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음악 기악교육 관련 유튜브(YouTube) 콘텐츠 현황 분석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YouTube Contents Related to Instrumental Music Education)

1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8 최종저작일 2021.12
17P 미리보기
음악 기악교육 관련 유튜브(YouTube) 콘텐츠 현황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예술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예술교육연구 / 19권 / 4호 / 89 ~ 105페이지
    · 저자명 : 윤관기

    초록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해 대면(오프라인) 실기교육이 어려운 상황에서 온라인(비대면) 기악교육 관련 유튜브 채널과 콘텐츠 분석을 통해 유튜브가 지닌 교육매체로서의 가능성을 살펴봄으로써 지속되는 포스트 코로나 시기에도 효율적인 기악교육을 위한 기초연구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음악실기 기악 장르를 주제로 72개 채널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악기 장르, 콘텐츠 내용, 재생 시간 및 길이, 콘텐츠 조 회수와 채널 생성 기간, 그리고 콘텐츠의 질적수준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악기 장르 는 피아노, 현악기(바이올린, 첼로), 관악기(플루트, 클라리넷, 색소폰, 트럼펫, 트롬본), 타악기, 학교 악기(리 코더, 우클렐레)가 분석되었으며, 비올라, 콘트라베이스, 오보에, 바순, 호른, 튜바를 콘텐츠로 제공하는 채널 은 매우 적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콘텐츠 내용은 악기지도(Lesson), 커버영상(Cover Video & Ost), 음악이론(Music Theory), 공연(Music Performance), 악기보관 및 수리(Instrument Maintenance), 연 습곡 연주(Etude Performance)를 주로 다루고 있었다. 셋째, 49개(68%)의 채널들이 제공하는 콘텐츠의 길이는 10분 미만의 영상들이 가장 많았으며, 영상의 질적수준 분석은 자막, 해설, 악보설명, 반복연습, 연주 자세 클로즈업과 같이 학습자들이 필요로 하는 내용들도 대체적으로 포함되어 있었다. 마지막으로, 다수의 채널이 2010년전부터 콘텐츠를 꾸준히 제공하고 있었으며, 코로나19가 시작된 이후에 생성된 채널들은 모 두 12개(16.7%)로 조사되었다. 앞으로 우리사회가 코로나 일상(with Corona)으로 전환되더라도 여전히 대 면 형태의 기악교육이 이루어지기 어려운 상황에 직면하게 될 것이므로 유튜브를 통해 전문적인 기악교육 콘 텐츠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면 기악교육에 효과적인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potential of YouTube as an educational medium through online in- strumental music education-related YouTube channels and content analysis in a situation where face-to-face practical education is difficult due to COVID-19, and provides basic research for effec- tive instrumental music education even in the continuing post-coronavirus period. For this purpose, 72 channels were studied under the theme of instrumental music education and analyzed by musical instrument genre, educational content, content length, content views, channel creation period, and quality level of conten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iano, string instruments(violin, cello), wind instruments(flute, clarinet, saxophone, trumpet, trombone), percussion, and school instru- ments(recorder, ukulele) were analyzed, but there were very few channels providing contents related to instrumental music education about viola, contrabass, oboe, bassoon, horn and tuba. Second, the education contents of 72 channels include Lesson, Cover Video & Ost, Music Theory, Music Performance, Instrument Maintenance, and Etude. Performance was included. Third, the length of the content provided by 49 (68%) channels was less than 10 minutes the most, and the qualitative level analysis of the videos required learners need such as subtitles, commentary, sheet music explanation, repeated practice, and close-up of a performance posture were generally included. Finally, a number of channels have been providing content since 2010, and 12 (16.7%) of new channels created after the onset of Corona 19 were surveyed. It is very difficult to teach instrumental music with students in a situation where COVID-19 continues to mutate without ending and the level of social distancing is getting higher. Various YouTube channels related to instrumental music education are channels that have produced content for a long period of time rather than growing rapidly during the corona period. If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and educational content continues in a situation where face-to-face instrumental music education is difficult as it is now, it is expected that YouTube will develop as an alternative to face-to-face instrumental music education in terms of educ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예술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