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공성전을 통해 본 고대 동서양의 공학기술 활용성 - 로마, 사산조 페르시아, 위진남북조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Siege Engineering Technology in the Ancient East and West)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8 최종저작일 2019.04
34P 미리보기
공성전을 통해 본 고대 동서양의 공학기술 활용성 - 로마, 사산조 페르시아, 위진남북조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서양고대사연구 / 54호 / 135 ~ 168페이지
    · 저자명 : 배은숙

    초록

    성곽을 조성하거나 적의 성곽을 포위하거나 공격하기 위한 공성로, 포위망, 땅굴을 만들 때 필요한 것이 토목건설 공사이다. 또 적의 성곽을 직접 공격할 때는 공성탑, 파성퇴, 노포, 투석기 등을 장착하는 기계공학에 관한 지식이 필요하다. 본고는 실제 전투 사례들을 중심으로 로마, 사산조 페르시아, 위진남북조의 토목건설 능력과 기계의 활용성이 어떠하였는지를 밝히고자 한 것이다.
    제정 후기에도 포위망이나 공성로, 땅굴과 같은 토목건설 공사를 지속적으로 한 사례들이 많았다. 파성퇴, 노포와 투석기, 공성탑과 같은 공성장비들은 3-4세기의 공성전에서도 여전히 사용되었다. 공성전이 발달했다고 하는 기원전 1-기원후 1세기의 전투 사례와 비교해도 3-4세기 공학기술의 활용성은 떨어지지 않았다. 다만 동부지역에서 로마군과 페르시아군은 공성장비들을 서로 약탈, 모방하는 형태로 공성전을 치루고 있었다. 따라서 동부에서 페르시아와의 전투 양상을 볼 때 로마군은 토목건설 공사나 공성기계를 지속적으로 활용하였고, 또 그렇게 해야 하는 상황이었던 것이다.
    토목건설 능력과 기계 활용성을 갖추고 있었지만 실질적인 효과를 강조하였던 위진남북조에 비해 로마와 사산조 페르시아는 토목건설 공사와 기계 활용에 적극적이었다. 전자는 토성이고 공성전을 최하위의 전술로 보았고, 후자는 석성이고 적과 상호 모방하면서 공성전을 치렀다는 차이가 있다. 따라서 공성전에서의 공학기술 활용성은 아군과 적군의 전술, 성곽의 특징과 재질, 병법서 등 다양한 요소에 의해 좌우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ighlight how the civil construction capabilities and the utilization of machines were in the 3rd and 4th centuries, focusing on actual battle cases. In this period Roman and Sassanian Persian armies alike achieved the same degree of sophistication as the armies of Caesar or Vespasianus, and brought no particular decline in Roman siege competence at deploying artillery and battering down walls with rams.
    Since the Persians imitated the Romans' ability to construct castles and the ability to construct tunnels, the Romans were able to utilize the technology to cope with it. The combination of familiarity and equality meant that the sieges between Rome and Persia were finely calibrated.
    In contrast with the Romans and the persians, it can be inferred that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tactics such as con/circumvalation and agger were attempted when the offensive army was numerically and strategically superior in Wei and Jin, the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In the actual battle, the catapult was used as a form of Han, and they also relied on water siege as well as siege machines.
    Compared to Wei and Jin, Rome and Persia were active in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and machinery utilization. The former was evidenced by the castles built with soil, and sieges were seen as the lowest tactic. The latter, on the other hand, were the castles piled up with stones, imitated siege technology, and plundered the siege machines. Therefore, the utilization of engineering technology in siege warfare depends on various factors such as the tactics of friendly and enemy forces, the characteristics and materials available to build a cast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양고대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0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7 오후