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구려 시조모 柳花傳承과 동북아 지역의 崇柳 풍속 사이의 상관성 再論 (The Correlations between Yoohwa the Mother of the founder of Goguryeo and willow worship in the Northeast Asia, Review)

4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8 최종저작일 2010.08
49P 미리보기
고구려 시조모 柳花傳承과 동북아 지역의 崇柳 풍속 사이의 상관성 再論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고대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고대학 / 22호 / 51 ~ 99페이지
    · 저자명 : 김경화

    초록

    고구려 시조모 유화를 둘러싼 논란은 매우 다양하다. 그런데 최근 중국 학계에서 유화전승이 중원 문화의 토양 아래 성립되었다고 주장하면서, 새로운 논란을 야기하고 있다.
    중국 측 학자들은 고구려 건국신화 속 유화가 徐國의 徐偃王 전설이나 殷·周의 신화 전승에서 유래하였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그들의 주장은 모티브의 유사성만을 근거하여 무리하게 동북공정의 논리 속에서 해석하려 한 한계를 지니고 있다.
    사실 고구려 유화는 동북아 각 민족들에게 전해져 내려오고 있는 崇柳 풍속의 하나로 파악해야 된다. 흉노, 선비, 거란, 여진, 만주족 등에게는 다양한 崇柳 풍속이 존재하고 있었는데, 이는 당시 동북아 지역에서 버드나무가 그 상징적인 특성으로 인해 신목으로 숭배를 받고 있던 데에서 기인한다.
    그런데 고구려에 崇柳 풍속이 존재하였다는 흔적이 보이지 않아 문제가 되고 있다. 다만 주변 민족에게 崇柳 풍속이 보여 진다면, 고구려에도 이와 비슷한 풍속이 전해져 내려오고 있었으리라 생각된다. 또한 고구려의 지리적 특성 역시 崇柳 풍속이 생겨날 토대를 마련해 주고 있으며, 과거 고구려 강역이라 할 수 있는 만주 지역에는 오늘날까지도 崇柳 풍속이 전해져 내려오고 있다. 결국 고구려의 시조모 유화는 동북아 각 민족에게서 숭배의 대상이 되고 있는 버들 신모의 한 형태로 보아도 될 것이다. 그리고 그 유입 시기와 관련하여서는 고구려의 기층문화를 형성하던 유화 전승이 600년 『新集』의 편찬과 함께 고구려 건국신화에 적극 반영되었으리라 본다.

    영어초록

    Yoohwa(柳花), known as the mother of the founder of Goguryeo, was a highly controversial character. Recently, she becomes the issue again by some Chinese scholars arguing that Chinese culture was a major influence on traditional stories about her.
    According to them, she has her origin from legends of King Seoeon(徐偃王), the founder of the Kingdom of Seo(徐國) or ancient Chinese myths about Yin and Zhou Dynasty because they share similar motifs with the myth of Goguryeo. Obviously, there is a limit to what they argue based on the agenda of China's Northeast Project(東北工程).
    The author thinks that it is better to understand Yoowha at the level of williow-worshipping customs widespread all over Northeast Asia. In ancient times, actually, willows were idolized and venerated by its people, i. e. the Huns, the Xianbei, the Kitans, the Jurchen, and the Manchus.
    Although there is no clear evidence of willow-worshipping customs, there is still good chance that Goguryeo people served the willow god like their neighbor ones. First, the geographic settings of Goguryeo was very close to willow worship. In addition, even now, it prevails in Manchuria, one-time Goguryeo territory. Therefore, the author assumes Yoohwa to be a kind of the willow goddess which has been idolized by Northeast-Asian peoples. and Folkleres of Yoohwa, had formed popular culture of Goguryeo,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birth myth of Goguryeo with the compilation of Shinjib in 600.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