 1)에서 필요성에 대한 요구가더 높았지만, 영아보육료지원, 누리과정 유아학비 및 유아보육료 지원에서는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한편 아버지의경우 세 집단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초저출생 시대 다양한 육아지원제도에 대한 이용률을 높여야 하는동시에 부모의 이용 유형에 대한 제도의 효과성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보여주며, 부모의 육아지원제도에 대한 이용 유형은 수요자맞춤형 정책의 개선방안을 마련하는데 실증적인 근거를 제시할 수 있다. 또한 출산경험이 있는 어머니의 경우 현금중심의 직접적인 투입서비스로서 보육료나 학비지원보다 실질적으로 일과 육아를 병행할 수 있는 돌봄중심적인 서비스에 대한 정책을 선호함을 확인하였다.
    이는 육아지원제도의 보편적 확대를 추진하기 위해 필요한 정책적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향후 국가의 장기적인 보육 및 교육에 대한전생애적 공적 돌봄 모델을 구축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provide an effective consumer-centered young children's care and educational support policy in the future depending on whether mothers ‘and fathers’ use the child care support system. To this end, the latent class analysis and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were conducted by extracting the factors necessary for the mothers’ use of the childcare support system and the cost support policy for young children's care and educational support from the data of the first year of the Korean Infant Education and Child Care Panel. The latent class analysis revealed that mothers’ utilization of childcare support systems could be categorized into two groups: the "work-hour separated childcare support participation group" (Group 1) and the "mixed participation/non-participation group" (Group 2). For fathers, three groups were identified: the "duration-focused childcare support participation group" (Group 1), the "low childcare support participation group" (Group 2), and the "time-focused childcare support participation group" (Group 3).
    For mother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the two groups regarding the necessity for support in kindergarten after-school programs, extended daycare programs, and elementary after-school care. Group 1 (work-hour separated childcare support participation) showed a higher demand for these services.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regarding infant care fee support, tuition subsidies under the Nuri curriculum, or childcare fee support. For father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among the three groups.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increasing the utilization rates of various childcare support systems in the era of ultra-low birth rates while acknowledging that the effectiveness of these systems may vary depending on parents’ utilization types.
    The identified patterns in parents’ utilization of childcare support systems provide empirical evidence for improving demand-driven policies. Furthermore, it was confirmed that mothers with childbirth experience prefer policies focused on care-oriented services that enable them to balance work and childcare over direct financial support, such as childcare fees or tuition subsidies.
    This suggests the need to prioritize policies that promote the universal expansion of childcare support systems, offering implications for establishing a lifelong public care model for the nation's long-term childcare and education polic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가정과삶의질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