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근대 한일 유의 한자어의 대응과 현대어로의 변화 - 병렬코퍼스를 자료로 - (Correspondence of Sino-Japanese/Korean Words in Modern Japanese and Korean and their Evolution into Contemporary Language)

1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8 최종저작일 2024.11
17P 미리보기
근대 한일 유의 한자어의 대응과 현대어로의 변화 - 병렬코퍼스를 자료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일본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일본어문학 / 107호 / 193 ~ 209페이지
    · 저자명 : 장원재

    초록

    本論文は近代の日韓パラレルコーパスから抽出した日本語と韓国語の漢語の対応のうち、AB-CBタイプの「佛人-法人、上陸-下陸、洋底-海底」についての様子を共時的、通時的に考察したものである。 「佛人-法人」は、中国から両語形を日韓それぞれが輸入し使用したが、19世紀末の前後からは日本語は「佛人」が、韓国語は「法人」がより優勢になり、日韓の非同形対応になる。その後、日本語の影響であるかはわからないが、韓国語の「法人」が「佛人」に変化する様子が見られる。一方「上陸-下陸」は両語形が共に中国語には出典が見つからず、それぞれ日本製漢語、韓国製漢語であると判断する非同形対応のタイプである。韓国語の「下陸」は20世紀半ばまで使われ続けていたが、ついに「上陸」に変わるようになる。最後に「洋底-海底」は結果的に日本語の「洋底」が韓国の対応語である 「海底」に変化するタイプの例であるが、19世紀後半から日本語で「洋-」が多く使われていて、それが教科書に影響を与え、『高等小学読本』で採用したと推測している。まだ今後の研究が必要であるが、様々な対応のタイプのものが存在している例として興味深い例である。

    영어초록

    In this paper, I present an analysis of Sino-Japanese/ Korean words of AB-CB type, such as “佛人–法人”, “上陸–下陸”, and “洋底–海底”, as examples of the correspondence between Sino-Japanese and Sino-Korean words, extracted from a modern Japanese-Korean parallel corpus.
    To being with, Japanese and Korean borrowed “佛人” and “法人” from Chinese, but from the late 19th century onward, ”佛人” became dominant in Japanese, and “法人” in Korean. As a result, they became a case of non- identical correspondence between the two languages. At a later point, it is observed that Korean “法人” was changing into “佛人”, though it is not clear whether this change was influenced by Japanese. On the other hand, the pair of “上陸-下陸” does not have a Chinese counterpart. I thus argue that they are Japan-made and Korea-made words, respectively, and that they are a case of non-identical correspondence. Korean “下陸” continued to be used until the mid-20th century, but it was eventually replaced by “上陸”. Finally, the pair “洋底–海底” illustrates a type of change where Japanese “洋底” consequently changed into its Korean counterpart, “海底”. I presume that from the late 19th century, “洋-” had been frequently used in Japanese, and that this influenced textbooks and led to the adoption of “洋-” in the Kōtō Shōgaku Dokuhon ‘Advanced Elementary Read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일본어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