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鄭寅燮과 번역의 활동성 - 번역, 세계문학의 유일한 길 (Zŏn In-Sŏb(鄭寅燮) and the Activity of Translation – On Translation and World Literature)

5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8 최종저작일 2012.12
54P 미리보기
鄭寅燮과 번역의 활동성 - 번역, 세계문학의 유일한 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민족문화연구 / 57호 / 515 ~ 568페이지
    · 저자명 : 조재룡

    초록

    괴테는 세계문학의 실현 가능성을 번역과 결부시켜 사유하였으며, 번역의 역할과 가치를 세계문학 속에서 조망하고자 시도 하였다. 번역을 매개로 세계문학을 구현한다는 것은 모국어의 변화와 그 추이를 살피면서, 언어의 유통과 활성화, 성장과 소멸, 이 모든 현상에 결부되는 횡단 실천을 전개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해외문학파에 속했던 김진섭이나 정인섭은 번역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절감하고, 한국근대문학과 한국어의 발전을 사유하는 과정에서 번역의 필연적인 매개로 인식한 상태에서 세계문학 속의 한국문학의 가능성을 타진해나간다. 특히 정인섭에게 번역은 한국어의 발전과 문법 범주의 확장 가능성을 실현할 신조어의 고안이나 고어의 재발견(재활용)을 통한 한국어 어휘의 풍부화를 도모할 유일한 수단이자 방식으로 인식되었다. 근대한국어의 형성과 정착에 번역이 기여할 것이라고 생각한 정인섭은 번역을 통해 수입되고 발전된 서구의 문예이론에 대한 적극적인 수용을 통해 한국문단이 보다 풍부해지고, 근대화의 길로 접어들게 될 것이라는 전망에 기대고 있었다. 정인섭은 이러한 관점에서 한국어의 내적 체계에 대한 연구(액센트와 프로조디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고, 외국문학작품(영어로 집필된)을 한국어로 번역하였고, 마찬가지로 한국문학작품(특히 시조)을 영어로 번역하였다. 번역은 정인섭에게 세계문학을 실현할 꿈이었으며, 비교문학의 이론적 성찰을 전개해나갈 발판이었다. 정인섭이 한국어의 구조와 작동원리를 영어로 집필하여 외국에 소개하고, 한국문학 작품을 직접 번역한 것은, 비교문학-세계문학-번역문학, 삼자가 서로 서로 맞물린 하나의 활동성을 지니고 있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었다. 이러한 관점은 한국어와 외국어의 병렬적 동등성을 전제했기에 가능한 것이다. 1930년대 문학장의 구성에 있어서 번역은 정인섭에게 선택 가능한 사안이 아니라 문학장 자체를 결정하는 핵심적인 조건이었던 것이다.

    영어초록

    Goethe thought that the realizable possibility of world literature is closely connected with the matters of translation, and attempted to examine the translation’s role and value within the world literature. Realizing world literature by the medium of translation means observing the changes of the native language and developing a crossing practice which is linked to the phenomena of circulation / vitalizations of the language, its growth and extinction. Kim Jin-seob and Zŏn In-Sŏb (Jeong In-seob), who are categorized into School of Foreign Literature became keenly aware of the necessity and the importance of translation. They started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Korean literature in the world literature considering translation as an inevitable medium for development of modern Korean literature and Korean language. Particularly, for Zŏn, the translation was the only means to richen the Korean vocabulary by rediscovering / recycling archaism, or either creating neologism which possibly extend the category of grammar and develop Korean language. Thinking that translation would contribute to the formation and settlement of modern Korean language, Zŏn expected Korean literary world to be modernized by accepting advanced Western literature theory which could be imported via translation. From this perspective, Zŏn conducted researches on the inner system of Korean language (study on accent and prosody), translated English written foreign literatures into Korean, and translated Korean literature, especially sijo into English. Translation was the dream of realizing world literature and the steppingstone toward the development of comparative literature theory. The reason why Zŏn wrote about and introduced the structure and mechanism of Korean language to abroad, and translated Korean literature by himself was that he thought that comparative literature, world literature and literature in translation were engaged to each other, thus sharing one activity. His perspective was build on the premise of paratactic equivalence between Korean and foreign language. Translation for the comprising the literary world in the 1930s is not an option for Zŏn. Rather, it was the core condition which decided the fate of the literary worl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족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