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종이매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치매노인의 인지기능과 소근육 운동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Using the Medium of Paper on Cognitive Function and Fine Motor Skills of the Demented Elderly)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8 최종저작일 2019.10
23P 미리보기
종이매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치매노인의 인지기능과 소근육 운동에 미치는 효과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치료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치료연구 / 26권 / 5호 / 901 ~ 923페이지
    · 저자명 : 김용숙, 전순영

    초록

    본 연구는 종이매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치매노인의 인지기능과 소근육 운동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K구 데이케어센터를 이용하는 치매노인들 가운데 MMSE-K를 실시하여 총점이 19점 이하에 해당되는 경증 치매노인으로, 실험집단 8명, 통제집단 8명 총 16명을 선정하여 무선배치하고 실험집단은 2017년 10월부터 2018년 2월까지 총 15회기 프로그램을 매주 1회씩 60분간 진행하였다. 인지기능과 소근육 운동을 측정하기 위해 한국어판 MMSE-K와 인물화 그림검사, KISE발달척도를 사용하여 점수를 측정하였다. 윌콕슨 검증으로 양적분석을 하고, 인물화 그림에서는 녹음과 관찰, 형식적․내용적 분석을 통한 질적 분석을 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첫째, 치매노인의 하위요인인 4개의 영역과 전체결과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볼 수 있었다. 인물화 검사는 실험집단의 사전․사후검사에서 빈도분포를 양적 분석한 결과 인지기능이 향상되었고, 질적 분석에서도 사전검사에 비해 형태․공간 인지력이 향상되었다. 둘째, 치매노인의 소근육 운동의 하위요인인 정교성, 지각운동, 쓰기능력에서 부분적으로 전체결과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볼 수 있었다. 셋째, 회기별 프로그램 질적 분석에서도 종이매체의 반복적 사용으로 치료적인 중재를 지속할 수 있는 인지적 자극훈련과 지속적인 손의 감각자극이 치매노인의 인지기능과 소근육 운동 기능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이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using the medium of paper on cognitive function and fine motor skill of the demented elderly. A total of 16, composed of 8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8 in the control group, were selected from the elderly with mild dementia. Participants used Seoul K-Gu Day Care Center and scored below 19 points in the MMSE-K and were randomly assigned to carry out this study.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a weekly, 60-minute session every Thursday for a total of 15 programs, excluding pretest and posttest, from Oct. 2017 to Feb. 2018. The Korean-Mini Mental Status Examination (MMSE-K), Human Figure Drawing tests and KISE development scale was used to measure cognitive function and fine motor skills. Specifically, the Human Figure Drawing tests were used to determine qualitative analysis using recording, observation, and content analysis. The Wilcoxon Signed Rank test was perform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s demonstrates tha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four categories as well as in the overall result. Also, the experimental group partiall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ree categories of fine motor skills, including accuracy, cognitive movement, and writing skills,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verall result. In the program, qualitative analysis of each session suggested that cognitive stimulation training, which sustained therapeutic intervention by repetitive use of paper medium and continuous stimulation of hand sensation, positively improved the cognitive function and fine motor skill of the demented elder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치료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