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디지털 미디어 기반 통일교육 활성화 전략 탐색 : 통일교육원 컨설팅 사례 (Exploration on Activating Strategies for Digital Media Based Unification Education: A Case Study of an Unification Education Institution in Korea)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8 최종저작일 2019.12
22P 미리보기
디지털 미디어 기반 통일교육 활성화 전략 탐색 : 통일교육원 컨설팅 사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 수록지 정보 : 교육문화연구 / 25권 / 6호 / 713 ~ 734페이지
    · 저자명 : 김도헌, 임상훈

    초록

    한반도 화해와 평화를 향한 남북, 북미 간 대화가 활성화되고 있는 가운데 통일 교육에 대한 관심과 변화의 요구도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통일부 산하 통일교육원에 대한 컨설팅 사례를 바탕으로 디지털 미디어 기반의 통일교육활성화 전략을 탐색하였다. 통일교육원은 2003년 이후 원격 통일교육을 지속적으로 운영하여 왔으나 참여대상이공무원이나 교원 중심으로 이루어져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한 통일교육을 활성화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한컨설팅 연구가 심층면담, 내용분석, 설문조사 등과 같은 혼합적 연구접근을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는 우선통일교육원의 기존 원격 통일교육의 내용, 대상, 운영체제 및 조직과 관련한 현황 이슈를 ‘안정적 운영 속에 가려진결핍된 부분의 도출’이라는 주제아래 논의하였다. 둘째, 이해관계자의 요구와 관련한 ‘변화의 욕구와 현실적 문제의충돌’을 콘텐츠 측면, 조직 및 인력 측면, 바람직한 통일교육 모델에 대한 인식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셋째, 교육대상자대상 설문조사 결과를 참여경로, 참여이유, 선호 콘텐츠에 대한 요구, 적정 학습시간과 학습량과 관련하여 제시하였다.
    이러한 컨설팅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디지털 미디어 기반의 통일교육의 활성화 전략으로 교육과정 측면에서는‘통일교육 콘텐츠 다변화 및 융합전략’, ‘마이크로 학습전략의 도입’, ‘콘텐츠 학습 민첩성의 강화’, ‘온·오프라인 교육의유기적 연계’, ‘참여 동기와 성과지표의 차별화: 디지털 배지 활용’의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또한 운영시스템 측면에서‘공급자 중심에서 사용자 중심으로의 전환’, ‘모바일 중심 접근성 강화’, ‘SNS를 활용한 콘텐츠 접근성의 개선’, ‘학습지원 인력의 전문성강화와 업무 고도화’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활성화 전략들은 통일교육원의 변화방향 뿐만아니라 통일교육 전반의 활성화에 있어서도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논의된 내용들이 통일부가추구하는 ‘학습자 특성에 맞는 통일교육’, ‘다양한 가치관과 태도를 기르는 통합적인 통일교육’, ‘학습자 중심의 통일교육’, ‘흥미와 관심을 증진하는 다양한 방법의 통일교육’ 방안 마련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

    영어초록

    Since the peace talks among South Korea, North Korea, and United States were activated, there have been increasing interests and needs for unification education in Korea. This study explores activating strategies for digital media based unification education. This exploration is based on a case study on an unification education institution which has taken an important role for Korean unification education. The study was conducted for 3 month from October to December, 2017. The study used a mixed research methods such as content analysis, in-depth interview, and surveys. The research results deals with three findings from content analysis, in-depth interviews, and surveys. First, the current status about educational contents, audiences, organizational systems was discussed under the topic of ‘derivation of deficiencies hidden in stable operation’. Second, the stakeholder needs were discussed in terms of contents, organizational human resources, desirable unification education models.
    Third, the survey results were presented regarding participation route, motivation, preferable contents, appropriate learning time and amount. Based on these consulting results, this study suggests seven activating strategies such as ‘convergence strategies of unification education contents’, ‘organic connections between online and offline education’, ‘introducing micro learning strategies’, ‘reinforcement of contents agility’, ‘transition from supplier-centered to user-centered service’, ‘mobile-first strategy on accessibility’, and ‘differentiation of participative motivation and success indicators: use of digital bad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육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