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회복지 영역에서의 보조금에 관한 고찰 — 영유아보육 지원 보조금과 관련하여 — (A Study on Subsidies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 Regarding subsidies for infant and child care —)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8 최종저작일 2023.11
29P 미리보기
사회복지 영역에서의 보조금에 관한 고찰 — 영유아보육 지원 보조금과 관련하여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행정법이론실무학회
    · 수록지 정보 : 행정법연구 / 72호 / 91 ~ 119페이지
    · 저자명 : 장윤영

    초록

    보조금은 행정주체가 공익목적의 달성을 위해 사인에게 제공하는 금전상의 이익으로서 급부행정의 영역에 속한다. 우리나라 정부 총지출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분야는 사회복지 영역으로, 국고보조금의 규모와 성장 속도 또한 사회복지 영역에서 가장 크다. 이러한 측면에서 보조금이 사회복지 영역에서 갖는 의미가 더욱 증가하고 있다. 이 논문은 특히 최근 저출산과 고령화 위기가 현실화된 상황에서 사회복지 영역에서의 보조금은 다른 보조금과는 달리 접근할 필요성이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면서, 영유아 보육과 관련한 보조금 등 각종 지원체계를 검토하고, 관련 법적 쟁점에 관하여 고찰한다.
    현재 우리나라의 영유아보육과 관련한 금전적 지원으로는 첫 만남 이용권, 아동수당, 부모급여, 보육료, 가정양육수당, 어린이집 운영경비 등에 대한 보조금이 있다. 첫 만남 이용권은 「저출산・고령사회기본법」에 규정되어 있고, 아동수당과 부모급여는 「아동수당법」을 근거로 하며, 보육료, 가정양육수당, 어린이집 운영경비 등에 대한 보조금은 「영유아보육법」을 근거로 한다.
    영유아보육 관련 보조금에 관한 법적 쟁점으로는 최근 도입된 ‘부모급여’를 소재로 한 법적 근거의 문제, 관련 법령이 모호하고 복잡하여 법령의 정비가 시급하다는 점, 수급권자로서 아동의 보호범위 확대 및 신청시 접근성과 관련하여 사회적 약자 보호의 필요성이 크다는 점, 부정수급에 대한 제재가 중복되거나 과도하게 이루어지지 않도록 관련 법령의 정비가 필요하고, 이익형량 등에 있어 돌봄 공백의 발생과 같은 현실적으로 고려하여야 할 문제가 있다는 점 등을 검토하였다.
    이에 더하여 무엇보다 개선의 방향은 영유아보육 관련 보조금이 단순히 양육을 담당하는 부모에 대한 지원이 아니라, 안정된 양육 환경 조성 등을 통해 아동의 복지와 기본적 권리를 보장함이 목적임을 고려한 법제개선과 인식개선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사회복지행정법에 관한 관심을 환기하는 이론적 고찰을 시도하였다. 사회복지 영역에서 행해지는 다양한 행정작용은 사회를 구성하는 모든 개인의 행복을 위한 것이고, 더불어 사회연대와 통합, 지속가능한 국가 발전과 미래와도 연결되어 있음을 새롭게 인식할 때다.

    영어초록

    A subsidy is a monetary benefit provided by an administrative entity to a beneficiary for the fulfillment of a public purpose, which falls under the scope of benefit administration. The social welfare sector accounts for the largest share of total government expenditure in Korea, and the size and growth rate of government subsidies are also the largest in the social welfare sector. In this regard, subsidies are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in social welfare sector. Keeping in mind that subsidies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need to be approached differently from other subsidies, this article examines various support systems such as subsidies for infant and child care, and discusses related legal issues, especially in the context of the recent declining birthrate and aging crisis.
    Currently, financial support for infant and child care in Korea include the First Meeting Voucher, the Child Benefit, the Parental Benefit, the Fee for institutionalized child care service, the Home Care Benefit, and subsidies for daycare center. The First Meeting Voucher is stipulated in the Framework Act on Low Birth Rate in an Aging Society, the Child Benefit and the Parental Benefit are based on the Child Benefit Act, and the Fee for institutionalized child care service, the Home Care Benefit, and subsidies for daycare center are based on the Child Care Act.
    The legal issues related to subsidies for infant and child care include the problem of the legal grounds of the recently introduced the ‘Parental Benefits’, the urgent need to revise the relevant laws and regulations due to their vagueness and complexity, the need to protect the socially vulnerable with regard to the expansion of the scope of protection of children as beneficiaries and accessibility when applying, the need to revise the relevant laws and regulations so that sanctions for fraudulent benefits are not duplicated or excessive, and the need to consider practical issues such as the occurrence of gaps in care.
    In addition,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is that the subsidy related to infant and child care should be made by improving both the legislation and awareness of people, considering that the purpose of the subsidy is to ensure the welfare and basic rights of children by creating a stable child care environment, not just to support for parents in charge of child care. This article attempts to provide a theoretical review of social welfare administrative law. It is time to recognize that the various administrative actions carried out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are not only for the well-being of all individuals in society, but are also linked to social solidarity and integration, sustainable national development and the fu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행정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