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柳僖 詩經論에 반영된 해석과 접근의 재구조화 (Restructuring of the Interpretation and the Approaches to the Book of Songs Shown in Seo-pa(西陂) Yu-hui(柳僖)'s Discussion)

4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8 최종저작일 2022.08
45P 미리보기
柳僖 詩經論에 반영된 해석과 접근의 재구조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한문학연구 / 85호 / 385 ~ 429페이지
    · 저자명 : 김수경

    초록

    본고는 서파 유희의 시경론을 18세기 후반∼19세기 초반 조선시대 『시경』 해석 및 접근에서 재구조화 양상의 한 사례로 고찰하는 데 중심 목적이 있다.
    유희의 시경론 관련 문헌은 현재 『문통』에 포함된 『讀詩三百』, 『詩詁』, 『詩物名考』 3종이 확인되는데, 본고는 이를 註解텍스트의 유별화를 통한 『시경』 해석과 접근의 재구조화라는 측면에서 고찰했다. 『독시삼백』에서는 『시경』의 성격 및 『시경』 독법에 대해 논의했고 『시고』에서는 『시경』 구절을 훈고의 각도에서 고찰했으며 『시물명고』에서는 『시경』 물명이 지닌 역사적 多岐性을 인식한 기반 위에 『물명언해』를 비판적으로 계승하면서 물명의 실제와 우리말 어휘로의 전환 문제를 중점적으로 논의했다. 3종 문헌은 『시경』 관련 논의를 하나의 텍스트로 통합하여 처리하는 방식이 아닌, 주해의 성격에 따라 저술을 유별화한 특징을 지닌다. 이는 유희가 저술 체재 면에서 『시경』 해석과 접근을 재구조화, 유형화하는 방식을 통해 해당 분야에 대한 전문성뿐만 아니라 『시경』 해석과 접근의 다양성을 보여준 부분으로 파악할 수 있다.
    유희의 시경론에는 언어의 한계를 넘어 감흥을 중시하는 『시경』 독법과 『시경』에 대한 언어적 접근과 명물도수학을 비롯한 고증적 접근에 초점을 둔 『시경』 독법이 공존한다. 이렇듯 일견 상충되어 보이는 독법의 공존은 유희 『시경』 독법의 특징으로 파악할 수 있다. 유희의 이러한 독법에는 『시경』 언어[言]에 대한 의미 고구의 한계를 논증하고 극복하려는 과정과 언어[言]의 한계를 넘어 경전의 담긴 의도[意]에 다가가려는 과정이 공존함으로써 『시』의 언어[言]적 특징과 한계를 언어적ㆍ경전해석적으로 접근하는 면모가 반영되어 있다.
    유희의 『시경』 해석과 접근은 조선후기 경학에 대한 고증학적 접근이 심화되는 시기에 고증학적 접근을 적극적으로 심화함과 동시에 감성과 감흥을 중시하는 접근이 공존하는 공간을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조선후기 『시경』의 다양한 독법 가운데 또 하나의 개성을 보여준다 하겠다.

    영어초록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nsider the Seopa Yuhui(西陂 柳僖)’s discussion on the Book of Songs as one example of the restructuring aspect in the interpretation and approach of the Book of Songs in the late 18th and early 19th centuries.
    There are three documents related to Yu-hui’s discussion of the Book of Songs, which are currently included in the Mun-tong(文通). They are considered in terms of interpretation and restructuring of approaches to the Book of Songs. In Reading of Three Hundred Poems of the Book of Songs(讀詩三百), he discussed the nature of the Book of Songs and the reading method. In the exegesis on the Book of Songs(詩詁), he analyzed some phrases according to the way of classical commentary. In Thesaurus of Names of Things in the Book of Songs(詩物名考), while critically inheriting his Vernacular Translation of Thesaurus of Names of Things(物名諺解), he focused on the issues of the actuality of name of things and the transition to Korean vocabulary with considering historical discrepancies. Those three documents have the characteristic of distinguishing the writings according to the natures of the exegesis, rather than of using the method of integrating and processing the discussions related to the Book of Songs into a single text. This can be understood as the part where Yu-hui showed the diversity of interpreting and approaching the Book of Songs, as well as expertise in the field, through the way of restructuring and typifying the interpretation and approach of the Book of Songs in the aspect of writing style.
    In the Yu-hui’s discussion of the Book of Songs, two different reading methods co-exist: the one is the reading method of emphasizing ethical inspiration beyond the limits of language, and the other one is the reading method of focusing on textual critic-approach including linguistics and mathematics. Although this may seem contradictory at first glance, it can be grasped as a characteristic of Yu-hui’s reading method of the Book of Songs.
    Yu-hui’s interpretation and approach to the Book of Songs is unique in that it provides a space where an emotional approach co-exists with the philological approach which was actively deepeni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한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