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유아다문화교육정책 및 실제에 관한 비판적 담론분석: 정책, 교육청, 현장교사를 중심으로 (A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f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ies and their local implementation in Korea)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8 최종저작일 2013.12
24P 미리보기
유아다문화교육정책 및 실제에 관한 비판적 담론분석: 정책, 교육청, 현장교사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유아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유아교육연구 / 33권 / 6호 / 181 ~ 204페이지
    · 저자명 : 이연선

    초록

    본 연구는 유아다문화교육정책분석을 통해 ‘유아다문화교육’의 개념, 목적과 이데올로기를 밝히고, 중간전달체계인 교육청의 자료분석을 통해 정책이 어떻게 해석되고 전달되어지는가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교사담론분석을 통해 재해석, 협상, 저항의 가능성을 살펴봄으로써 정책의 실행적 격차를 드러냄으로써 유아다문화교육정책의 방향설정을 위한 시사점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첫째, 정책적 측면에서 볼 때, 유아다문화교육은 ‘다문화교육’과 ‘다문화가정’이라는 용어와 동반어의 사용을 통해 이중적 태도와 동화주의-수혜적 입장이라는 지배적 관념을 생산해 내고 있었다. 반면 일반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다문화교육은 다문화 가정 유아들의 문화를 관광식 접근을 통해 피상적으로 이해하고 관용적 태도를 갖게 하는 것이 목표로 설정되었다. 둘째, 교육청은 국가정책에 대한 비판적 안목 없이 그대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다. 정책 이데올로기는 교사용 지침서를 통해 재생산되고 있었다. 다문화교육은 지역적 특성과 현장의 특수성이 무엇보다도 중요시되어야 한다. 따라서 하향식이 아닌 현장중심의 다문화 교육 자료들이 모아지고 이를 바탕으로 다문화교육 지침서가 지역교육청을 통해 생산되어질 필요가 있음을 주장한다. 마지막으로, 교사들은 동화주의적 이데올로기를 바탕으로 다문화교육을 현장에서 성실히 수행하는 텍스트 소비자(text consumer)도 이론적 지식, 경험 그리고 확고한 철학적 기반을 가지고 다문화수업을 수행하는 적극적 동참자도 아니었다. 국가정책에 대한 무비판적 수용은 아이들에 대한 이데올로기적 적용으로 소비될 수 있다. 교사들은 이데올로기와 오개념, 그리고 편견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Derman-Sparks & Ramsey, 2011). 다문화교육에 대한 이해와 적용의 올바른 모습은 교사 스스로 지속적인 자기반성과 다문화적 경험을 통해 만들어가는 과정으로 실현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Since the late 1990s, demographic diversity has increased in South Korea because of marriage-immigrants and migrant-workers, and this has engendered much discourse about multicultural education. Since late 2000, the Ministry of Education has pursued the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al policies as a major task. However, the ensuing discourse has focused on having children with diverse linguistic backgrounds adapt to Korean language and customs, ignoring other goals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is might relate to how national institutions narrow the meaning of multicultural education by producing an ideology for it. To determine the national goals regarding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he interpretation of the ideology inherent in them as it is transmitted by local agencies and interpreted by teachers, this critical discourse analysis examines the promoted values and hidden ideologies in various written and spoken texts and identifies the potential space between the ideology of policy and implementation. Findings demonstrate that, by selecting favorite words from Western multicultural education models or theories, policymakers framed early childhood multicultural education to assimilate ethnic minorities in Korea. National educational institutions functioned as the dominant form of controlling the notion of multicultural family and education. School inspectors were active disseminators of national ideologies within centralized and bureaucratic structures. Policies underwent transformations and met resistance by teachers interacting with local factors, including the top-down imposition of the new curriculum, their busy schedule, and their experiences with individual children. Teachers were neither assimilationists nor active multicultural educators. In light of these findings, it is recommended that policy makers consider experiences of teachers and voices of parents and children from culturally diverse backgrounds in developing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Regarding the role and responsibility of local offices of education, a comprehensive effort to change the delivery system is strongly recommended. Creating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to share diverse ideas with colleagues, parents, and professionals within, between, and across schools could be key to improving teachers’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유아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2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