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張載의 有的 세계관에 입각한 氣一元論 (A study on Chang Tsai's Being philosophy based on Ch'i)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8 최종저작일 2013.07
24P 미리보기
張載의 有的 세계관에 입각한 氣一元論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새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철학논총 / 73권 / 3호 / 355 ~ 378페이지
    · 저자명 : 김대수

    초록

    만물을 구성하는 原質뿐만 아니라 우주의 생성ㆍ변화를 설명하는 패러다임으로 一氣를 사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장재 철학은 理를 핵심으로 하는 정주의 이기론과 心을 가장자리에 놓는 육왕 심학과는 구별된다. 氣를 골간으로 하는 그의 기일원론 체계는 『주역』의 음양 二氣와 한 대의 元氣說을 흡수하여 이루어진 것이지만, 당시 불교와 도교의 세력 팽창과 맞물려 이를 비판하는 과정에서 이론의 大綱이 형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 이유는 그의 주저인 『정몽』과『역설』이 주로 이들의 이론과 세계관을 비판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우주 만물의 생동성을 강조하는데 주력하고 있기 때문이다.
    장재가 기를 전면에 내세우고 있는 이유는 세계를 虛無나 空寂으로 보는 도가와 불교의 세계관을 비판하기 위한 것이며, 비판의 근거로 기획한 것이 기의 취산과정을 담고 있는 <太虛卽氣>라는 도식이다. 우주는 기로 이루어져 있으며, 기가 모이면 형태가 나타나는 만물이 되지만 기가 흩어지면 형태는 드러나지 않지만 만물을 이루는 원질인 태허로 돌아간다. 이러한 도식의 하부 프레임으로서 <形-象-氣>의 상호 관계성을 통해 생동적인 우주의 실재성을 강조한다. 특히 象 개념은 기존의 『주역』 四象의 ‘象’과는 다른 독자적인 의미를 부여하고 있어 범주를 달리하고 있다. 기존의 개념을 수정하면서까지 우주 본체론의 건립하려는 장재의 의도는 현실 세계를 부정하고 떠나는 空無의 세계관을 비판하고 세계는 생동적인 氣에 의해 충만해 있다는 현실세계의 대 긍정의 관점을 강조함에 있다. 따라서 그는 氣라고 하는 하나의 원리 속에서 우주의 생성변화와 인간의 본성을 연동시켜 설명하는 기일원론 패러다임을 확립한 것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quire Chang Tsai's Being(有) philosophy based on the concept of Ch‘i(氣) which could illustrate the formation of the universe and relate it to human natur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is system was formulated by accepting and reconstructing the concept of Ch'i which had existed since Han(漢) era, but it was more systematized through the interpretation and the study of Book of Change(周易). His devotion to the study of Book of Change has much to do with the social climate at that time. Neo-Confucianism was a new stream of study born to solve a variety of social problems in the changing conditions of the time.
    Chang's thought is that Ch'i condenses to form objects and then disperses, returning to the undifferentiated state, as the freezing and melting of ice is to water, because it is its nature to do so. According to him, the undifferentiated state as the orgin of Ch'i is not just non-being or non-existence, but a state filled with Ch'i. The theory is known as “Great Void is just Ch'i(太虛卽氣).” This theory aims to criticize the doctrine of Buddhism and Taoism; to assert the reality of the phenomenal world and thereby to refute Buddhist ontology. In contrast to their viewpoint of Void(空) and Non-being(無) that denies the actuality of the world, he holds the view of Living(生) and Being(有) that affirms the reality of the world with a positive attitude.
    In accepting the Energy theory(元氣說) and Ying Yang(陰陽) in the ancient China, he established a paradigm of Ch'i monistic ontology which could explain the change of the universe and human nature within a thread of principle that everything could be strung 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