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유딧의 성폭력에 관한 소고 (A Study on the Sexual Violence of Judith)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8 최종저작일 2020.06
24P 미리보기
유딧의 성폭력에 관한 소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구약학회
    · 수록지 정보 : 구약논단 / 26권 / 2호 / 178 ~ 201페이지
    · 저자명 : 채은하

    초록

    이 논문은 이스라엘의 국가적 위기에 민족의 생존과 정체성을 지켜낸 유딧, 그러나 이 책의 주요 주제인 성폭력 문제에 주목한다. 유딧기 저자를 비롯하여 이 책을 다룬 여러 주석서들과 논문들은 유딧의 성폭력 문제를 거의 다루지 않지만, 결코 간과할 수 없는 주제이다. 먼저 유딧은 여호와를 “내 조상 시므온의 주 하나님”(9:2)으로 부르고 디나의 강간(창 34)과 복수를 상기시킨다. 이것은 유딧이 베툴리아의 포위를 디나(Dinah, 창 34)의 강간과 동일시하고 이를 복수하기 위해 자신이 나서기 위한 신학적 무장의 출발점이다. 그녀는 앗시리아의 적장(홀로페르네스)을 살해하기 위한 방법으로 자신을 성폭력의 위험에 노출시킨다. 이 계획은 베툴리아 도성의 남성 지도자들의 묵인 아래 진행된다. 유딧 자신이 스스로 결정한 일이었지만 그녀가 겪었을 성폭력의 두려움과 수치와 실패할지도 모를 불안감을 혼자 견뎌냈던 부분은 적장의 죽음과 베툴리아의 승리와 환호성에 그냥 묻히고 만다.
    따라서 필자는 민족과 신앙의 보존을 위해서 성폭력의 위험을 스스로 노출시킨 유딧의 삶을 유딧기 본문을 통해 상상하면서, 그런 유딧을 외면하는 유딧기 저자와 베툴리아의 남성 지도자들의 무심함을 고발하고 나아가 이와 유사한 일로 가슴앓이를 하고 있는 남녀 모든 이들의 고통에 공감한다. 유딧은 적장을 죽일 때까지 온갖 종류의 성폭력 즉 성희롱, 성추행, 아마도 강간으로 고통을 겪는다. 유딧은 그것으로 받은 불쾌감, 수치심, 혐오감을 결코 잊을 수 없었을 것이다. 이것은 그녀가 재혼도 않고 남편의 집으로 들어가 혼자 살게 된 이유일지 모른다.
    유딧의 이야기는 아름답고 용감한 여성 한 사람의 이야기로 끝나지 않는다. 지금도 성폭력의 역사는 계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일본에 강제로 끌려간 위안부 어머니들, 어쩌다 성매매에 묶인 여성들, 지금도 세계 곳곳의 전쟁터에서 성폭력 때문에 육체적으로나 정서적으로 깊은 상처를 안고 살아가는 여성들이 있다. 비록 이들의 상황과 처지는 유딧과 다르지만, 유딧이 죽을 때까지 홀로 견뎌야 했던 것처럼 성폭력으로 인한 이들의 슬픔과 아픔을 기억하면서 유딧 이야기를 끝맺는다.

    영어초록

    Judith’s story is fascinating and widely read because she plays a decisive role in eliminating Holofernes, the Assyrian army general for herself and ending her village Bethulia’s crisis. With this Judith is highly praised as heroine, model or alternative leader for rescuing her community successfully.
    However, it is considered that Judith’s sexual violence is the main theme in the Book. It is difficult to obtain or fully understand Judith’s story without looking into the problem of her sexual violence. This comes first in her invocation of Yahweh as “O Lord God of my father Simeon”(9:2) who took the lead of revenge for Dinah’s rape (Gen. 34) and who eliminated Shechem and his tribe. Judith identifies herself with Dinah and takes revenge on her enemy. It is of significance that she plans at the risk of run into sexual violence, but she has committed connivance with male political and religious leaders in the village.
    She uses her beauty as a weapon against Holofernes. Taking the place of sexual violence, she suffers from verbal and sexual harassment, molestation and perhaps rape. We hear that “it was my face that tricked him to his destruction, and yet he committed no act of sin with me, to defile and shame me”(13:16, RSV), We can imagine, however, that there must have been no small amount of her anxiety and fear about Holofernes and other men’s verbal and sexual violence.
    Even though she rescued the community, she could not forget the displeasure, shame and disgust she had experienced at the place of the sexual violence. Probably the social system and atmosphere at the time would let her go into her own private house and live alone without remarrying. The author of Judith’s story would expect the effect of highlighting Judith’s characteristic, further strengthening the patriarchal society and promoting the sacrifice of women.
    But it doesn't end with a pious and beautiful woman’s heroic story that happened a long time ago. Isn't the history of various kinds of sexual violence continuing even now? We have a sad history of comfort women forced by Japanese military into sexual slavery, young women pushed into sex industry and women still suffering from sexual assault on the battlefield around the world, and men and women in the Me too movement now. They live as anonymous people living with deep wounds physically and emotionally. Although their situations and causes are different, I finish this article by remembering their sorrow, just like what Judith endured alone until her deat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구약논단”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