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유튜브 환경에서 초등학생의 미술 작품 제작에 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Creation of Art Works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YouTube Environment)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8 최종저작일 2022.02
38P 미리보기
유튜브 환경에서 초등학생의 미술 작품 제작에 대한 사례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교육연구논총 / 68권 / 211 ~ 248페이지
    · 저자명 : 전수현

    초록

    본 연구는 정기적으로 창작과 관련한 유튜브를 시청한 경험이 초등학생의 미술 작품제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탐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문제의 하위 질문으로첫째, ‘초등학생의 창작 관련 유튜브 시청과 작품 제작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둘째, ‘초등학생의 창작이 실행되기 위한 조건과 환경은 무엇인가?’를 하위 질문으로 설정하였다. 이를 위해 정기적으로 창작 관련 유튜브를 시청한 초등학생 3명을 찾아 사례연구를 시행하였다. 사례 내 분석은 개별 사례의 특성을 살려 서술하였으며, 사례 간 분석에서는 사례 간 공통점을 찾아 6가지 주제어를 선정하였다. 이를 토대로 하여 첫 번째하위 질문인 작품 제작이 어떻게 이루어지는가에 대해 다음의 세 단계로 답하였다. 첫번째 단계는 초등학생인 연구 참여자들은 창작 관련 유튜브를 찾아내는 활동으로 작품제작을 하는 것으로 앞서 찾은 ‘동영상 자체에 대한 흥미’라는 주제어와 연관된다. 두번째 단계는 선택한 동영상을 시청하며 기존의 경험 지식들과 상호 연계하여 탐색하는단계이다. 이는 ‘영상과 창작 활동의 유기적 연결’이라는 주제어와 연결된다. 마지막으로 재료와 지식을 활용하여 직접적으로 창작하는 활동으로서 이는 연구 참여자들이 ‘자기 주도적 창작’을 하는 과정이다. 두 번째 하위 질문인 작품 제작이 이루어지는 조건과 환경이 무엇인가에 대해 살펴보면 첫째, ‘재료와 도구의 적절한 지원’이다. 연구 참여자들이 다양한 재료를 가지고 있으며 도구의 사용에 대하여 능숙한 사용법을 알고있는 경우에 실제로 미술 작품 제작이 이루어졌다. 둘째, ‘시간과 공간의 적절한 활용’ 이다. 연구 참여자들은 모두 미술 작품 제작에 필요한 충분한 시간과 공간을 확보하고있었다. 마지막으로 ‘가족과 영향 주고받기’이다. 연구 참여자들은 주양육자 뿐만 아니라 그 외의 다른 가족 구성원들도 작품 창작을 매개로 하여 다양한 상호작용을 하고 그영향으로 작품을 창작하였다. 유튜브 환경에서 초등학생들은 새로운 방식으로 외부 세계의 확장을 경험하고 있다. 본 연구는 유튜브라는 새로운 환경에서 초등학생들의 미술작품 제작에 대해 그 의미를 발견하였다는 데에 그 의의를 가진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how watching YouTube about creation affects elementary school students’ art production. In order to solve this research problem, first,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tching YouTube about creation and making art works?' and second, 'What are the conditions and environment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creativity?' were set as sub-questions. For this study, a case study was conducted by finding thre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regularly watched creation-related YouTube for more than 6 months. The analysis within the intra-case was described taking advantage of the characteristics of each individual case. In the inter-case analysis, six key words were selected to find commonalities between cases. Based on this, the first sub-question, 'How do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tch YouTube related to creation and produce works?', was answered in the following three steps. The first step is an activity in which study participants select YouTube videos based on their own criteria. This is related to the keyword ‘interest in the video itself’ found earlier. The second step is to watch the video of your choice, connect it with your own experience, and explore it in correlation with your existing knowledge. This is connected with the keyword ‘organic connection between video and creative activity’. Lastly, it is an activity to create directly using materials and knowledge, which can be referred to as the overall integration stage. This is connected with the process of ‘self-directed creation’ by the research participants. The second sub-question is ‘what are the conditions and environment for the potential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actually be realized’. To answer this, the first is ‘appropriate support of materials and tools’. Artworks were actually made when the study participants had a variety of materials that could be created at home, and they knew how to use the tools proficiently. The second is ‘appropriate use of time and space’. All of the study participants had enough time and space to create art works. Lastly, it is ‘exchanging influence with family’. Among the study participants, the mother, who was the main caregiver, didn’t only exercise the most decisive influence in the family but other family members were also involved in various interactions through the creation of works as a medium and creating works through the influence. In the YouTube environment, elementary school students are experiencing the expansion of the outside world in a new way.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that it found the meaning of art work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a new environment, YouTub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