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TV 공익광고 방송내용 분석: 유・무료와 광고주에 따른 주제 및 표현기법의 차이를 중심으로 (The Analysis of TV Public Service Advertisements)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8 최종저작일 2013.04
24P 미리보기
TV 공익광고 방송내용 분석: 유・무료와 광고주에 따른 주제 및 표현기법의 차이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광고학회
    · 수록지 정보 : 광고학연구 / 24권 / 3호 / 55 ~ 78페이지
    · 저자명 : 조현인, 김유경

    초록

    본 연구는 2007년부터 2011년까지 KBS TV에서 방송된 공익광고의 내용을 분석한 것이다. 특히 공익광고를 광고비 지급여부와 광고주별로 나누어 어떠한 특징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무료 공익광고는 건전한 가치관이나 재난재해예방, 안전에 관한 내용이 많았고, 유료 공익광고는 공적 정보나 제도를 소개하는 내용이 많았다.
    광고주별로 보면 KBS 자체 공익광고는 재난재해, 안전에 관한 내용이, KOBACO는 건전한 가치관에 관한 내용이, 정부 등 공적기관은 공적 정보 및 제도와 관련된 내용이 많았다.
    유형별로 보면 시민들의 자발적이고 주도적인 참여와 실천이 필요한 공익광고가 공공정책성 공익광고보다 훨씬 많았으나, 유료 공익광고의 경우 공공정책성 공익광고도 많은 비율을 차지했다.
    공익광고에서 표현된 메시지 특징을 살펴보면 전체적으로는 이성적메시지가 감성적 메시지보다 많았으나 광고주별로 차이를 보였다.
    이성적 표현기법은 KBS 자체 공익광고에 많이 사용되었고, 다음으로 정부 등 공적 기관이 의뢰한 경우에 다소 많았던 반면, 감성적 표현기법은 KOBACO 공익광고와 기업의 협찬 캠페인에 압도적으로 많았다.
    한편, 이번 연구를 통해 사회적으로 논란이 되는 주제도 공익광고로 방송되고 있음을 확인했는데 사회적 합의가 형성되지 않은 내용이 공익광고라는 이름으로 방송되는 것은 문제가 있다.
    공익광고에서 공익의 개념은 정부가 아니라 국민적 관점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이런 차원에서 사회적으로 논란이 되는 내용은 공익광고의 영역에 끌어들일 일이 아니라 공청회, 토론회 등 민주적 숙의과정을 통해 시민들의 의견을 모아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내는 노력이 선행돼야 한다고 본다. 또 정부가 정책홍보를 위한 선전 목적으로 공익광고를 이용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방송사가 공동으로 심의를 한다거나 공익광고 가이드라인 제정 등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다 하겠다.

    영어초록

    This study analyzes public service advertisements(PSAs) broadcast on Korean Broadcasting System(KBS) TV from 2007 to 2011. This study especially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s of PSAs by classifying them by clients and whether or not advertising expenses are paid.
    According to this study, the majority of subjects of free PSAs are related to healthy values, natural disaster prevention, and safety and security, and those of paid PSAs are related to public information and system.
    By client group, the majority of subjects of KBS's PSAs are related to natural disaster prevention and safety and security, and those of KOBACO's PSAs are related to healthy values. The subjects of such public organizations as the government are related to public information and system, and those of public enterprises are related to national ideology.
    By type, the number of PSAs that require citizens' voluntary and active participation and practice is more than that of those related to public policies. However, most of paid PSAs are related to public policies. Regarding messages given by the PSAs, rational messages are more than emotional ones. However, the different results are shown depending on client groups and subjects. Rational messages are mostly shown in KBS's PSAs, followed by those of public organizations, whereas emotional messages are more often shown in KOBACO's PSAs and public campaigns sponsored by enterprises.
    By subject, PSAs related to healthy values, environment and culture, and national ideology and patriotism are often emotional, whereas the ones related to public information and system, disaster and safety, public health, and energy conservation are rational.
    This study finds that controversial social subjects are also carried by PSAs. However, it will be problematic if there is no national consensus on the subjects. The idea of public service in PSAs should be judged by citizens, not the government. In this respect, pan-national agreement is needed for controversial social issues through a public hearing or a debate before being carried by PSAs. In order to prevent the government from using PSAs for promoting its policies, such systematic support as a joint review system by TV networks or a guideline for PSAs will be necessa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광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